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Roma 여신과 황제들-아우구스투스와 하드리아누스의 프로파간다를 중심으로

        신명주 한국서양고대역사문화학회 2019 서양고대사연구 Vol.55 No.-

        In the ancient Mediterranean world, Dea Roma was worshipped as the personification and deification of the Roman state. It is more probable to find the origin of dea Roma in the Greek world than in Rome. Greeks had a tradition of personifying city states, worshipping foreign invaders for diplomatic purposes and worshipping Tyche, the city goddess who protects the fortune of a city or community. Augustus chose dea Roma as a proper concept to express his new state system and cultural feeling. He officially allowed provincial people to worship himself and dea Roma together in provinces. We have the temple for Augustus and Roma in Ancyra still today. In the Augustan age, dea Roma did not have an official cult in Rome, but was more often personified, used to refer to the state and even deified in the poetries of Horatius, Propertius and especially Vergilius. Dea Roma appeared in Ara Pacis Augustae as the symbol for Roman glory and peace. In Gemma Augustea, dea Roma who sat beside Augustus, played a role to strengthen the divinity of Augustus allusively. Dea Roma began to have formal cult in Rome when Hadrianus built the temple of Venus Felix and Roma Aeterna on the Velian hill in the 2nd century C.E.. This temple was one of the biggest temples in Rome. Hadrianus participated in the design of this temple and his philhellenic tendency was apparent in it. Hadrianus showed his vision for unifying the empire by locating prominently featuring Venus and Roma, the most Romanic Goddesses in this Greek-style temple. Augustus used the image of dea Roma to verify and strengthen his newly established power of as emperor implicitly. Hadrianus used dea Roma for operating strengthened power of emperor more freely in the Roman Empire. Maxentius was a rival member of the tetrarchy and aligned himself with dea Roma for the political purpose of maintaining a priority for the city of Rome and to secure the loyalty of its citizens. After his defeat, dea Roma was also worshipped in the new capital, Constantinopolis. The concept of eternal Rome (Roma Aeterna) has been maintained until now. Roma 여신은 로마라는 정치체의 의인화 현상으로, 로마의 세력이 강해지는 공화정 중기 이후부터 그리스와 소아시아 지역을 중심으로 그 숭배가 두드러졌다. 그 기원은 로마 자체보다는 도시 국가에 대한 의인화 전통과 함께 티케 여신에 대한 숭배, 헬레니즘의 지배자 숭배 전통을 가지고 있었던 그리스 세계에서 찾는 것이 타당해 보인다. Roma 여신은 스스로 만들어낸 새로운 정치 체제와 문화적 감정을 선전하고자 했던 아우구스투스에게 매우 유용한 존재였다. 아우구스투스는 속주에서 속주민들이 자신과 Roma 여신을 함께 경배하는 것을 공식적으로 허락했으며, 안키라에는 오늘날에도 Roma-아우구스투스 신전이 남아있다. 로마시에서는 여신으로서 공식적인 숭배를 받지는 않았지만, Roma의 의인화와 신격화는 특히 베르길리우스를 비롯해 호라티우스, 프로페르티우스 등 아우구스투스 체제에 협조적이었던 시인들의 작품에서 다수 나타난다. 도상학적으로도 Roma 여신은 로마의 평화와 영광을 상징하며 아우구스투스의 평화 제단의 부조 한 면을 차지하고 있다. 겜마 아우구스테아에서도 여신은 아우구스투스 바로 옆에 앉아 아우구스투스의 신성함을 암묵적으로 강화해주는 역할을 한다. 기원후 2세기 중반, 하드리아누스 황제는 벨리아 언덕에 베누스-Roma 신전을 건설함으로써 Roma 여신을 정식으로 로마시에 입성시킨다. 이 신전은 당시 로마에서 가장 큰 규모를 자랑했으며, 설계에 직접 개입했다고 전해지는 하드리아누스가 자신의 그리스적 성향을 여실히 드러낸 건물이기도 했다. 하드리아누스는 그리스적 양식의 신전 안에 가장 로마적인 여신들, 즉 베누스와 Roma를 자리 잡게 함으로써 자신이 가지고 있던 제국 통합의 비전을 보여주었다. 아우구스투스가 Roma 여신의 이미지를 새로이 수립한 황제권력을 암묵적으로 확인하고 강화하는 데 이용한 데 비하여, 하드리아누스는 이제 견고해진 황제권력을 로마제국 내에서 좀 더 자유롭게 운용하는데 Roma 여신을 이용했던 것이다. 이후 4제 통치 하의 경쟁 속에서 로마시의 수위권을 유지하고 시민들의 충성을 얻으려 했던 막센티우스 역시 Roma 여신의 이미지를 효율적으로 이용했다. 제국의 수도가 콘스탄티노폴리스로 옮겨간 이후에도 Roma 여신에 대한 숭배는 계속 유지되었으며, 영원한 로마라는 개념 역시 현대까지도 지속되었다.

