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신자유주의 시대의 젠더-거버넌스

        신상숙(Shin, Sang-Sook) 한국여성연구소 2011 페미니즘 연구 Vol.11 No.2

        1990년대 이후 한국의 여성운동은 참여의 정치에 상응하는 적극적인 활동을 펼치면서 젠더 이슈의 법제화에 영향력을 행사하였고, 이러한 성과를 기반으로 2000년대에는 ‘거버넌스’의 기획 아래 민관협치의 시도들이 활성화되었다. 그러나 이명박 정부의 출범과 더불어 여성정책의 주무 부처는 축소되고, 국가와 갈등적 협력 관계를 유지했던 여성단체들은 정치적 배제의 위협에 직면하게 되었으며, 젠더-거버넌스가 표방했던 민관협치와 파트너십의 의미는 퇴색해 버렸다. 새정부의 출범 이후 가시화된 여성정책의 후퇴와 거버넌스의 위기가 정권의 교체와 연관되어 있는 것이 분명해 보일지라도, 이처럼 갑작스럽고 전면적인 반전이 어떻게 가능할 수 있었는가에 대한 의문을 떨칠 수 없다.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사회에서 젠더-거버넌스와 이를 둘러싼 관계의 역학에 영향을 미치는 조건들이 지난 정부들로부터 어떻게 예비되어 왔는가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제도적 선택성’의 개념을 통해서 국가와 시민사회에 걸쳐 있는 젠더-거버넌스의 역사적 조건과 현실을 성찰하고 여성정책기구의 위상과 정책 네트워크가 변화되는 양상을 분석하였다. 발전국가의 역사적 경험을 지닌 한국사회에서 신자유주의 시대의 젠더-거버넌스는 모순과 긴장을 안고 있다. 노무현 정부는 정부조직의 혁신과 민주적 참여에 기반을 둔 거버넌스를 동시에 강조하였으나 국가기구의 제도적 선택성이 작용하는 가운데 젠더 이슈를 전담하는 여성정책기구는 전통적 행정조직 내에서 점차 고립되었다. 젠더-거버넌스는 외형적 확장에도 불구하고 수평적 네트워크로부터 차츰 멀어졌으며, 가족주의의 대두로 시민사회의 여성단체들 간에 잠재되어 있었던 균열이 증폭되었다. 젠더 이슈가 정책으로 제도화되었으나 국가에 대한 시민사회의 자율성을 담보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가 부재한 상황에서, 정부혁신과 규제개혁의 측면에서 한층 강도 높은 신자유주의를 표방하는 이명박 정부는 정책 네트워크의 신속하고 과감한 재편을 시도할 수 있었다. 이는 국가주도와 시장주도라는 차이에도 불구하고 ‘발전주의’와 ‘신자유주의’가 유사성을 지니고 있으며, 성별분업과 가족주의를 기반으로 여성들을 동원해 온 발전국가의 유제가 완전히 사라진 것이 아님을 시사한다. Since the early 1990s, the Korean women’s movement has raised a variety of gender-related issues, and women’s organizations have successfully influenced legislation. With this achievement, efforts based on a governance plan were made to build cooperation between the government and civil society in the 2000s. However, the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was scaled down after the Lee Myung-Bak administration took office, and women’s organizations, which once maintained conflictual and cooperative relations, now face the threat of being marginalized from politics. Also, the meaning of government-civilian cooperation and the partnership championed by the governance focusing on gender has been reduced. It seems clear that the regime change is related to the women’s policy retreat and crisis of governance in Korea. However, the question of how it all happened suddenly and completely remains. This study aims to examine how the previous governments in Korean society set out conditions which influence the dynamic of the gender-governance and relations around it when they were in power. To this end, this study reflected on the historical conditions and reality of the governance focusing on gender using “institutional selectivity” concept. Also, it analyzed the change of the status of institutes for women’s policy and policy networks. In Korean society, which has a historical experience as a developmental state, the governance focusing on gender in the neoliberal era contains contradiction and tension. The Roh Moo-Hyun government emphasized governance based on democratic participation as well as the administrative innovation. However, institutions for women’s policy in charge of gender issues had been isolated from the conventional bureaucratic administration because of institutional selectivity. Despite its superficial expansion, the governance focusing on gender receded from horizontal networks. Also, the emergence of the familialism amplified the potential conflicts among women’s organizations in civil society. Gender issues became institutionalized, but there was no institutional grid that ensures civil society’s autonomy. With this circumstance, the Lee Myung-Bak administration, which advocates neoliberalism in terms of administrative innovation and regulatory reform, could restructure policy networks in a swift and drastic manner. This clearly shows that market-driven ‘neoliberalism’ is similar to state-driven ‘developmentalism’, and a developmental state’s old practices, which mobilized women based on familialism and gender division of labor, has not disappeared.

