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출신사회와 거주사회를 통해 본 네팔결혼이주여성의 시민권 문제

        신난딩 전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20 지역과 세계 Vol.44 No.2

        In this essay, I try to describe how Nepalese marriage immigrant women in South Korea suffer from nationalism and gender inequality included in Nepalese and Korean citizenship system by focusing on the aspect that their citizenship has been reconstructed between native and resident societies. Citizenship is a concept that deals with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dividual and the state. Nepalese society requires citizen to have single citizenship centered on nationalism while Korean society has been pursuing multi-cultural citizenship due to the recent increase of marriage migration and labor migration. The Nepalese marriage immigrants want to have dual citizenship including Korean and Nepalese nationalities because they have hybrid identity between the two societies. Despite the institutional differences between the two societies, the marriage migrant woman retains both the Nepalese and Korean nationalities.  It implies that they simply comply with the national citizenship law in choosing their nationalities because they have trans-national identity. From the perspective of global migration, it will be desirable if they have dual citizenship between native and resident countries. 본 연구는 네팔 및 한국의 시민권 제도를 검토함과 더불어 국내 네팔결혼이주여성에 대한 심층면접을 통해 이들의 시민권이 출신사회와 거주사회 사이에서 어떻게 재구성되고 있으며, 이와 관련해 이들이 어떤 어려움을 겪고 있는지에 대해 분석한다. 네팔사회는 민족주의 중심의 일국주의적 시민권 제도를 운영하고 있으며, 거기에는 혈통주의와 가부장제에 의한 차별 요소가 포함되어 있다. 이 때문에 네팔결혼이주여성은 이주를 위한 행정 처리와 국적 선택에 있어 많은 어려움에 직면하게 된다. 한편 한국사회는 시장의 세계화에 따른 결혼이주민의 증가로 인해 다문화주의 시민권 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비록 한국사회에서 다문화주의를 추구한다고 할지라도, 네팔결혼이주여성의 한국 국적 획득 과정에서 남편에 종속적일 수밖에 없어서 이들 삶의 자율성이 크게 위축되고 있으며, 이혼 후에는 한국 국적 획득 및 체류권 자격이 제약당하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그런 까닭에 양 국가에 걸쳐 형성되어 있는 네팔결혼이주여성의 권리를 보호하기 위해서는 일국주의를 넘어서는 초국적 혹은 세계시민주의적 관점에서 시민권의 확대를 적극적으로 고려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몽골결혼이주여성과 세계시민주의의 요청

        신난딩 한국구술사학회 2014 구술사연구 Vol.5 No.2

        21세기에 접어들어 세계화는 국가의 성격과 개인의 생활을 모두 바꾸어 놓았다. 오늘 날 한국사회는 노동력 부족, 인구 감소, 저출산 등의 사회적 문제를 세계시장에서 해결하 기 위해 타국으로부터 이주민을 적극적으로 수용하고 있다. 한편 몽골사회는 1980년대 말부터 사회주의체제가 붕괴하고 자본주의체제를 받아들이면서 세계화의 조류에 합류하 게 된다. 그 결과 몽골사회는 타국으로 진출하는 노동이주민과 여성결혼이주민이 증가하 게 된다. 이와 같은 세계화의 격랑 속에서 한국으로 이주해온 몽골결혼이주여성들은 비록 국적을 바꾸었을지라도 여전히 몽골적 정체성도 함께 지니고 있다. 그들의 이러한 세계시 민적 정체성을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일국주의를 넘어 세계시민주의적 관점이 요구 된다. 바꾸어 말하면 그들의 정체성 형성에 큰 역할을 한 몽골사회의 체제변화와 정체성 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그런 까닭에 본 논문에서는 국내 몽골결혼이주여성들의 삶을 잘 이해하기 위해 몽골어 심층면접 방법을 도입하여 연구했다. 연구 범위는 결혼이주 동 기, 이주 과정, 이주 후 친정가족과의 관계 등을 분석하는데 집중했다. 이러한 분석을 통 해 세계시민적 정체성을 지니고 있는 몽골결혼이주여성과 관련해 한국사회에 세계시민주 의 관점이 요청된다는 사실을 밝혔다. The rapid globalization of the 21st century has changed international relationships and relations between the state and individuals. Since then, for the last twenty years or so, South Korean society has been accepting labor migrants and marriage migrants from other Asian countries in order to solve its social problems such as decrease in population, low birth rate, and labor shortage. On the contrary, the Mongolian society has been exporting laborer and migrant women to other countries including South Korea since the end of the 1980s with the introduction of the capitalist system. Mongolian marriage migrant women in Korea tend to maintain their Mongolian cultural identity even after they change their nationality. The concept of cosmopolitanism is required in understanding their life situations of cultural hybridity. And, it is critical to consider Mongolian social contexts, which play a great role in forming their cultural identities. I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Mongolian marriage migrant women in Korea in their mother tongue in order to explore reasons for marriage migration, the migration process, and ways to maintain relationships with their Mongolian family. I find that we can overcome the prejudice of nationalism by taking the view of cosmopolitanism. That is, Korean society needs to consider marriage migrants as having cosmopolitan citizenship as well as national citizenship.