      • 뇌간에 발생한 신경절교종

        신명주,양국희,김태성,최중언 대한신경외과학회 2002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Vol.32 No.3

        Ganglioglioma comprises about 2% of all intracranial neoplasm, however, it is rarely originated from the brain stem. We report a case of ganglioglioma arising from the brain stem. A 15-year-old girl presented with gait disturbance and dysarthria. Magnetic resonance image revealed a high signal intensity mass with cystic cavities in the right cerebellum and the brain stem. The patient underwent subtotal resection and microscopic examination revealed a ganglioglioma. It is suggested that ganglioglioma should be included in the differential diagnosis of posterior fossa tumors, even located in the brain stem. Key words:Ganglioglioma;Brain stem;Magnetic resonance imaging.

      • KCI등재

        위드 코로나 시대, 시민성교육 방향 탐색

        신명주,신현주 한국사회안전 범죄정보학회 2022 한국범죄정보연구 Vol.8 No.2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suggest the orientation of citizenship education in the age with Corona. For this study, the consciousness of secondary teacher about the proper time to educate citizenship, important citizenship and necessary value in citizenship were surveyed. Using the data collected by questionaire, Frequency analysis and chi-square test were performed. The result of this study, the direction of the citizenship education which has to be stressed in the era with Corona was proposed as follows. First, citizenship education should be changed and the proper time to educate citizenship is primary school period. Second, ‘participation and communication’ which was the fourth important value in pre-Corona era become perceived more important than ‘traditional belief and acceptance of value’. which was recognized the most important value in pre-Corona era. Third, education for the digital citizenship is more needed than global and national citizenship in the era with Corona. 이 연구는 위드 코로나 시대에 필요한 시민성교육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현직 중등학교교사들을 대상으로 시민성교육의 시기, 중요시되어야 할 시민성, 시민성 중 필요한 가치 등에 대해 의식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분석은 기초적인 빈도분석과 응답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교차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위드 코로나 시대 유의미하게 강조되어야 할 시민성교육의 방향은 다음과 같다. 첫째, 위드 코로나 시대에는 기존의 시민성교육에 대한 변화가 필요하며, 초등학교 시기에 교육하는것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난다. 둘째, 위드 코로나 시대에는 코로나 이전 가장 중요한 가치로 여겨졌던 ‘전통적 신념・가치수용’ 가치보다 네 번째로 중요하게 여겨졌던 ‘참여와 소통’의 가치가 가장 중요한 것으로 인식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현대사회의 다양한 시민성 중 위드 코로나 시대에는 디지털시민성에 대한 교육이 더 필요한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서 효율적인 테이블 튜닝 연산 방법

