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요추부 퇴행성 질환으로 수술 받은 환자에서 수술 전 척추 주위근 상태와 수술 후 기능 장애와의 관계

        신동은,이윤석,이호재,안태근,조용길,이상준 대한척추외과학회 2015 대한척추외과학회지 Vol.22 No.4

        Study Design: A retrospective study on the outcomes of surgical treatment for degenerative lumbar spinal disease. Objectives: To evaluate the pre-operative paravertebral muscle condition as a predictive factor in patients with degenerative lumbar spinal disease who undergo surgery. Summary of Literature Review: Previous studies have reported that the atrophy of the paravertebral muscle is associated with chronic low back pain. However, few studies have reported on the relationship of the pre-operative paravertebral muscle status with the postoperative functional disability scale. Materials and Methods: In this study, we reviewed the history of 20 patients with degenerative lumbar spinal disease treated by decompression and posterior lumbar interbody fusion with posterior instrumentation between 2010 and 2011. The evaluation included the paravertebral muscle volume, fat infiltration on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preoperative lumbar lordosis, levels operated on, and the Oswestry Disability Index (ODI). Further, the inter-relationship of the pre-operative paravertebral muscle status, lumbar lordosis, and levels operated on with the post-operative ODI was analyzed. Results: The mean cross-sectional area (CSA) of the paravertebral muscle at the L3–4 and L4–5 levels was 21.9±3.4 cm2 and 21.4± 3.3 cm2, respectively. The mean pre- and post-operative lumbar lordotic angle was 41.0±17.5°, and 42.3±11.1°, respectively. The lumbar lordotic angle and the levels operated on were not correlated with the post-operative ODI. However, the CSA of the paravertebral muscle at the L3–4 (r=–0.582, p<0.01) and L4–5 (r=–0.568, p<0.01) levels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post-operative ODI. The levels operated on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post-operative ODI (r=0.420, p<0.01). Conclusions: The mean CSA of the paravertebral muscle and the levels operated on in patients with degenerative lumbar spinal disease have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post-operative clinical outcome. 연구 계획: 요추부 퇴행성 질환으로 수술받은 환자에 대한 후향적 연구적: 이 연구의 목적은 요추부 퇴행성 질환으로 수술 받은 환자에서 예후 인자로서의 술 전 척추 주위근의 상태가 술 후 임상결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는 것이다. 선행 문헌의 요약: 척추 주위근 위축이 만성 허리통증과 연관이 있다는 보고 들이 있으나, 술 전 척추 주위근 상태가 술 후 기능 회복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에 대해서는 연구된 바가 없다. 대상 및 방법: 2010년부터 2011년까지 본원 정형외과 척추 센터에서 요추부 퇴행성 질환으로 감압술 그리고 후방 요추체간 유합술 및 후방 기기고정술을 시행받은 55세 이상 2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수술 전 자기공명영상(MRI)에서의 척추 주위근 크기 및 지방 침윤, 수술 전의 척추 전만각, 수술범위를 조사하였고, 수술 후 요통기능장애척도(Oswestry disability index; ODI)를 측정하였다. 그리고 수술 전 척추 주위근 상태, 척추 전만각 및 수술범위와 수술 후 요통기능장애척도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결과: 수술 전 측정한 자기공명영상에서 요추 제 3-4번 위치의 척추 주위근 단면적은 21.9±3.4 cm2, 제 4-5번 위치는 21.4±3.3 cm2 이었고, 수술 전 척추 전만각은 41.0±17.5°, 수술 후 척추 전만각은 42.3±11.1°이었다. 환자들에서 수술 전후의 척추 전만각은 유의한 변화는 보이지 않았다. 하지만 제3-4 요추간(r=-0.582, p<0.01) 및 제 4-5요추간의(r=-0.568, p<0.01) 척추 주위근 단면적 값은 수술 후 요통기능장애척도와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수술범위는 수술 후 요통기능장애 척도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론: 요추부 퇴행성 질환으로 수술 받은 환자에서 요추 제 3-4번, 요추 제 4-5번 척추 주위근의 크기 및 수술 범위는 수술 후 임상결과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 KCI등재

        미국 커뮤니티 칼리지의 교육성과 평가를 통한 교육의 질 개선 사례 연구: 전문대학에 주는 시사점을 중심으로

        신동은,강상희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20 敎育問題硏究 Vol.33 No.2