      • KCI등재후보

        젠더, 섹슈얼리티, 폭력

        신상숙(Shin Sang-Sook) 한국여성연구소 2008 페미니즘 연구 Vol.8 No.2

        이 글은 1980년대 이후 여성운동의 맥락에서 구성된 '성폭력'의 개념사를 재조명함으로써, 현재의 여성인권 논의와 여성운동의 성정치가 위치하는 역사적 좌표를 가늠해 보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다. 개념으로서의 '성폭력은 우리나라 반성폭력운동의 발생적 기원에 접근하는 중요한 열쇠라고 할 수 있으며, 이 개념의 형성과 발전 과정은 서구 운동사의 맥락과 급진적 패미니즘의 영향 속에서 구성된 'sexual violence'와 동일하다고 보기 어렵다. 1980년대에 여성운동의 담론에서 모습을 드러낸 '성폭력' 개념은 여성들의 다양한 피해 경험을 담아내기에 용이한 확장성을 지니고 있었으나, '권력관계'로서의 젠더를 명확히 문제화하기보다 단지 여성이라는 젠더의 '차이'만을 지시하고 증폭하는 성정치의 한계를 보였다. 1991년에 시작된 최초의 입법운동은 1980년대를 통해서 젠더의 축을 따라 확장된 성폭력 개념을 출발점으로 삼았다. 1991-92년의 논쟁과성폭력특별법의 제정을거치면서 성폭력의 이중적 용례는 성적인 함의를갖는 폭력으로 정리되고 법학적 논의의 영향 속에서 '성적 자기결정권'이 대안적 정의로 부상하였다. 그러나 성폭력의 강조점이 젠더에서 섹슈얼리티로 이동하였음에도 불구하고 1990년대 초반의 성정치는 정상적인 섹스와 비정상적인 폭력의 구분을 넘어서지 못하였다. 이는 젠더화된 섹슈얼리티와 그 권력에 대한 비판과 도전이 현실화되지 않는 한, 성정치의 질적 변회를 기대하기 어렵다는 점을 시사한다. 여성운동의 담론적 구성물인 '성폭력'은 한때 여성에 대한 폭력을 아우르고 여성인권의 각종 주제들올 제기하는 디딤돌이었고, 그것을 통해서 여성운동이 담아내고자 했던 모든 의제들은 각각의 정책으 로 제도화되었다. 그러나 이 개념의 상정적 통합성이 지나간 역사의 유산으로 남은 오늘, 성폭력의 정의를 뒷받침하였던 '성적 자기결정권'은 대단히 논쟁적인 주제가 되었으며, 한국의 여성운동은 여성인권의 성정치학을 재점검하고 그 논의의 심화와 확장을 도모해야 하는 새로운 과제를 안게 되었다. This paper explores the conceptual history of Sungpokryk in the context of discursive practices within Korean women's movement, focusing on changes of meaning and political implications. The Korean word 'Sungpokryok' corresponds to 'sexual violence', in which 'Sung' has dual meaning like 'sex' in English. As Liz Kelly's formulation of the 'continuum of sexual violence' shows, the concept of 'sexual violence' reflects theoretical analysis of radical feminism It has been developed to theorize commonalities of women's experiences and to cover up all different forms of violence against women in the patriarchal society. However, neither the conceptual articulation of Sungpokryok nor the emergence of anti-Sungpokryok movement in South Korea is explained by a reflection of radical feminism. The meaning of Sungporyok has changed over time in the process of Korean women's movement. It was not until the early 1980s that the movement to end violence against women rised in South Korea. The movement was carried out by progressive women's organizations under the authoritative military regime. Instead of the expression of 'male violence' or 'violence against women', the embradve word Sungpokryok came into use as a new coinage that encompasses various types of violence from sexual assault by the police to wife battery. Although the concept expanded along the gender-based line at that time, a counter-discursive criticism of male-supremacy was hard to be formed and most gender conflicts within the pro-democracy movement were sutured or avoided. Since 1991, the women's activism for anti-Sungpokryok legislation has been vitalized and the gender-based Sungpokryok was its point of departure. But a series of debates within women's movement, surrounding different understandings of Sungpokryok and strategies for its legislation, marked a turning point. After the first legislation following the debates, the meaning of Sungpokryok has been restricted to violence under implications of sexuality. Moreover, a new definition of Sungpokryok with emphasis on violation of 'the right to sexual self-determination' has come to the fore. However, shifting weight from gender to sexuality alone was far from being sufficient condition for a radical change of feminist politics, because a sharp demarcation between 'violent crime' and 'normal sex' was taken for granted. Discursive politics of young-feminist groups of the late 1990s was distinguished from the previous ones, as they raised issues of power relations to be discussed and also asserted to hold victim-centered perspectives in resolving the cases. As briefly summarized above, Sungpokryok was a concept to embrace various forms of violence and abuse against women, and a stepping stone to raise many issues of women's human rights as well. But its symbolic cohesiveness has been reduced to just a hidden legacy, and besides, the right to sexual self-determination is too controversial to support the meaning of Sungpokryok. The conceptual history of Sungpokryok implies that women's human rights is still an unfinished project. The analysis presented within this paper suggests that Korean feminists, who are facing to new challenges, need to bring all the issues of women's human rights under serious deliberation.