        신명주,김용성 차세대컨버전스정보서비스학회 2016 디지털예술공학멀티미디어논문지 Vol.3 No.1

        In relational database, it is mainly due to inefficient SQL statements that a process occupies the CPU excessively. A processing method for SQL statements with a little data does not cause a serious problem. But in case of the processing with lots of data, it can cause a serious problem in a performance of database system. Though queries produce the same result, the response times of each query can vary depending on the forms of SQL statements. Even though an index is created adequately, it can cause poor performance by using an SQL statement without an index. Also, using unnecessary index brings poor performance of a database system and waste of storage.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select and use an index through SQL tuning. In this paper, a test about the efficiency of indexes and the performance of join query with a row size, a process scope of attributes of query condition, and the distribution of data are performed. A guide for index creation in relational database is also proposed. 본 논문에서는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서 테이블의 행의 크기, 질의 조건의 속성에 대한 처리 범위, 자료 분포도에 따른 인덱스 효율과 조인 질의시 수행 성능을 평가하여 인덱스 생성 지침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질의 선택률과 인덱스 유무를 평가 기준으로 평가하는데 목적이 있다. 실험결과적으로, 인덱스는 테이블의 행의 크기가 클수록 그리고 질의 조건의 속성에 대한 질의 선택률이 많을수록 검색 효율이 떨어졌으며, 단일 테이블에서의 단순 질의와 분할된 테이블에서의 단순 이퀴조인 질의시의 검색 효율을 비교할 때, 질의 조건의 속성에 대한 동등질의나 범위질의 모두 분할된 테이블에서의 단순 이퀴조인 질의 할 때 검색 효율이 떨어졌다. 이러한 실험 결과들을 종합해보면 인덱스는 응용프로그램의 개발 완료 후에 사용된 질의문들을 토대로 인덱스 생성관계, 액세스 경로를 최적화하기 위해서 SQL 튜닝을 수행해야 하며, 이를 통해 데이터베이스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과정에서 본논문에 제시한 인덱스 생성 지침과 활용 지침이 매우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 KCI등재

        유리관의 유전 특성이 외부전극 형광램프에 미치는 영향

        신명주,정종문,김정현,김가을,이미란,유동근,구제환,홍병희,최은하,조광섭,Shin, Myeong-Ju,Jeong, Jong-Mun,Kim, Jung-Hyun,Kim, Ga-Eul,Lee, Mi-Ran,Yoo, Dong-Gun,Koo, Je-Huan,Hong, Byoung-Hee,Choi, Eun-Ha,Cho, Guang-Sup 한국진공학회 2007 Applied Science and Convergence Technology Vol.16 No.5

        유전 장벽 방전이 특징인 외부전극 형광램프(External Electrode Fluorescent Lamp, EEFL)에서 유리재의 유전 특성인 유전상수 K와 유전손실 tan ${\delta}$가 램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4 종류의 유리관을 사용하였다. 종래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Borosilicate 유리재는 유전상수 $K=5.6{\sim}5.9$이고 유전 손실 tan ${\delta}=5.0{\times}10^{-3}{\sim}6.0{\times}10^{-3}$이다. Aluminosilicatae는 K=6.6이고 유전손실이 작은 tan ${\delta}=1{\times}10^{-4}$이다. Soda-lime 유리관은 유전상수가 큰 K=7.7이고, 유전 손실이 매우 큰 tan ${\delta}=1.37{\times}10^{-2}$이다. 유전 상수 K가 크면 외부전극 자체의 캐패시터를 크게 하여 방전 효율이 증가한다. 그러나 유전 손실이 크면 외부전극 자체의 전력 소모로 인하여 효율 저하와 핀홀 발생의 원인이 된다. 높은 유전상수 및 낮은 유전손실의 Aluminosilicate 외부전극 형광램프는 종래의 Borosilicate 외부전극 형광램프에 비하여 휘도와 효율이 $12{\sim}20%$ 증가하고, 핀홀에 매우 강하다. 유전상수와 유전손실이 큰 Soda-lime 외부전극 형광램프는 효율이 다소 낮고, 핀홀에도 매우 취약하다. 따라서 외부전극 형광램프는 유전상수 K가 크고 유전손실 tan ${\delta}$가 작은 유리관이 최적이다. Influence of glass dielectric property (dielectric constant K, dielectric loss) on the external electrode fluorescent lamps of the dielectric barrier discharge has been investigated with 4-different glasses. Conventional borosilicate glass tubes with $K=5.6{\sim}5.9$ and tan ${\delta}=5.0{\times}10^{-3}{\sim}6.0{\times}10^{-3}$ and aluminosilicate glass tubes with high K=6.6 and low tan ${\delta}=1{\times}10^{-4}$ and soda-lime glass tribes with K=7.7 and tan ${\delta}=1.37{\times}10^{-2}$ have been compared. The high value of dielectric constant K makes the capacitance of external electrode fluorescent lamps intensity and enhances the discharge efficiency. The dielectric loss of tan ${\delta}$ shows the factor of power consumption in the external electrode to induce heats and to be weak in pinhole stability. The aluminosilicate glass tubes of high K and low tan ${\delta}$ have been enhanced by $14{\sim}18%$ in luminance and efficiency in comparison with the conventional borosilicate glass tubes and the aluminosilicate external electrode fluorescent lamps are strong against the pinhole formation. Soda-lime glass tubes with high K and high tan ${\delta}$ are a little favorable in luminance and efficiency and they are very weak in pinhole occurrence.

