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일반논문 : 현대후기 회화에서의 다문화적 Trauma역할

        신경남 ( Kyung Nam Shin ) 백석대학교 기독교인문학연구소(구 기독교철학연구소) 2009 기독교철학연구 Vol.11 No.-

        This article, <A study on Multicultural Trauma of Late Modern Painting>, is to provide a new understanding on diverse races and ethnic groups with strong appeals shown in late modern painting as ``multicultural trauma`` and to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role and phase change. Multicultural trauma is composed of two axes, that is multiculture and trauma. The roots of these two axes are in cultural diversity and psychological region resulting from relativity in late modern painting. While paid attention to artists who have been excluded from the ruling culture, imperfect balance between conflicts and confrontation of each culture is moved to a mobile balance in terms of contents. In expressions, multicultural trauma breaks away from absolute beauty or universal truth and, changes it into forms composed of subjective and mental projection in order to propose a new issue on race and class conflicts. These situations provide a direction of construction and propagation for a new artistic culture in late modern painting. As a method, the power of tradition settles into a new culture through accessories and oppositions of minorities` life after destruction of subordinate relationship with ruling culture. It is under the same scope as Derrida`s deconstructivism that exposed the logos-centered stratagem among post-modernistic discussions from the inside and as post-modern perspective of Lyotart which dismantled metaphysical philosophy. In connection with such, since multicultural trauma is an ultimate area and is related to the birth of a new culture, it pursued new artistic forms and genre in late modern painting. There are many characteristics of multicultural trauma that suggest the basis. First, multicultural trauma removed the barrier placed between genres, jumped over the boundary line and shortened their distances. Second, it is a spatial projection for idealogical escape from Western rationality through the motive force which deduces a new social structure. Third, by strategically filtering fantasies in a symbolic suppressive structure, impossible yet irresistible and irremovable desires can be temporarily suspended. In conclusion, multicultural trauma in late modern painting can be defined as overcoming inequalities and oppressions, removal of central bodies, and increasing the voices of surrounding individuals. Furthermore, multicultural trauma promotes an understanding of conflict structure between races and cultures. It was deduced as an art of social communities and a motive force that derives a new culture through experience of catharsis.

      • KCI등재

        <변강쇠가>의 구조와 애정 양상

        신경남 ( Kyung Nam Shin )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09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Vol.0 No.18

        <변강쇠가>는 서종문에 의해 본격적인 연구가 이루어지면서 현재 작품 성격과 그 미적 특질, 구조, 개작자의 의식 등 전반적인 이해의 바탕이 마련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논의가 강쇠의 죽음을 기준으로 작품의 구조를 나누고 그 서사를 갈등구조로 파악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때문에 작품의 구조를 이원화하고, 결말에 대해 전망의 부재 또는 비극으로 보았다. 아울러 옹녀가 작품의 결말에서 증발된 것으로 보고 옹녀의 청상살도 강쇠의 죽음으로 작품 안에서 그 기능을 다한 것으로 보았다. 이러한 시각은 작품의 본질을 파악하는데 걸림돌이 된다. 작품을 읽다보면 일정한 구조적 통일감이 작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기 때문이다. 본고에서는 그 통일감이 강쇠가 아닌 옹녀를 중심으로 작품의 구조를 파악했을 때 나타나는 것임을 밝히고자 하였다. 즉 <변강쇠가>는 무수한 남성을 보낸 옹녀가 또다시 변강쇠라는 사나이를 만나 살림을 차리고 그가 장승죽음을 당하자 그를 치상함으로써 또 한번의 청상살을 겪는 과정을 보여주는 무수한 <옹녀전> 중 하나의 사례라고 할 수 있다. 그와 더불어 <변강쇠가>에서 보여주는 남녀의 만남과 결합은 재자가인의 환상적 결합이 아니라, 지극히 구체적인 당대의 하층 남녀의 것이다. 이는 같은 하층 부류인 춘향이나 흥부의 처와는 또 다른 하층의 삶, 그 가운데에서도 가장 고단한 삶을 살아가는 남녀의 사랑이다. 먹고 자고 일하는 것이 삶의 전부이고 그 일조차도 가장 비루하고 천한 것으로, 피곤한 몸을 굴리지 않으면 살 수 없는 삶이다. 이것이 <변강쇠가>가 다른 전승 판소리와는 또 다르게 확보하고 있는 역사성이라 하겠다. Full-scale study of <Byun-Gangsoi Ga(변강쇠歌)> got accomplished by Seo-jongmun. Now, the characteristic of work and the aesthetic characteristic, the adapter`s awareness and etc. elucidate by and large. Nevertheless, most of discussions divide structure with bases at death of Gangsoi and grasps of narrative like structure of complications. So, they grasps text that is dualistic structure, absence of prospect or hardly catastrophic. It`s discussed. And with they regard as Ongnyu`s gone at an end, Ongnyu`s "Cheongsang-fate(靑孀살)" did a role in text, by Gangsoi`s death. But, there`s a definite unity of structu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ke source of the unity clear. It`s able to grasp the structure around Ongnyu. Namely, <Byun-Gangsoi Ga(변강쇠歌)> is the one case of <Ongnyu Jeon(옹녀傳)>s without number that shows, Ongnyu who was bereaved of innumerable males, go through "Cheongsang-fate(靑孀살)". Ongnyu mets Gangsoi and married, taken charge of funeral rites. It`s one more case of "Cheongsang-fate(靑孀살)". The meeting and the coupling in Text show as in the concrete as love of man and woman who are the lower class of the day. It is different with same class of the day as Chunhyang and Heungboo` wife. As they worked like dogs, their life is harder and harder. And Their love is the love of man and woman in lowest class. Working and eating, sleeping, it`s almost all of their life. If they don`t work, there`s just death. It`s distinguishing historicity of <Byun-Gangsoi Ga(변강쇠歌)>, what`s different from the other transmission-Pansori Literature.