        The purpose of this case study was to analyse improvement of educational quality of community college through outcomes based assessment in USA in order to obtain implication for college education in Korea. The cases for this study was Camden college(NJ.) and Bronx College(NY), which were accredited by MSCHE.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both colleges emphasize the core competencies which could be considered common irregardless of disciplines or types of degree. Second, both colleges define student outcomes explicitly. And they are expected to be assessed coherently and adaptively through the courses. Third, educational quality improvement can be implemented on the results of assessments to the pedagogy, curriculum, teaching or learning. The researchers concluded with three points. First, college education should set the student outcomes including core competencies. Second, institution-level outcomes-based education can be shared based on the policy-level and administrative support. Third, members should make efforts in order to realize the original intention of assessment. 본 연구는 미국 커뮤니티 칼리지의 교육성과 평가에 기초한 교육의 질 관리 사례를 통하여 전문대학 교육의 시사점을 얻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에서 분석 대상으로 삼은 대학은 중부고등교육위원회의 인증을 받은 캄덴 카운티 커뮤니티 칼리지와 브롱스 커뮤니티 칼리지로서, 대학이 작성한 자체평가 보고서와 관련 자료를 분석하였다. 두 대학의 사례를 통해 확인할 수 있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두 대학 모두 학위 종류에 상관없이 모든 학생들이 배워야 할 핵심을 정의하여 교양교육을 통해 교육하고 있다. 교양교육의 성과는 표준화 검사와 주요 교과목들을 통해 평가되고 있다. 둘째, 두 대학 모두 학생 학습성과를 명확히 정의하고 있다. 학습성과는 교과기반 평가를 통해 직접 평가가 이루어지고 있다. 셋째, 평가 결과에 기초하여 교과와 연계하여 또는 교과 내에서 개선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정책적ㆍ행정적 지원이 이루어지고 있다. 연구 결과에 기초하여 본 연구는 세 가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첫째, 전문대학은 장기적인 경력개발에 필요한 핵심 역량을 교양교육 및 학생 학습 성과에 반영할 필요가 있다. 둘째, 교육기관 전체 차원에서 성과중심 교육이 운영될 수 있도록 대학의 실효성 있는 정책적ㆍ행정적 지원이 강화되어야 한다. 셋째, 평가의 목적은 교육개선에 있다는 평가의 본래적 취지를 회복하고 교육과정 개선의 논리적 연결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교과목 차원의 평가에 의미가 부여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상요추부 추간판 탈출증 - 임상 양상과 수술적 치료 결과 -