      • KCI등재

        공무원연금제도 개선방안에 대한 주관성 연구

        신명주,이제영 한국콘텐츠학회 2020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0 No.10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practical ways to improve the 5th Government Employees Pension System(GEPS) in the near future. This article surveyed the civil servants cognition in three different levels(validity, feasibility, efficiency) by Q methodology. The value and mean of GEPS in the validity level, procedure and participants of GEPS reform process in the feasibility level, and contribution rates, benefit rate, replacement rate of GEPS in the efficiency level were analyzed. There is no successful policy without securing compliance and acceptance of implementation organization and target group. So next 5th GEPS reform could proceed successfully when it took into account civil servant’s-who is the implementation group and target group- thought about variances of the 3 levels of GEPS. 이 연구는 향후 제5차 공무원연금체제를 개선하기 위한 실질적인 제안을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 연구를 당위성, 실현성, 능률성 차원에서 공무원들을 대상으로 하여 인식을 조사하였고, Q방법론을 사용하였다. 당위성 차원에서는 공무원연금체제의 가치와 수단을 검토하였고, 실현성 차원에서는 공무원연금체제의 과정과 참여자, 능률성 차원에서는 공무원연금체제의 기여율, 지급률, 대체율 등을 분석하였다. 집행조직과 정책대상 집단의 순응과 수용이 확보되지 않은 상태에서 정책은 성공할 수 없다. 따라서 다가올 제5차 공무원연금개혁은 정책집행 집단이면서 동시에 정책대상 집단인 공무원의 사고를 3가지 차원에서 고려할 때 공무원연금정책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고대 로마 물 공급의 공공성과 트라야누스 수로(Aqua Traiana)

