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가정폭력 피해가정의 부모-자녀 관계에 관한 질적 연구: 쉼터거주 피해여성의 경험을 중심으로

        신나래 한국사회복지연구회 2019 사회복지연구 Vol.50 No.4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parent-child relationships among families in the context of domestic violence. For this purpose, in 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5 women staying at the domestic violence shelter, and the qualitative method was used to analyze. The results indicated that all children of participants were exposed to domestic violence, and some of them were also involved in the process of abusing their mothers or directly abused by perpetrators. They showed difficulty in healthy growth or learned violence from an abusive father. They were either supportive of mother’s divorce suit or blamed their mother for the delay and timing of leaving the abuser. They set up their own survival strategies in different ways by turning away, avoiding, or accepting violence as a ordinary life. Domestic violence affected parenting attitudes in various ways to build a healthy relationship with children, and this process was multifaceted and changing, not explained by dichotomous way of thinking. Further implications were discussed. 본 연구의 목적은 폭력을 경험하는 가족 내 부모-자녀 관계를 이해하기 위한 초석을 마련하는데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가정폭력 피해여성의 목소리를 통해 가정폭력의 발생 안에서 부와 모, 자녀로 연결되는 입체적인 관계를 분석해보았다. 본 연구의 대상은 쉼터에 거주 중인 유자녀 피해여성이다. 연구대상자 접근의 현실적 한계를 고려하여 본 연구에서는 의도적 표집(purposive sampling) 방법을 이용하여 A지역의 가정폭력 보호시설을 중심으로 대상자를 모집하였다. 연구참여자는 심층면접 당시 쉼터에 입소 중으로 안전한 환경에서 생활 중이며 피해여성에 대한 폭력이 중단됨을 전제로 하였다. 질적분석을 위해 15인의 쉼터 거주 여성과 면접을 진행하였으며, 가정폭력 내 부모-자녀의 관계에 대해 일관된 진술이 도출되지 않는 현실을 고려하여 질적분석이 시도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다음의 결과들이 제시되었다. 모를 향한 부의 폭력이 발생하는 가정에서 자녀들은 이에 노출되었고, 많은 경우에 아동학대 또한 함께 발생하고 있었다. 자녀들은 모를 학대하는 과정에 개입되기도 하였으며, 이러한 경험들을 통해 건강한 성장발달에 어려움을 가지거나 폭력을 학습하기도 하였다. 또한, 자녀들이 가정폭력에 대응하는 방식은 각각의 가족의 역사에 따라 달랐는데, 자녀들은 모의 탈폭력을 지지하거나 반대로 탈폭력의 지연과 그 시기에 대해 모를 비난하는 모습이었다. 자녀들은 폭력을 외면, 회피하거나 일상으로 받아들임으로써 자신만의 생존전략을 수립하기도 하였는데 이러한 과정은 자녀 개개인에 따라 다른 양상으로 전개되었다. 가정폭력은 가해남성과 피해여성이 부모로서 건강한 양육태도를 가지고 자녀들과 관계를 형성하는데 다각도로 영향을 주었으며, 이들의 관계는 긍・부정의 이분법적 사고로는 설명되지 않는 다면적이고 가변적인 형태였다. 탈폭력의 과정에서 피해여성들은 쉼터 입소와 이혼소송, 자녀 동반입소의 어려움, 자녀들의 상처와 회복, 자녀들과의 미래에 대한 희망과 불안 등을 보고하였다