      • KCI등재

        젠더에 기반한 차별과 폭력의 연속선

        신상숙(Shin, Sang-Sook) 한국여성연구소 2018 페미니즘 연구 Vol.18 No.1

        여성에 대한 폭력(여성폭력)은 제2세대 페미니즘 이후 침묵의 족쇄에서 벗어나 공공의 의제로 부상하였으며, 페미니스트들의 글로벌 액티비즘은 이 의제를 주변에서 중심으로 진입시키는 데 기여하였다. 이러한 영향에 힘입어 1990년대 초부터 유엔을 비롯한 국제기구는 여성에 대한 폭력을 젠더에 기반한 폭력(젠더폭력)으로 규정하고 이를 근절하기 위하여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여 왔다. 한국사회에서도 활발한 여성운동을 배경으로 성폭력을 비롯하여 가정폭력, 성희롱, 성매매와 관련된 법령이 제정되어 현재 시행되고 있다. 2017년에 들어와 새 정부는 국정과제 중 하나인 실질적 성평등의 실천과제로 ‘젠더폭력방지기본법(가칭)’의 제정을 포함하여 국가책임 강화를 약속하였다. 그러나 폭력의 하위 범주들을 통합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인식의 기반이 아직까지 취약하고 그것들을 포괄하는 정책의 핵심 개념에 관한 학술적 검토와 논의 역시 충분히 이뤄졌다고 보기 어렵다. 오히려 최근 수년간 각종 여성혐오 범죄들에 맞서는 SNS의 해시태그 운동이 페미니즘에 대한 관심을 새롭게 환기시켰음에도 불구하고, ‘젠더’나 ‘여성’ 같은 용어들은 혐오사회의 역풍으로 인해 논란이 가중되고 그 의미가 현저히 왜곡되는 상황에 처해 있다. 이 글의 목적은 젠더폭력에 대한 통합적 접근을 위한 이론적이고 경험적인 기초를 모색하는 것이며, 이를 위하여 젠더에 기반한 차별과 폭력의 연관성을 가시화하면서 젠더폭력의 하위 범주들을 관통하는 다섯 가지 특성을 통합적 관점에서 분석하고 논의한다. Through activities such as consciousness-raising and speak-outs, second wave feminists broke the silence surrounding violence against women and made it a public issue. In addition, feminists’ global activism contributed to bringing the issue of violence against women from the margins into the mainstream. It was due to their influence that, in the early 1990s, international organizations including the United Nations defined violence against women as “gender-based violence” and began continuous efforts to eradicate it. In South Korea, as well, laws addressing sexual violence, domestic violence, sexual harassment, and sex trafficking were enacted from the early 1990s through the mid-2000s against the backdrop of an active women’s movement. When the country’s new administration took office in 2017, it pledged to strengthen government efforts in this area, such as by introducing the provisionally-named “Basic Law on the Prevention of Gender-based Violence” in order to bring about substantive gender equality, one of the items on its stated agenda. However, the foundation on which this change must be built-an understanding that enables an integrated approach to all types of violence-is still weak, and it would be difficult to conclude that there has been sufficient academic investigation and discussion about the core concepts of a policy that encompasses all types of violence. This paper, then, seeks a theoretical and empirical base for an integrated approach to the problem of gender-based violence. I adopt an integrated perspective to analyze the features common to different forms of violence, and especially the concept of gender-based violence as a continuum. Finally, through a discussion of the five major characteristics of gender-based violence, I argue that gender as a policy concept can be used as a tool for overcoming an inequitable and dichotomous gender system.