        신명주 한국서양고대역사문화학회 2023 서양고대사연구 Vol.66 No.-

        The existence of Roman aqueducts, which were created to supply drinking water to all urban residents, shows the Romans' concept of water as a public resource. The Romans shared the idea that healthy water, was essential for people's health, an idea which originated in Greece, and they thought that securing healthy drinking water was a prerequisite for people to live together. When the city of Rome, initially using the water of the Tiber River, gradually expanded and needed more water, politicians in the republican period constructed aqueducts to supply it. In addition to the simple motive of supplying drinking water for urban residents, many political and economic interests were complicatedly intertwined in the construction of aqueducts. However, emperors who did not have to directly engage in family rivalries considered it a favorable duty for the ruler to provide healthy water to the public. Underlying it was a social consensus that water was a common resource that had to be managed publicly. The Aqua Traiana, one of the imperial aqueducts named after the emperor, was consecrated along with the Thermae Traiani(Baths of Trajan) in 109 C. E.. Aqua Traiana connects Lake Braccianoandits water source region, to the Transtiberina region, west of the Tiber in Rome. Based on inscriptions, it seems that it supplied water not only to the Transtiberina region, but also to all regions of Rome. The Thermae Traiani on Oppius Hill, east of the Tiber, were also supplied with water through Aqua Traiana, The Thermae Traiani can be said to be an example of bread and circuses policy, in which the emperor, who had secured abundant water resources, used them to build a place to provide entertainment for the public. The recent excavation of the structures below the Thermae Traiani and the exploration of the water source of the Aqua Traiana suggest the possibility that these structures were not the works of Trajan alone. It is possible to hypothesize that the Flavian family, especially the Emperor Domitian, may have contributed to the initial plans for construction. In the case of Aqua Traiana, it is possible that a small local aqueduct in the Vicarello region was expanded into a grand urban project began by Domitian and completed by Trajan. Even when the dynasty was replaced, the tendency of favorable water-related policies continued, and this was the force that made Rome remain a city of water. In addition, various interdisciplinary approaches to research on Aqua Traiana relating not only historians and archaeologists, but also waterworks company, speleologists, documentary film makers, and geoscientists, suggest future research directions in the field of ancient history and archaeology.

      • KCI등재

        저소득 조손가정 조모의 양육경험 연구

        신명주 한국콘텐츠학회 2019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9 No.6

        Based on phenomenological view a research utilizing qualitative methodology to understand about parenting difficulty and stress through an in-depth interview with grandmother in low-income grandparent-headed family was administrated. The results indicated that experience with parenting stress of grandmother in low-income grandparent-headed family lead to economic hardship, grandchildren who are a barrier of old-age, and desolate parenting. This article implicates that a basis to guide a direction and role of social welfare intervention to alleviate parenting stress of grandmother in grandparent-headed family and to improve a life quality emergent on the results could be provided. Several considerations on this finding shows as follows. First, with currently active support project re-monitored and re-checked, support program could be needed to enlarge. Second, support program development and social support to decrease parenting stress and depression of grandmother in grandparent-headed family could be necessary. With educational and cultural as well as mentoring program helpful for grandmother parenting designed, a support system to complement non-sufficient support network will be established together. 본 연구는 현상학적 해석학을 바탕으로 저소득 조손가정의 조모와의 심층면담을 통해 조모의 양육의 어려움과 양육스트레스에 대해 이해하고자 질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저소득 조손가정 조모의 양육스트레스 경험은 경제적 어려움, 노후의 걸림돌이 된 손자녀, 양육의 막막함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새롭게 부각되고 있는 조손가정 조모의 양육스트레스를 경감시키고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사회복지개입 방향과 역할을 구체화할 수 있는 근거를 제공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몇 가지 제언을 한다면 첫째, 현재 시행 중인 지원사업을 재검토하여 지원내용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 둘째, 저소득 조손가정 조모의 양육스트레스와 우울감을 감소시키기 위해 지지프로그램의 개발과 사회적 지원이 필요하다. 조모의 양육에 도움이 될 수 있는 교육·문화와 더불어 멘토링 프로그램을 만들어 부족한 원조관계망을 보완하는 지원도 함께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 KCI우수등재