      • KCI등재

        보호시설에 거주하는 가정폭력피해여성의 직업훈련 경험과 그 맥락에 관한 연구

        신나래,박언주 한국가족학회 2018 가족과 문화 Vol.30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xperiences and contexts of vocational training for battered women in shelter. The in-depth interviews with total 11 battered women in shelter were conducted, an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participants reported not only positive effects of economic growth, psychological stability, and extended social relationships through vocational training, but also limitations of a lack of diversity and a couple of restrictions on participation. Second, the strategy of securing safety in shelter was in conflict with training and job-seeking procedures at times. Finally, participants were building up strategies for economic independence depending on their situation. Based on these findings, diversity of vocational training upon battered women’s employment experiences, need for child-care support, possibility of having a parti-time job while in shelter, and diversification of shelter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보호시설에 거주하고 있는 가정폭력피해여성의 직업훈련 경험과 그 맥락에 대해 이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보호시설에 거주 중인11명의 가정폭력피해여성과 심층면접을 진행, 사례연구 방법으로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에서는 다음과 같은 점을 논의하였다. 첫째, 가정폭력피해여성의 직업훈련 경험은 양면성을 갖는다. 이러한 양면성은 직업훈련프로그램을 통한 경제적 성장, 심리적 안정, 사회적관계 확장의 긍정적 효과 및 직업훈련프로그램의 내용의 다양성 및 접근성의 제한성과 관련이 있다. 둘째, 가정폭력피해여성의 직업훈련경험은 탈폭력과정에서 부각되는 노동의 중요성 및 개별화된 자립전략 수립이라는 피해여성이 직면하는 개인적 차원의 조건들과 안전을최우선으로 하는 보호시설의 운영원칙이라는 맥락 속에서 구성된다. 보호시설의 안전확보와비밀유지 전략은 여성의 직업훈련 및 자활이 보호시설의 목표임에도 불구하고 해당목표의 추구를 개인화 하는 한계를 초래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가정폭력피해여성의 전생애적 노동경험의 다양성과 욕구를 반영한 직업훈련프로그램의 다양화, 자립과 자활의 개인화를 지양하고 피해여성을 자립 및 자활을 지원할 수 있도록 가정폭력피해자보호시설 운영원칙의 유연화 및 보호시설의 다양화, 보호시설 입소로 인한 노동단절을 방지할 수 있는 대안제시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가정폭력과 재생산 통제

        신나래,박언주 한국여성학회 2019 한국여성학 Vol.35 No.1

        본 연구에서는 가정폭력의 맥락에서 재생산 통제 및 재생산 강요를 탐색하려는 목적을 가지고 여성의 재생산권과의 관계에서 재생산 통제의 개념을 논의하고, 여성에 대한 폭력에 관한 현행법과 실태조사에서 재생산 통제가 어떻게 다루어지는지를 살펴보았다. 나아가 가정폭력과 재생산 통제의 상호 연관성, 강요된 성관계와 의도하지 않은 임신, 임신 및 출산 시기의 가정폭력의 특수성, 수단이자 목적으로서의 피임방해와 다양한 폭력의 동원, 폭력관계 유지의 책략으로서의 임신중단 방해 및 출산강요, 임신중단 강요와 폭력을 통한 임신중단 유발, 임신중단에 대한 비난 및 국가권력을 동원한 협박을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재생산 통제와 재생산 강요 개념화의 필요성 및 실천적・정책적 함의에 대해 논하였다. This study explored reproductive control in the context of intimate partner violence against women(IPVAW). This study conceptualized reproductive control as conditions of lack of women’s reproductive rights. It also explained the way the current laws and National Surveys addressed reproduction and reproductive control. This study attempted to conceptualize reproductive control in relation to IPVAW with the following issues; IPVAW and pregnancy, the relationships of IPVAW, reproductive control and unintended pregnancy, and the patterns of reproductive control in the context of IPVAW. This study discussed the positive aspects of conceptualizing reproductive control and reproductive coercion with implications for practice and policy.