      • KCI등재

        제2형 당뇨환자에 대한 영양교육이 당뇨병 관리와 혈액 항산화 상태에 미치는 영향

        신경남(Kyung Nam Shin),이혜상(Hye-Sang Lee),권정숙(Chong Suk Kwon)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1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0 No.5

        본 연구는 효과적인 당뇨 교육 및 평가 방안을 모색하는데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안동시 보건소를 내원하는 제2형 당뇨병 환자를 대상으로 4주간의 당뇨교육을 하고, 교육 전, 교육 후 및 교육 후 3개월에 각각 영양소 섭취, 혈당 관리와 항산화 영양상태 및 DNA 손상 정도를 조사하여 영양교육의 효과를 평가하였다. 시기에 따른 교육 효과를 반복 측정 분산 분석으로 검정한 결과, HbA1c와 총 콜레스테롤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 혈장 레티놀(p=0.001)과 토코페롤(p=0.000), 그리고 CAT(p=0.000)와 GPx(p=0.000)의 활성은 유의적으로 상승하였으며, 혈장 과산화지질(TBARS) 농도(p=0.000)와 DNA 손상 정도(p=0.000)는 유의적으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영양소 섭취 상태에 대한 영양교육의 효과는 에너지의 경우, 교육 전에 EER의 76.4% 수준으로 섭취하였으나 교육 직후와 교육 후 3개월에 각각 83.6%와 90.6%로 유의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p=0.009). 에너지 섭취의 증가와 함께 인(p=0.033), 나트륨(p=0.001), 칼륨(p=0.019), 아연(p=0.043), 리보플라빈(p=0.050), 엽산(p=0.048) 및 비타민 C(p=0.008)의 섭취도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한편, 영양소 섭취상태의 변화와 생화학적 특성 변화 간의 관련성을 분석한 결과, 대부분의 영양소 섭취 변화는 공복혈당 및 HbA1c의 변화와 유의성은 없었으나 음의 상관성을 보였고, 칼륨(r=-0.418, p<0.05), 철분(r=-0.443, p<0.05), 리보플라빈(r=-0.432, p<0.05) 및 엽산(r=-0.446, p<0.05)의 섭취 상태 개선이 혈액의 과산화지질 감소와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에너지(r=0.543, p<0.01), 단백질(r=0.545, p<0.01), 인(r=0.425, p<0.05), 철분(r=0.485, p<0.05), 아연(r=0.570, p<0.01) 및 나이아신(r=0.510, p<0.05)의 섭취는 혈장 레티놀과, 엽산 섭취(r=0.605, p<0.01)의 변화는 CAT와 각각 유의적인 양의 상관성을 보였다. 이처럼 당뇨병에서 식이를 통한 영양소의 섭취 증가는 항산화 상태 개선 및 산화 스트레스 감소와 일부 연관이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Diabetic patients need nutritional education more than those suffering from other diseases because of the necessity of controlling blood glucose levels with dietary treat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effectiveness of nutrition education on diabetes control and antioxidant status, both of which are related to diabetic complications. Thirty (15 males and 15 females) type 2 diabetes mellitus patients aged 66.7±8.8 years participated in a 4-week nutrition education program. Nutrient intakes, blood glucose level, antioxidant status, and DNA damage were evaluated before, immediately after, and three months after the education program. Changes in those parameters over time were analyzed using repeated-measures analysis of covariance. Over time, HbA1c (p=0.000), plasma total cholesterol (p=0.002), plasma thiobarbituric acid related substances (TBARS; p=0.000), and leukocyte DNA damage (p=0.000) significantly decreased; plasma retinol (p=0.001), plasma tocopherol (p=0.000), erythrocyte catalase (CAT; p=0.000), and erythrocyte glutathione peroxidase (GPx; p=0.000) significantly increased. In an evaluation of nutrient intakes by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KDRI), energy (p=0.009), phosphorus (p=0.033), sodium (p=0.001), potassium (p=0.019), zinc (p=0.043), riboflavin (p=0.050), folic acid (p=0.048) and vitamin C (p=0.008) intakes had significant positive changes. In a correlation analysis of the biochemical and nutritional changes resulting from the education program, plasma TBARS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potassium (r=-0.418, p<0.05), iron (r=-0.443, p<0.05), riboflavin (r=-0.432, p<0.05), and folic acid (r=-0.446, p<0.05) intakes, while plasma retinol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energy (r=0.543, p<0.01), protein (r=0.543, p<0.01), phosphorus (r=0.425, p<0.05), iron (r=0.485, p<0.05), zinc (r=0.570, p<0.01) and niacin (r=0.510, p<0.05) intakes. Erythrocyte CAT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folic acid intake (r=0.605, p<0.01). From these results, we suggest that an improvement in nutrition resulting from a diabetic education program for type 2 diabetes patients led to improvement in their antioxidant status, also possibly reducing complications resulting from diabete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일부 지역 성인의 노후불안