        로마에서의 아스클레피오스 숭배

        신명주 한국서양사학회 2022 西洋史論 Vol.- No.153

        Asclepius was introduced to Rome from Epidaurus in 291 BCE to alleviate the plague that swept Rome. The temple of Asclepius was erected in the Tiber island. Although this temple did not serve as a hospital, it remained a place where the sick continued to come in the imperial period. Asclepius established himself as the god of health along with his father Apollo and Salus. Salus who was traditional Roman goddess in charge of safety and well-being, was gradually identified with Hygieia, a daughter of Asclepius. Like the Greeks, the Roman physicians called themselves Asclepiades, descendants of Asclepius. Roman emperors were associated with the cult of Asclepius through court physicians. Claudius, in favor of his physician Xenophon, proposed exemption from tribute to the island of Kos, Xenophon’s hometown and famous for the cult of Asclepius. Hadrianus remodeled the temple of Asclepius-Soter in Pergamum into the temple of Zeus-Asclepius during his visit. Caracalla visited the temple of Asclepius in Pergamum to be healed of his physical and mental illness. The generalization of cult of Asclepius in Rome can be seen in Roman coins showing various aspects of worship for Asclepius. Asclepius was a popular deity among Roman soldiers who were exposed to wounds and disease on the battlefield. Asclepius appeared frequently in inscriptions excavated from military garrison areas, and most of these inscriptions were erected by medical personnel(medicus) in the army. Archaeological evidences showing the connection between the army and Asclepius are abundantly found in the area of military hospital (valetudinarium). The introduction of Asclepius to Rome was organized by consuls and other political officials, and worship for him was linked not only to ordinary people but also to emperors and soldiers. The worship of Asclepius in Rome shows how Roman state power expressed interest in the health of the community, or individuals belonging to it. 아스클레피오스는 기원전 291년, 당시 로마를 뒤덮었던 역병에 대처하기 위한 구원투수로서 에피다우루스로부터 로마로 도입되었다. 티베르섬에 아스클레피오스를 위한 신전이 마련되었고, 신전이 병원의 역할을 하지는 않았지만 제정기 이후에도 이곳은 계속 병자들이 모여드는 곳으로 남았다. 아스클레피오스는 로마에서도 아폴로, 살루스와 함께 건강을 주관하는 신으로 자리 잡았다. 로마에서 안전과 안녕을 주관하던 신인 살루스는 점차 아스클레피오스의 딸이자 위생, 청결, 건강의 여신인 히기에이아와 동일시되었다. 그리스와 마찬가지로 로마의 의사들도 스스로를 아스클레피오스의 후예인 아스클레피아데스라 칭했고, 황제의 주치의들을 통해 황제들도 아스클레피오스 숭배와연계되었다. 특히 클라우디우스 황제는 주치의였던 크세노폰에 대한 총애로 그의 출신지이자 아스클레피오스 숭배로 유명한 코스섬에 대한 공납의 면제를 추진하였다. 하드리아누스 황제는 제국을 순방하는 과정에서 페르가뭄의 아스클레피오스 신전을 제우스-아스클레피오스 신전으로 대규모 개축하였다. 카라칼라 황제는 스스로의 육체적, 정신적 질병을 치유받기 위해 페르가뭄의 아스클레피오스 신전에 직접 참배하는 모습을 보였다. 아스클레피오스 숭배가 로마에서도 일반화된 것은 아스클레피오스 숭배의 다양한 양상이 나타나는 주화가 로마시에서도 지속적으로 주조된 것에서도 알 수 있다. 전쟁터에서 부상과 질병에 자주 노출된 로마 군인들 사이에서도 아스클레피오스는 인기 있는 신이었다. 아스클레피오스는 군대 주둔지역에서 발굴된 비문에 자주 나타나는 신격이었고, 이 비문을 세운 이들은 대부분 군대 내의 의료인력들이었다. 비문만이 아니라 아스클레피오스에게 바쳐진 제단과 군 병원 내 아스클레피오스에게 바쳐졌던 성소까지, 군대와 아스클레피오스의 연계를 보여주는 고고학적 근거는 다양하게 발견된다. 아스클레피오스의 로마 도입이 집정관을 비롯한 정무관들이 주관한 것이었고, 이후의 숭배 역시 일반 대중들만이 아니라 황제 및 군인들과 밀접히 연계된다는 점에서 로마에서의 아스클레피오스 숭배는 공동체, 혹은 그에 속한 개인들의 건강이라는 개념에 대해 로마의 국가권력이 어떻게 관심을 표현했는지를 보여주는 사례라 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