      • KCI등재

        세계화 시대 한국 내몽골고학력자 취업이민에 대한 사례 연구

        신난딩 한국몽골학회 2023 몽골학 Vol.- No.73

        오늘날 세계화의 영향으로 인해 고학력자들이 취업이민을 함에 따라 두뇌유출과 두뇌유입에 의해 한국과 몽골 양국 사이에 학술적 교류 네트워크가 활발하게 형성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국내에 체류하고 있는 몽골고학력자들에 대한 몽골어 심층면접조사를 시행함으로써 몽골 출신 고학력 인력이 한국에 유입되어 활동하는 현상에 대해 몽골사회와 한국사회에 걸쳐 초국적 관점에서 그 원인을 분석한다. 첫째, 몽골고학력자들의 국내 유입은 한국·몽골 정부의 장학금 제도를 통한 유학, 출신국 직장 사직 후 유학, 고등학교 졸업 후 개인적 유학 등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다. 몽골고학력자의 유학은 취업이민으로 이어지면서 한국에서의 거주가 장기화되는 경우가 많다. 몽골사회에서는 해외 유학한 고학력자의 두뇌활용도가 낮기 때문에 한국으로의 두뇌유출이 높게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몽골사회에는 해외 유학 고학력자의 전공에 맞는 일자리가 부재하고, 과학기술 분야 고학력자에 대한 노동시장의 수요가 낮고, 지식노동에 대한 경제적 가치를 저평가하는 것과 관련되어 있다. 둘째, 한국사회는 학령인구 부족 현상으로 인해 많은 대학교가 해외에서 유학생을 적극적으로 유치하고 있으며, 국가에서는 졸업 후 외국인 고학력자의 취업이민을 허용하는 이민정책을 적극적으로 시행함으로써 두뇌유입을 장려하고 있다. 한국사회에서 몽골고학력자들은 주로 대학교 연구직이나 행정직에 종사하거나 본인 전공과 관련한 개인사업에 종사하고 있다. 셋째, 한국 내 몽골고학력자들은 개인적 수준의 취업이민을 넘어서 양국의 대학교 간 전공 분야 교류를 추진하고, 연구협력을 선도하는데 기여하고, 문화적·사회적 교류를 지속적으로 발전시키면서 국제적인 두뇌네트워크를 활성화시키고 있다. 이와 같이 한국과 몽골 간 고학력자 유출입은 두 사회에 필요한 두뇌네트워크를 초국적 차원에서 강화하고 있다.