      • KCI등재

        ‘루트거스 광장’을 넘어서

        신상숙(Shin Sang-Sook) 한국여성연구소 2010 페미니즘 연구 Vol.10 No.1

        3.8 세계여성의 날은 20세기에 창출된 여성운동의 핵심적인 상징이자 살아 있는 역사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흔히 기념일과 연관된 주기적인 의례들의 배경에는 원초적인 사건들로 구성되는 기원의 이야기가 놓여 있으나, 3.8세계여성의 날의 기원에 관해서는 논란이 존재하며 다양한 기원설이 혼재하고 있다. 이 논문은 3.8 세계여성의 날의 기원을 둘러싼 논란의 현주소를 살펴보고, 3.8 세계여성의 날의 정립 과정을 구성하는 주요 계기들과 한국의 수용 맥락을 분석하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다. 세계여성의 날을 정초하는 기원의 사건으로 한국사회에서 지난 20여 년간 공유된 ‘루트거스 광장’의 이야기는 1908년 3월 8일에 뉴욕 럿거스 광장(Rutgers Square)에서 발생하였다고 상정되는 여성노동자들의 투쟁으로 소급된다. 그러나 현재 한국사회에서 통용되는 ‘루트거스 광장’의 이야기는 여타의 기원설과 구별될 뿐 아니라 해방 이전 3.8 기념의 전사에서 찾아볼 수 없는 특정한 내용을 담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3.8 세계 여성의 날’이 지구화된 상징으로 부상하게 된 역사적 계기들을 짚어봄으로써, 이 기념일이 하나의 기원에서 유래한다기보다 복합적인 사건들이 어우러진 일련의 과정을 거치면서 정립되어 왔음을 주장하고자 한다. 또한 한국사회에서 3.8 세계 여성의 날을 기념하는 의례적 실천이 단절과 복원을 거쳐 발전하는 역사적 과정을 살펴보는 한편, 다양한 기원설의 존재와 수용 시기에 따른 차이에 비추어 ‘루트거스 광장’의 기원이야기를 재검토할 것이다.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이 논문은 시공간의 확장을 수반하는 3.8 여성운동의 확산 과정과 그 속에서 이루어지는 기억의 정치를 되짚어보고 분절된 당대사의 지평에 한정될 수 없는 3.8 세계여성의 날의 역사를 다시금 생각해 보고자 한다. Each year on March 8, innumerable events celebrating International Women’s Day(IWD) occur all around the world. IWD is a core symbol of women’s struggles which have been ongoing in the 20th century throughout the world. Although IWD is a major day of global celebration, the historical origin of IWD is surrounded by dispute. Recent studies have pointed out that there are many versions of story about the origin of IWD, some of which are allegedly apocryphal. In this paper, I attempts to reconsider the debate by examining the history of IWD, and to compare two distinct versions of the origin story which were introduced into Korea with other ones. To begin with, I examine historical moments which were pivotal in creating the global symbol of ‘IWD on March 8’. Next, the The Korean history of IWD is reviewed. Korean women began to observe IWD in the early 1920s, but the observance of IWD was halted in South Korea after the division of territory and the Korean War. IWD was revived in the middle of 1980s, as progressive women’s movement became more active. It was not until the late 1980s that a new version of origin story emerged in Korea. The story traces the origin of IWD to the demonstration of women workers held in ‘Rutgers Square’ on March 8, 1908. This paper argues that the historical process through which ‘IWD on March 8’ has been established cannot be reduced into a single origin.