        신동은,안창수,조덕연,윤형구,김태형,방진영,차윤식 대한척추외과학회 2012 대한척추외과학회지 Vol.19 No.3

        연구 계획: 후향적 연구목적: 본원 정형외과에서 수술적 치료를 시행한 상요추부 추간판 탈출증 환자 41례에 대해 그 임상 양상 및 수술적 치료의 결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선행문헌의 요약: 상요추부 추간판 탈출증은 전체 요추부 추간판 탈출증 중 발생율은 낮지만 예측 가능한 임상적 양상과 자기공명영상 검사 방법의 개발 및 발전으로 인해 진단이 더 빨라지고 있으며, 그에 따른 수술적 치료는 만족할 만한 결과를 보이고 있다. 대상 및 방법: 1996년 9월부터 2009년 11월까지 상요추부 추간판 탈출증(요추 제1-2, 요추 제2-3, 요추 제3-4번)으로 진단받고 수술적 치료를 시행한환자 중 병력 조사와 외래 추시가 가능하였던 41례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후향적 연구를 진행하였다. 추시 관찰은 외래 방문, 전화 인터뷰와 진료 기록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여, 통증 등의 임상 양상의 변화, 기능적 결과, 일상 업무에의 복귀 등을 조사하여 수술적 치료의 결과를 평가하였다. 결과: 본 연구에서 조사된 전체 추간판 탈출증 환자 중 상요추부 추간판 탈출증의 발생률은 약 8.8%이었다. 술전 임상 양상으로 하요부 통증(85.4%),전방 대퇴부 방사통(80.5%), 감각 저하(53.7%) 근력 약화(53.7%), 슬개건 반사 저하(65.9%) 등이 나타났으며, 진찰 소견 상 대퇴 신경 긴장도 검사는78.0%에서 양성으로 관찰되어 하지 직거상 검사의 양성률(39.0%)보다 높게 나타났다. VAS score는 술전 9.0±0.8에서 최종추시 시 1.4±1.3로 호전되었다. 수술적 치료 결과는 우수 24례, 양호 10례, 보통 5례, 불량 2례로 34례(82.9%)에서 양호 이상의 판정을 받아 만족스러운 결과를 보였다. 추시상 원래의 직업 또는 약간의 변형된 상황에서 일을 계속 할 수 있는 경우가 90.2%로 조사되었다. 결론: 상요추부 추간판 탈출증의 임상 양상은 하부 요통을 동반한 전방 대퇴부 방사통, 탈출된 추간판의 위치와 일치하지 않은 감각 및 운동 저하, 감소된 슬개건 반사, 그리고 대퇴 신경 긴장도 검사상의 양성 반응이 대표적이며, 특히 자세한 진찰과 MRI에 의한 객관화 된 진단 이후 시행된 수술적 치료는 좋은 기능적 결과와 함께 환자의 만족도도 높게 평가되어 효과적인 방법으로 여겨진다. Study Design: A retrospective study. Objectives: We attempted to establish an efficient diagnosis and treatment modality by analyzing clinical manifestations and operative results of upper lumbar disc herniations. Summary of Literature Review: Upper lumbar disc herniations represented a lower incidence but have become easier to diagnose by predictable clinical aspects and an MRI scan. The operative results have been satisfactory. Materials and Methods: We evaluated 41 cases, which were operated with posterior laminectomy and discectomy from September,1996 to November, 2009. We analyzed pre-operative history, clinical and MRI findings, and then assessed operative results by Kim’s criteria and functional change in the follow up. Results: The prevalence of upper lumbar disc herniations in all disc herniations was 8.8%. Pre-operative manifestations were lower back pain (85.4%), radiating pain (80.5%), sensory deficit (53.7%), motor deficit (53.7%), and depressed knee jerk (65.9%). The positive rate of the femoral stretching test (78.0%) was higher than the straight leg raising test (39.0%). The VAS score changed from preoperative 9.0±0.8into postoperative 1.4±1.3 points. The operative results were excellent or good in 82.9%. The rate of resuming previous work, including slight modification was 90.2%. Conclusions: Predictable clinical aspects of the upper lumbar disc herniations are anterior thigh pain with lower back pain, variable motor deficit, sensory deficit, depressed knee jerk and the positive femoral nerve stretching test. Through careful examination and radiological evaluations such as MRI, operative treatment can obtain a symptomatic improvement and satisfactory results.

      • KCI등재

        기업조직의 특성이 여성관리자의 일-삶(work-life) 균형에 미치는 영향

        신동은 한국사회조사연구소 2015 사회연구 Vol.16 No.1

        여성의 관리직․전문직 진출이 확대되고 있지만, 일 중심의 근로관이 지배적인 한국 사회에서 여성이 겪는 일과 삶 사이의 갈등은 심하다. 이 연구의 목적은 기업조직의 어떠한 특성이 여성관리자의 일과 삶의 균형에 영향을 주는가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12년에 여성관리자 2,042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여성관리자패널을 이용하였다. 이 연구의 핵심적인 발견은 다섯 가지로 정리된다. 첫째, 직무 자율성은 여성관리자의 일-삶 균형에 큰 영향을 미친다. 직무 자율성이 증가할수록 여성관리자의 일-삶 갈등이 완화되고, 동시에 일-삶 촉진이 강화된다. 둘째, 상사의 지지는 여성관리자의 일-삶 균형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상사의 지지가 높을수록 여성관리자의 일-삶 갈등이 감소하고, 동시에 일-삶 촉진이 증가한다. 셋째, 공식화 및 성과제 수준이 높을수록 여성관리자가 경험하는 일-삶 촉진이 증가한다. 넷째, 위의 세 가지 효과는 장시간 근로 여부에 따라 상이한 결과를 보인다. 마지막으로, 장시간 근로, 집단적 조직문화, 성차별 경험은 여성관리자의 일-삶 갈등에 큰 영향을 준다. 장시간 근로할수록, 집단적 조직문화가 강조될수록, 그리고 성차별을 경험할수록 여성관리자의 일-삶 갈등이 증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