      • KCI등재

        한국사회 적응 과정에서 나타나는 몽골여성결혼이주민의 노동 문제

        신난딩 한국문화사회학회 2024 문화와 사회 Vol.32 No.1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hallenges faced by Mongolian marriage immigrants residing in the Gwangju and Jeonnam regions. The research employs a combination of research methods, including in-depth interviews conducted in the Mongolian language, and a comprehensive review of literature related to marriage migration in both Mongolian and Korean societies. The labor experiences of 20 female Mongolian marriage immigrants are meticulously categorized and analyzed based on categories, subtopics, and subthemes. This examination seeks to uncover the difficulties these individuals encounter in securing regular employment due to their transnational background. The concept of female marriage immigrants' labor in Korean society necessitates a reevaluation, implying the implementation of several minor systems. These may include a qualitative shift in job roles from reproductive labor to productive labor, a redefinition of the purpose of labor within a transnational context, and the rectification of racial discrimination within the labor market. Despite completing vocational training at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s in Korea, Mongolian female marriage immigrants often find themselves limited to temporary work, facing challenges in securing long-term and stable employment. The weak link between vocational training and the labor market underscores the difficulties they encounter in obtaining high-income, full-time positions, exacerbated by prevailing prejudices against female marriage immigrants. Their integration into the labor market is impeded by the non-recognition of their educational background and job experience from Mongolia. To facilitate the attainment of full-time regular jobs for Mongolian female marriage immigrants in Korea, it is essential to address this issue by recognizing and valuing their multicultural educational and professional backgrounds. Additionally, breaking through the ethnic, racial, and gender glass ceiling is crucial to providing equal opportunities and overcoming societal prejudices. In conclusion, acknowledging and validating the multicultural experiences of Mongolian female marriage immigrants is pivotal for their successful integration into the Korean labor market. Simultaneously, efforts to dismantle discriminatory barriers based on ethnicity, race, and gender are imperative for fostering an inclusive and equitable work environment.

      • KCI등재

        한국 내 몽골결혼이주여성의 다원주의적 인정투쟁

        신난딩 한국몽골학회 2011 몽골학 Vol.0 No.30

        This essay is a study to analyze Mongolian marriage migrant women's struggle of recognition in Korea and then to suggest a new policy of Korean multiculturalism that they can attain a pluralistic citizenship. Various multicultural policies are being carried out by Korean government to solve the marriage migrant women's problem. However the policies are hard to overcome the language barrier and the different ways of life because there are deficiency in experience and understanding of multiculturalism or pluralism. The differences of language, culture, nationality, status, and sex are an obstacle to their living as an equal citizen with other Korean people. The fact that the marriage migrant women are living in the plural condition in Korea cannot be sufficient condition for them to live as a reasonable pluralistic citizen. In this regard, the end that the Korean pluralistic situation should seek is to make them be a pluralistic citizen as Appiah suggests a concept of cosmopolitanism. Further, the marriage migrant women need to fully practice the struggle of recognition to get the state of pluralistic citizenship in Korea. The process of the struggle demands multicultural specialists in various fields of Korean society. Specifically speaking, multiculural education specialists, multilingual interpreters, psychological counselors, domestic relations lawyers, and school teachers should be produced to understand and serve the marriage migrant women's affairs, who can be a sound pluralistic citizen in Korea only if the conditions are fulfilled.

      • KCI등재

        몽골의 COVID-19 정책과 몽골이주민 귀국 문제에 관한 연구

        신난딩(Nanding Shin)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2021 다문화사회연구 Vol.14 No.3