      • KCI등재

        1980-90년대 공권력에 의한 성폭력 사건의 젠데정치

        신상숙 ( Sang Sook Shin ) 한국사회사학회 2007 사회와 역사 Vol.0 No.76

        이 글의 목적은 ‘공권력에 의한 성폭력’에 해당하는 세 가지 사례를 역사적으로 재조명함으로써 폭력에 저항하는 여성운동의 담론적 실천에서 나타나는 젠더정치 의 변화를 분석하는 것이다. 공권력에 의한 성폭력은 ‘국가폭력’과 ‘젠더폭력’의 교 차점에 위치하지만 폭력의 의미를 규정하고 저항의 주체를 결집하는 대항담론에서 이 두 가지 맥락이 차지하는 비중이나 효과가 늘 같은 것은 아니다. 이 연구는 경합하는 담론들 속에서 폭력의 의미를 자리매김하는 맥락적 구성이 어떻게 다르게 나타나는지 그 차이를 살쳐보고 젠더갈등의 봉합과 균열에 주목하여 젠더정치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군사독재의 정치적 유화 국면에서 새로운 여성운동이 태동하는 시기에 발생한 1984년 경찰의 여대생 추행 사건은 국가폭력이 젠더폭력의 인식을 자극하고 대항 상징의 모색을 촉진한 사례에 해당한다. 대외적으로 국가폭력의 맥락이 강조됨에 도 불구하고, 이 사건은 여성운동 안에서 아내구타와 성적인 폭력을 포함하는 넓은 의미의 ‘성폭력’ 개념이 구성되는 효과를 가져왔다. 정치 탄압과 사회적 저항이 고조되는 1986년의 부천서 성고문 사건에서는 여성운동이 민주세력과 연대하여 투쟁 함으로써 저항의 규모와 범위가 확대되었으나 ‘반고문 투쟁’이란 선행 맥락과 중첩 됨으로써 국가폭력의 해석 맥락이 강화되었다. 여성운동의 대항담론은 군사독재와 의 대립을 통해 여성을 호명하였으나 잠재된 젠더갈등은 봉합되었고 젠더폭력의 문제의식은 국가폭력으로 흡수되었다. 이와 대조적으로, 문민정부 하에서 발생한 1996년 한총련 여대생 성폭력 사건의 경우에는 젠더정치의 새로운 변화 양상이 관찰된다. 기존의 여성단체들과 구별되는 대한 여성주의자들의 담론 속에서 사건의 의미는 자신들의 일상적인 경험 속에서 재해석되고 폭력의 공사구분은 해체되며 공권력에 의한 성폭력은 젠더폭력의 맥락 안에서 재정렬된다. 이상의 분석 결과는 여성운동에 있어서 젠더정치의 차이가 1980/90년대의 연대기적 분할선으로 단순히 구획될 수 없으며 그것의 변화가 국가-운동정치의 변화와 반드시 일치하는 것이 아님을 시사한다. This article aims to analyze the changes of gender politics revealed in the discursive practices of women’s movement against sexual violence by examining representative cases of “sexual violence by public authorities” which led to the mobilization of activism against the violence in 1980’s and 1990’s. Although sexual violence against women by public authorities had been located at the intersection of ‘state violence’ and ‘gender violence’, these two different violence did neither carry the same weight nor did produce the same effects in the context of the counter-discourses constituting the subjects of protest by defining the meaning of violence. In this paper, I investigated how differently the context prescribing the meaning of violence is formed and analyzed the changes of gender politics by focusing on the suture and fissure of gender conflicts. The first case is the incident of the sexual violence against female university student at the Chungriangri Police Station in 1984, the time of emergence of a new progressive women’s movement going through the alleviation of political suppression of the military regime. Due to this case, state violence instigated the awakening on the issue of gender violence and the need for the symbolic articulation of protest was raised. Despite the explicit emphasis on the context of state violence, this case led women’s movement groups to form the concept of ‘Sungpokryok’ in Korean, corresponding to gender violence or sexual violence in a broad sense including wife beating, rape, even traffic of women. The sexual attack on a woman activist at Bucheon police in 1986 is known as ‘sexual torture’ case, which happened at the height of political suppression of the military regime and social protests. Here, women’s movement fought in solidarity with democratic movement and therefore expanded the size and scales of protests. However, this struggle was overlapped with a precedent ‘anti-torture’ context only to reinforce the interpretive context of state power. The counter-discourses of women’s movement interpellated all women in opposition to the military regime. In this process, the lurking gender conflicts were sutured and the issue of gender violence was sucked into the frame of state violence. Compared to this, a new change of gender politics was observed from the case of sexual violence perpetrated by policemen during the suppression of Hanchongryon demonstration in 1996 under post-military or democratized regime. Young Feminist groups in college who distinguished themselves from established organizations of women’s movement reinterpreted the incident within the context of their everyday life experiences; their discourses dismantled the dichotomy of public-private violence, and realigned the frame of sexual violence by public authorities within the context of gender violence. The above analysis suggests that the differences of gender politics of Korean women’s movement cannot be demarcated simply along the chronicle line of 1980’s and 1990’s and historical change of gender politics does not always coincide with the transition of state-movement politics.