        최순옥(Soon-Ock Choi),김숙(Sook-Nam Kim),신경일(Kyung-Il Shin),이정희(Jung-Hee Lee) 한국노년학회 2008 한국노년학 Vol.28 No.1

        본 연구는 성인의 노후 불안 수준을 파악하고, 대상자들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노후불안의 차이를 탐색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대상자는 부산과 경남 지역에 거주하는 20 - 60세미만의 남녀 성인 572명이었으며 자료 수집은 2006년 9월부터 11월 사이에 이루어졌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도구는 Lasher와 Faulkender(1993)의 AAS(Aging Anxiety Scales)를 번안한 20문항 중 18문항을 사용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상자의 노후불안은 7점 만점 척도 상에서 1.11점에서 6.50점의 점수범위를 보였으며, 평균은 3.58점이었다. 둘째, 노후불안의 요인별 점수는 상실에 대한 두려움이 3.95점, 노인에 대한 두려움이 3.75점, 신체적 외모에 대한 걱정이 3.33점, 정서적 불안정이 2.86점이었다. 셋째, 대상자들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노후불안은 성별, 연령, 교육수준, 직업유무, 월수입, 건강상태, 노인과의 동거경험 유무에 따라 총 노후불안 점수에서 혹은 각 요인별 점수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성인들의 노후불안을 감소시키고 긍정적인 노후설계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성인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논의가 시도되었다. This research investigated the anxiety about aging for the adult and the differences in anxiety about aging by characteristics of adult, especially gender, age, education, occupation state, income, current health, experiences in living with the old. To this purpose, we survey Anxiety about Aging Scale(Lasher & Faulkender, 1993) in Korean in 572 adult. The conclusions of this research were as follows: First, the mean of the anxiety about aging for the adult was 3. 58. Second, the mean for fear of loss subscale was 3.95, the mean for fear of old people subscale was 3.75, the mean for physical appearance subscale was 3.33, the mean for psychological concerns subscale was 2.86. Thir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t in anxiety about aging by characteristics of adult, especially gender, age, education, occupation state, income, current health, experiences in living with the old. Based upon above findings, this study give useful information for the anxiety about aging for the adult and intervention program.

      • SSCISCIESCOPUSKCI등재
      • SSCISCIESCOPUSKCI등재
      • SSCISCIESCOPUS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