        본 연구는 몽골사회에서 COVID-19와 관련해 폐쇄적인 이동제한 정책을 시행함으로써 어떻게 국내 시민 및 해외체류 국민들의 반발을 불러왔는지에 관해 살펴본다. 몽골사회와 한국사회의 관련 자료들을 활용해 COVID-19에 따른 이동제한 정책을 들여다보면 한국 내 몽골이주민의 고립 및 생존 문제가 어떤 과정을 통해 발생하게 되는지에 대해 초국적 시각에서 파악할 수 있다. 출신사회와 거주사회에 걸쳐 생활하고 있는 이주민들에게 이동은 필수적이며, 전염병 확산 방지를 위해 시행된 COVID-19에 따른 폐쇄적 이동제한 정책은 필연적으로 이주민의 삶에 부정적 영향을 끼치게 된다. 첫째, 국내 수준에서 몽골은 COVID-19 범전염병 예방 정책과 제도를 새롭게 구축하면서 국민의 완전 이동제한 정책을 시행했지만 국민들의 반대에 부딪치게 된다. 몽골정부의 완전 봉쇄정책에 대한 반대 시위는 COVID-19 정책 시행 과정에서 민주주의적 의사소통이 요구됨을 보여주었다. COVID-19 제도 형성에 있어서 국민들의 적극적인 참여가 필요하고, 국회 및 특별위원회의 결의에 대한 투명성, 정부와 국민 상호간 의사소통적 협력이 절실하게 필요하다는 것을 확인해 주었다. 둘째, 몽골 국내 COVID-19 제도는 일국주의적 이동제한을 추구함으로써 해외이주민의 입국을 제한했다. 몽골은 COVID-19 해외 유입을 막기 위해 국가 간 인구 이동을 제한하고 국경을 폐쇄했다. 국경폐쇄로 인해 외국인뿐만 아니라 해외국민의 귀국이 매우 제한적으로 허용되고 있다. 셋째, 일국주의적 이동제한 정책으로 인해 몽골 이주민들은 한국사회에서는 의료서비스나 경제활동으로부터 소외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몽골사회로부터는 출입국 제한을 받음으로써 귀국하지 못하는 상황에 내몰리는 부정적 결과를 낳게 되었다. 입국이 제한된 몽골이주민들은 다른 국가에 ‘갇혀서’ 귀국할 권리, 경제권, 건강권 등을 보호받지 못하는 문제에 직면하고 있다. 해외 거주가 장기화되고 있는 몽골 이주민들에게 경제적 지원 및 백신 접종이 요구된다는 점에서 일국주의적 이동제한 정책은 개선될 필요가 있다. This essay is a study to analyze Mongolian COVID-19 policy and its restrictions on Mongolian overseas citizens’ entry. First, the Mongolian government established a new policy to prevent the spread of COVID-19 pandemic at the domestic level. During the early stages of COVID-19 spreading, the Mongolian government enforced a severe travel restriction policy by blocking the border, but it was faced with opposition. Protesters opposing the policy demanded a democratic communication between the people and the government regarding the implementation of the COVID-19 policy. Second, entry of overseas citizens was limited because of Mongolian travel restrictions policy. To prevent COVID-19 inflow from abroad, the Mongolian government had restricted people’s movement between countries by closing its borders. Thus, Mongolian citizens have been in danger of losing their right to return home or receive health benefits, since they have been "trapped" abroad. So, they have requested the Mongolian government to urgently provide them with economic support and vaccinations for them to survive this hardship. Third, we can say that the more a country is globalized the easier it is for infectious diseases to spread. Cooperative policy among countries to prevent Covid-19 is much more effective than border closure policy because it requires sharing information of confirmed cases among countries and vaccination at a global range.

      • KCI등재

        이주국가의 부상 -네팔의 국제 이주노동 제도화의 특징과 잠재적 문제점-

        김경학 ( Kyunghak Kim ),신지원 ( Julia Jiwon Shin ),이기연 ( Kiyoun Lee ),신난딩 ( Nanding Shin ),박경환 ( Kyonghwan Park ) 한국사진지리학회 2020 한국사진지리학회지 Vol.30 No.1

        본 연구는 이주국가로서 네팔 국제 이주노동의 특징과 제도화를 검토하고 이러한 정부 주도 이주노동 제도화의 잠재적 문제점을 도출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본 논문의 내용은 크게 3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첫째는 네팔이 이주국가로서 부상하게 된 지리적 배경을 저개발의 맥락에서 자연환경, 민족구성, 산업구조와 정치의 네 가지 측면에서 고찰했다. 둘째, 네팔 국제 이주노동의 현황 및 특색을 살펴보고 특히 네팔의 국제 이주노동이 정부의 어떠한 제도 및 정책과 관련되어 있는지에 초점을 두어 이주국가의 제도적 특징을 살펴보았다. 셋째, 네팔 정부의 이주 정책과 그에 따른 개별 이주민의 초국적 송금이나 귀환 이주 등의 실천이 네팔에 어떠한 영향을 끼치고 있고 이의 문제점에는 무엇이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결론적으로 네팔이 추구해온 적극적인 정부 주도의 이주노동 제도화 정책은 네팔 GDP의 30%에 달하는 해외 송금액의 유입이라는 결과를 낳았지만, 이에 대해 네팔 사회가 지불하고 있는 기회비용과 대가는 적지 않다. 여기에는 송금에 대한 과도한 의존, 네팔에 대한 부정적 인식의 확산, 비숙련 노동 중심의 이주노동, 그리고 저소득층 및 여성의 이주 기회 제약과 차별 등이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and institutionalization of Nepal’s overseas migration labor policy and to investigate potential problems resided in such government-led institutionalization. For this purpose, this paper is composed of three main sections. The first section examines the ways in which Nepal has risen up as an emigration state in terms of natural environment, ethnicity, industrial structure, and politics. The second investigates how the government of Nepal has promoted overseas migration labor by way of institutionalizing overseas migration process. The third critically reviews the Nepalese government’s migration policy and discusses the ways in which it generates potential problems in the civil society. Although the Nepalese government accomplished a large amount of remittance inflow accounting for about 30 percent of the country’s GDP, such sucess is not without counter-effects and problems. They include overdependence on international remittance, generation of country’s negative self-imagery, domination of unskilled labor in overseas employment, and limits of and discrimination over lower class and women.