      • KCI등재

        여성폭력추방운동의 역사적 맥락과 제도화 과정의 차이

        신상숙(Shin Sang-Sook) 한국여성학회 2007 한국여성학 Vol.23 No.3

        이 연구는 강간위기센터(RCC)와 여성쉼터(BWS) 조직의 활동이 가장 먼저 시작된 미국과 영국의 여성폭력추방운동을 고찰함으로써 제도화 과정에서 나타나는 두 나라 운동의 국가별 차이와 성폭력/가정폭력 부문의 차이를 역사적 맥락 속에서 분석하려는 시도이다. 오늘날 각국의 여성폭력추방운동은 ‘제도화’와 관련된 논란에 둘러싸여 있다. 제도화가 과연 운동의 성공이냐 실패냐의 논란에도 불구하고, 그것은 흔히 비가역적인 과정이나 결과로 간주되고 자율성의 상실과 직결되는 것으로 여겨져 왔다. 그러나 자율성과 제도화에 관한 이항대립적인 접근이나 역사적 맥락으로부터 추상화된 논의는 운동과 국가의 역학 관계를 비롯하여 제도화 과정의 실질적인 차이를 변별하기 어려운 한계가 있다. 여성폭력추방운동이 형성되고 발전하는 역사적 맥락이 상이하다면, 자율성을 뒷받침하는 운동의 역량은 물론 제도화의 과정 역시 동일하지 않을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미국과 영국의 초기 RCC/BWS와 같은 페미니스트조직의 자율성을 재검토하고, 영미 운동의 전개 과정에서 나타나는 조직의 변화와 제도화의 양상을 살펴봄으로써 그 가능성을 타진하였다. 영미의 여성폭력추방운동은 급진적 담론의 정치를 배경으로 소집합체의 특성을 갖는 현장운동이 활성화됨으로써 시작되었다는 점에서 유사하지만, 미국은 강간 피해자들을 상담하고 지원하는 RCC 형태의 조직들이 먼저 출현하였고 영국은 매맞는 여성들에게 피난처를 제공하는 BWS 조직이 우세를 점하는 가운데 RCC가 뒤늦게 나타났다. 두 나라에서 RCC/BWS 조직을 특징짓는 연대의 발전은 차이가 있으며, 영국의 경우 가정폭력 부문의 BWS 조직은 여성주의 원칙과 자율적 역량을 바탕으로 영향력을 갖게 되었으나 성폭력 부문의 RCC 조직은 국가로부터 배제되었다. 영미 운동에 대한 역사적 고찰과 RCC/BWS 조직에 초점을 맞춘 분석의 결과는 자율성과 제도화의 딜레마가 단순히 국가의 재정 지원을 수락하느냐의 여부로 풀릴 수 없는 문제이며, 현실의 제도화 과정이 ‘자율적 운동’과 ‘제도화된 운동’의 선명한 구분으로 환원되지 않는 다양한 스펙트럼을 포함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explores the historical process of the women's movement to end violence against women(the VAW movement) in the U.S. and the U.K. where rape crisis center(RCC) and battered women's shelter(BWS) firstly started their activities. Its aim is to analyze the difference shown in the institutionalization processes between the sexual violence and the domestic violence sectors in the two nations, focusing on the historical context that has construct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movements. Although the violence against women was one of the most critical issues raised by the radical politics of the second-wave feminism, the VAW movement has become the site of heated controversies over the 'institutionalization'. The adverse effects caused by the institutionalization, which has often been pointed out in the debate over the VAW movement, can be encapsulated into bureaucratization, professionalization, and service-oriented change of the organization. In spite of the debate over whether the institutionalization is a success or a failure of the movement, it has been regarded as an irreversible process or a result and the cause to the loss of autonomy. However, the binary-oppositional approach to autonomy or institutionalization, and the discussion abstracted from historical contexts are likely to fail to clarify the actual differences shown in the institutionalization process such as power dynamics between the movement and the government. If the movement has been formed and developed in different historical contexts, not only the capacities of the movement to claim for autonomy but also the institutionalization process would not be the same. In order to explore the feasibility of the above claim, I reviewed the autonomy of the feminist organizations such as the early RCC and BWS of the U.S. and the U.K. and examined the organizational change and the various aspects of the institutionalization in the development of their movements. Analyzing the institutionalization process of the VAW movement of the two nations, this study put focus on the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 of RCC and BWS and the difference of their coalition-building processes as well as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nations. They bear some similarities in that the VAW movement was firstly initiated by the small groups in the local regions in the background of the politics of radical discourse. However, in the U.S. RCC types of organizations that gave empowerment and support to the rape survivors firstly appeared, while the BWS that provided shelters to the battered women appeared earlier than RCC in the U.K. The two nations also show differences in the coalition or alliance development of the two organizations. In the U.K., the BWS has exerted the influence, staying at the feminist principle and autonomous power, while the feminist RCC has been excluded from the government. The historical examination of the movements in the U.S. and the U.K. and the analysis centered on the RCC/BWS organization show the findings that the dilemma between autonomy and institutionalization cannot be solved only by the decision whether to accept the financial support from the government or not. The current institutionalization process has a variety of aspects, in which the ‘autonomous movement' cannot be sharply separated from the ‘institutionalized movement.'