      • KCI등재

        치료놀이를 적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지역아동센터 아동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신나래 한국예술치료학회 2013 한국예술치료학회지 Vol.13 No.1

        본 연구는 치료놀이를 적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지역아동센터 아동의 문제행동에 어떠 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의 대상은 전라북도 I시 아동보호전문기관에 의뢰된 H지역아동센터 아동으로 가족의 보호를 받지 못하고 방과 후에 주로 기관에 맡겨진 아동이다. 그 중 교사에게 문제행동을 보인다고 보고 받은 아동의 TRF에서 문제행동총점 T점수가 60점 이상인 아동 5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2012년 8월 27일부터 2012년 10월12일까지 주2회, 회기 당 90분씩 총12회기의 집단미술치료를 실시하였다. 연구도구로는 Achenbach와 Rescorla(2001)가 개발한 아동·청소년 행동평가척도 (Teacher’s Report Form for Ages 6-18; TRF)와 Burns(1987)의 K-HTP(동적 집-나무-사람)그림검사를 사용하였으며 문제 행동증후군 사전·사후 차이비교, K-HTP 사전·사후 비교분석, 개인의 단계별변화와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회기고찰을 통해 결과를 얻었다. 연구결과 치료놀이를 적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지역아동센터 아동의 문제행동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장애인의 가정폭력 피해경험이 사회참여활동에 미치는 영향 : 성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신나래,고미선 한국장애인복지학회 2018 한국장애인복지학 Vol.39 No.39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domestic violence on social participation of people with disability. In order to figure out this relationship, the data from the 2014 National Survey on Persons of Disabilities by Ministry Health and Welfare was used, and total 3,601 cases aged between 18 and 65 were included in the final analysis. Findings from a moderated regression analysis were as follows: First, domestic violence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social participation. Second, moderating effect of gender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omestic violence and social participation was detected. Third, control variables such as age, education level, family income, a level/type of disability, IADL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social participation. Implications based on the research findings were also discussed. 가족이라는 사적영역에서 발생하는 폭력은 장애인의 일상을 무너뜨리는 위험요소 중 하나로 작용하며, 장애인이 사회참여활동을 통해 사회 내에서 다른 구성원들과 동료(peers)로서의 지위를 가지고 타자와 동등하게 되는 기회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가정폭력 피해경험이 장애인의 사회참여활동 수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이러한 영향에서 성별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분석을 위해 보건복지부의 2014년 장애인실태조사 자료를 사용하여 18-65세 남녀장애인 3,601명을 대상으로 위계적 조절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장애인의 가정폭력 피해경험은 사회참여활동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정폭력 피해경험이 사회참여활동에 미치는 영향에는 성별에 따른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통제변수 중에는 연령, 학력, 가계소득, 장애등급, 장애유형, IADL이 장애인의 사회참여활동을 유의미하게 예측하고 있었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가정폭력 피해경험 장애인의 사회참여활동을 지원할 수 있는 실천적 방안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가정폭력 피해여성의 쉼터생활경험에 관한 연구:쉼터 구성원들 간의 관계경험을 중심으로

        신나래 한국사회복지실천연구학회 2022 미래사회복지연구 Vol.13 No.1

        가정폭력 피해자보호시설(쉼터)은 입소자의 피해 회복과 자립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데 쉼터에서의 생활경험에 관한 연구는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쉼터 입⋅퇴소자 10인과의 심층면접을 통해 가정폭력피해자 쉼터의 환경과 그 안에서의 생활경험, 인적 구성원들과의 관계 및 갈등을 분석하였다. 질적연구의 주제분석 방법을 활용한 분석결과에 따르면, 피해여성과 동반자녀들은 쉼터에서 안전을 확보하고 각자의 방식으로 적응하고 있었다. 사적공간 확보가 어려운 쉼터의 물리적 환경과 비공개 시설에서의 공동생활규칙은 피해여성의 일상을 제약하는 동시에 안전을 제공하였다. 동료 입소자, 종사자(활동가)와의 관계는 협력적이지만 공동생활에서의 갈등은 불가피했으며, 피해여성과 동반자녀 또한 안전하고 지지적인 쉼터에서 관계를 재구성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쉼터생활 개선을 위해 쉼터의 물리적 환경 개선, 생계비 지원 확대 및 취사원 지원, 동반자녀의 학습 및 생활환경 개선, 가해자 퇴거조치의 가능성 등을 논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