      • KCI등재

        국제이주와 남아있는 가족: 네팔 중부 ‘카브레팔란초크 지구’ 사례를 중심으로

        신지원(Julia Jiwon Shin),김경학(Kyunghak Kim),박경환(Kyonghwan Park),이기연(Ki-Youn Lee),신난딩(Nanding Shin)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2020 다문화사회연구 Vol.13 No.1

        본 연구는 네팔 중부 산지에 위치한 카브레팔란초크 지구의 농촌마을에서 수행한 질적 연구를 바탕으로 송출국에 남아있는 가정의 경험을 살펴보고 국제노동이주의 양면성을 조명한다. 본 연구는 국제이주가 송출국에 남아있는 가족에게 미치는 긍정 혹은 부정적인 영향을 조망하는 단편적인 분석을 넘어 네팔 사회구조에서 작용하는 이주문화, 카스트 및 젠더관계의 복합적인 요인을 고려하여 이주가정의 경제적・사회적 차원의 변화와 경험을 살펴본다. 본 논문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네팔 농촌지역에서 토지와 경제적 자본은 이주의 결정부터 귀환에 이르는 전 과정에서 국제이주의 실현과 경제적 효과를 결정짓는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이주가정의 사회경제적 위치는 이주의 유형과 목적국의 선택에 중요한 연관성을 가지며 이는 이주의 경제적 결과에도 영향을 미친다. 둘째, 국제이주는 네팔사회 내 사회적(카스트・가족・젠더) 관계의 변화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마지막으로 국제이주는 남아있는 가족의 경제적 부담과 책임감을 가중시키는 결과를 초래하기도 한다. 네팔사회에 만연한 이주문화는 해외송금이 사회적 관계에 미치는 영향력을 증폭시키면서 국제이주에 대한 기대감과 욕구를 정상화한다. 그러나 이주가정이 경험하는 가계부채와 반복적 이주는 이주과정에서 빈번하게 발생하는 민간 고용중개업체의 횡포와 목적국에서 발생하는 구조적 착취의 문제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Based on qualitative research conducted in rural villages of the Kavrepalanchok district in the middle hills of Nepal, this study examines the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experiences of Nepalis left behind by family who participate in international labor migration. Our findings highlight the ambivalence both the left-behind families and migrants feel towards international labor migration. This study goes beyond a fragmentary analysis of the positive or negative impact of international migration on left-behind families. Rather, it looks at the larger economic and social experiences of left-behind families, considering the culture of migration, caste and gender relations in Nepal. The main content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First, in rural Nepal, land and economic capital are significant factors that determine the realization and economic effects of international migration throughout the entire migratory process. The socioeconomic status of migrant families relates considerably to the type of migration and the choice of destination country, which subsequently affect the economic consequences of migration. Second, international migration significantly impacts changes in social (caste, family, and gender) relations in Nepali society. Lastly, international migration can also result in an increased economic burden and responsibility for left-behind families. The culture of migration, prevalent in Nepali society, normalizes expectations for international migration, while amplifying the influence of overseas remittances on social relations. However, the negative experiences and household debt problems of migrant families are closely related to the infringement of private recruitment agencies and structural exploitation in the migrants’ countries of destin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