      • KCI등재

        제도화 과정과 갈등적 협력의 동학

        신상숙(Shin Sang-Sook) 한국여성학회 2008 한국여성학 Vol.24 No.1

        사회운동론의 ‘제도화’ 개념은 여성운동의 제도화에 관한 연구들에 폭넓게 적용되어 왔으나 여타의 사회운동과 운동조직을 준거로 삼는 제도화 논의가 여성운동, 특히 여성폭력과 관련된 페미니스트조직에 얼마만큼 적합성을 갖는가에 대해서는 의문의 여지가 있다. 이 연구는 기존의 제도화 개념이 갖는 한계에 대한 고찰과 이론적 재구성을 토대로 제도화 과정의 역동성을 포착할 수 있는 대안적인 분석틀을 발전시키고, 이를 적용하여 한국사회의 역사적 맥락 속에서 전개된 여성폭력추방운동(반성폭력운동)의 제도화 과정을 분석하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다. 여성폭력추방운동 안에서 불균등하게 발전하고 상이하게 구조화되는 현장, 담론, 연대의 세 가지 차원에서 볼 때, 1980년대의 정치사회적 조건에서 시작된 한국의 반성폭력운동은 현장 상담소조직의 확산이나 담론정치의 급진화에 비하여 여성운동의 연대 발전이 선행하였다. 정치적 기회구조가 변화되는 1990년대 초반부터 국가와 운동의 ‘갈등적 협력’이 개시될 수 있었으나 여성폭력 관련 법제화가 궤도에 오르고 정책이 시행되면서 운동환경의 변화가 야기되고 국가와 현장조직 간의 지식 교환 방향이 점차 역전되었다. 따라서 2000년대에 들어와 국가에 의한 포섭/배제의 압력이 전보다 높아지고 갈등적 협력의 위기가 가시화되지만, 반성폭력운동을 수행하면서 상담소조직을 운영해 온 여성단체들의 대응 양상은 신중하면서도 과감한 전략적 선택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 연구는 현장, 담론, 연대 차원의 발전에서 반성폭력운동의 자율성을 뒷받침하는 자율역량의 요소들을 분석함으로써 그 이유를 해명하고, 제도화 과정과 운동의 자율역량에 대한 역사적 이해의 필요성을 제기한다. It is doubtful whether the concept of 'institutionalization' which has been framed in social movement research is appropriate on the research about the institutionalization of women's movement, especially the feminist organizations related with the movement to end Violence Against Women(the VAW movement). The women's movement is possibly in the process of activism even after the politics between the state and movement started to be institutionalized, and the institutionalization process shows dynamic aspects of constant tensions and changes. This study aims to develop an alternative analytical framework to capture the dynamics of institutionalization process through theoretical reconstruction, and to analyse the institutionalization process of the anti-Sungpokryok movement, the VAW movement in the historical context of Korean society. The Korean VAW movement emerged in the early 1980s when Korean society was conservative with the influences of Confucian tradition and the military regime. This resulted in the premature development of alliance among women's movement organizations prior to the wide spread of field-orientated organizations such as feminist rape crisis centers and battered women's shelters or to the radical politics of discourses. Since the early 1990s, when the political opportunity structure changed, the 'conflictual cooperation' between the state and movement could start. However, due to the change of movement environment with the legislations of VAW related law and their enactments, the state's need to depend on the field-based knowledge produced by movement organizations has gradually decreased. Therefore, in the early 2000s when the government started to push the selective strategy of co-optive inclusion/exclusion strongly and the crisis of 'conflictual cooperation' became quite visible, women's VAW movement organizations running sexual violence or domestic violence centers came to adopt discreet but decisive strategies. This study elucidates the elements of the capacity of movement for maintaining the autonomy of VAW movement in the development of three constituent dimensions - field, dicourse and alliance - and raises the need for historical understanding on the autonomy of movement in the process of institutionalization.

      • KCI등재

        3·8 세계여성의 날 기념의례의 분석을 통해 본 진보적 여성연대 한국여성대회(1985~2016년)를 중심으로

        신상숙 ( Shin Sang-sook )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한국민주주의연구소 2016 기억과 전망 Vol.0 No.35

        지구촌의 대표적인 기념일로 자리 잡은 `3·8 세계여성의 날`과 이를 기념하는 의례는 각국의 여성들이 해당 사회의 조건 속에서 자신들의 필요와 열망을 표출하고 여성들 간의 연대를 확장하는 기능을 해왔다. 3·8 세계여성의 날이 국경을 초월한 여성연대의 상징이라면, 이를 기념하는 행위는 지역화된 여성운동의 동원 과정이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이처럼 과거를 기념하는 의례가 저항의 의미를 함축하고 현재의 운동에 대하여 내재적인 요소로 자리 잡을 때, 그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의례에 대해서도 `운동`의 의미를 부여할 수 있을 것이다. 한국에서는 일제강점기인 1920년대부터 3·8 국제부인데이를 기념하고자 하는 움직임이 시작되었으나, 이 기념의 전통은 분단과 전쟁을 거치면서 남한 땅에서 자취를 감추었다. 이처럼 명맥이 끊겼던 기념의 실천을 되살린 것은 1980년대에 군사독재 시기에 등장하여 여성운동의 새로운 방향을 모색하던 진보적 여성단체들이었다. 이 단체들이 1985년에 3·8 세계여성의 날을 기념하여 개최한 제1회 한국여성대회는 그 출발점으로서 중요성을 지닌다. `한국여성대회`는 진보적 여성단체들의 연대를 촉진하여 `한국여성단체연합`의 출범(1987)을 가능하게 하였으며, 이러한 연합운동의 존재는 국경과 지역의 경계를 횡단하는 3·8 기념의례의 지속성과 여성연대의 확장에 일조하였다.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여성대회`를 비롯하여 3·8 세계여성의 날을 기념하는 여성운동의 집합적 실천의 역사를 조명함으로써 기념의례의 형식과 내용의 변화상을 분석하고, 3·8 여성운동의 역사적 의미와 과제들을 짚어보는 것이다. 지난 30여 년간 부단히 이어진 `한국여성대회`는 여성운동의 입장과 요구를 대외적으로 선언하는 집회에서 문화적 축제로 그 의례의 형식과 내용이 변모하면서 발전해왔다. 이 글에서는 1985년부터 2016년까지 진행된 `한국여성대회`를 중심으로 기념의례의 형식과 내용을 분석하는 한편, 지역의 차원에서 이뤄진 3·8 기념의례의 확산 과정을 아울러 살펴본다. International Women`s Day and various events to celebrate it have contributed not only to expressing their needs and aspirations but also strengthening solidarity among women in each society. It is not an exaggeration to say that the commemoration ceremony of International Women`s Day, which is held around March 8 every year, is a local mobilization process of the women`s movement with a global symbol of women`s solidarity. In Korea, the commemoration of the International Women`s Day commenced in the 1920s, the Japanese occupation period. However the act of commemoration disappeared in the South Korean territory through the Korean division and the Korean War. It was the progressive women`s organizations that emerged in the 1980s, the period of military regime, that revived the tradition of commemoration. The progressive women`s groups participating in the new women`s movement in pursuit of social democracy held the first Korean Women`s Day Convention on March 8, 1985. This is important as a starting point for the coalition building, which made it possible to launch the Korean Women`s Association United(KWAU), the umbrella organization of the progressive women`s move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llective practice of the women`s movement in commemoration of International Women`s Day such as the Korean Women`s Day Convention. The Korean Women`s Day Convention has been developed from a rally declaring the positions and demands of the women`s movement to cultural festivals by changing the form and contents of the ritual. In this Article, I analyzed the Korean Women`s Day Convention from 1985 to 2016, and examine the proliferation process of the rituals held at the local level.

      • KCI등재

        정부의 신종인플루엔자 A(H1N1) 대응

        이동한,신상숙,전병율,이종구,Lee, Dong-Han,Shin, Sang-Sook,Jun, Byung-Yool,Lee, Jong-Koo 대한예방의학회 2010 예방의학회지 Vol.43 No.2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announced the emergence of a novel influenza on April 24, 2009, and they declared pandemic on June 11. In Korea, the proportion of influenza-like illness and the consumption of antiviral agents peaked in early November. The government established the Central Headquarters for Influenza Control and operated the emergency response system. In the quarantine stations, we checked the body temperature and collected quarantine questionnaires from all the arrivals from infected countries. We also isolated the confirmed cases in the national isolation hospitals. However, as the community outbreaks were reported, we changed strategy from containment to mitigation. We changed the antiviral agent prescription guideline so that doctors could prescribe antiviral agents to all patients with acute febrile respiratory illness, without a laboratory diagnosis. Also the 470 designated hospitals were activated to enhance the efficacy of treatment. We vaccinated about 12 million people and manage the adverse event following the immunization management system. In 2010, we will establish additional national isolation wards and support hospitals to establish fever clinics and isolation intensive care unit (ICU) beds. We will also make a computer program for managing the national isolation hospitals and designated hospitals. We will establish isolation rooms and expand the laboratory in quarantine stations and we will construct a bio-safety level 3 laboratory in each province. In addition, we plan to construct a bio-safety level 4 laboratory at a new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CDC) facilities in Osso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