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전뇌 (全腦) 계발의 이해와 홀리스틱 관점에서 본 음악 교육의 중요성

        승윤희(Seung, Yun Hee) 한국홀리스틱교육학회 2002 홀리스틱융합교육연구 Vol.6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how a true meaning of education, along with scientific support, to emphasize the use of the whole brain and to show the importance of music education from a holistic point of view. Holistic education nurtures the development of the whole person and is sensitive to both right and left brain learning. It is concerned with the innate/personal potentials, i.e., intellectual, emotional, social, physical, creative, intuitive, aesthetic and spiritual potentials. It acknowledges that intelligence is multi-dimensional. It has been believed that musical ability is associated with the type of thinking in the right. But the right brain is not solely responsible for all musical abilities. The musical mind functions with the whole brain. Music education, like holistic education, is a process for cultivating the whole person and helps th development of the whole brain. This study tries to show that music education is one of the best ways to develop one’s cognitive, emotional, moral, aesthetic, creative and social potentials. Music education is comprehensive education.

      • KCI등재

        음악교육에서의 통합교육(Inclusive Education) 연구 경향 분석

        승윤희(Seung Yun h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2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음악교육에서 이루어진 장애학생의 통합교육 관련 연구들을 분석 하여 학교 음악교육에서 통합교육 연구의 경향을 살펴보고, 이를 기초로 통합교육을 위 한 음악교육 연구의 올바른 방향을 제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국내 학위논문과 학술 논문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연도 및 연구대상, 학위수여기관, 연구자전공, 연구 주제 및 내용, 연구방법에 따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 첫째, 학위논문들은 중 등교육(45.2%) 관련 논문이 가장 많고 80. 6%의 논문들이 2006년 이후에 연구된 것으 로 분석되었으며, 학위수여기관은 이화여자대학교가, 대학원 유형은 교육대학원이, 연 구자 전공은 특수교육 관련 전공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주제 및 내용에서 는 통합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 및 수업 실태를 조사한 연구가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 하고, 연구방법으로는 조사 연구가 가장 많이 이루어진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학술 논문들은 유아교육 관련 연구가 가장 많고 2010년 이후에 통합교육 연구에 대한 관심 이 높아진 것을 알 수 있으며, 학위논문의 경향과는 달리 연구 주제 및 내용에서는 학 문적 기초와 교육과정을 수정하는 등의 이론적 연구가, 연구방법은 문헌연구가 많이 이 루어진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에 따라, 바람직한 통합 음악교육 연구 의 방향이 제시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previous research regarding music education in regular classes that included students with disabilities, to investigate research trends in inclusive music education, and to suggest a desirable direction for studying inclusive music education. To do this, domestic theses and papers were screened and placed in the categories of year, subject, institution, major, topic, content, and research method.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econdary education-related theses were the most common (45.2%) among domestic theses, and 80.6% of these theses were published after 2006. Ewha Womans University was the most common research institution,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was the most common school type, and special education was the most common subject major. Studies regarding teacher perception and the current status of inclusive education were the most common topic/content. Survey studies were the most common research method. Second, early childhood education-related papers were the most common among domestic papers, and the majority of these papers regarding inclusive music education were published after 2010. Unlike theses, theoretical studies, such as the academic basis and the curriculum, were the most commonly studied topic/content. A literature review was the most common research method. A desirable research direction for inclusive music education is suggested from this analysis.

      • KCI등재후보

        서울시 초등학교 통합교육 실태 및 특수/통합학급 교사들의 의견 조사 -통합학급 음악 교육 연구를 위한 기초 자료-

        승윤희 ( Yun Hee Seung ) 한국예술교육학회 2012 예술교육연구 Vol.10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서울시 초등학교 통합교육의 실태 및 특수/통합학급 교사들의 의견을 조사하여 이를 근거로 장애학생이 통합된 음악교육의 진전을 위한 방안과 바람직한 통합학급 음악교육 방향 등의 기초 자료를 제시하는 데 있다. 실태조사, 2 장애학생의 통합교육이 상대적으로 수월하다고 인식되는 교과 위주의 과목별 통합수업(87.3%)을 실시하는 현재의 교과운영 방식과 ``통합교육이 수월한 교과``의 의미를 재고할 필요가 있으며, 2 특수학급의 보조 이력은 최소한의 교육관련 경험을 갖추어 이들을 장애 유형별로 적절하게 배치하여 수업에서 활용할 수 있어야 하고, 3 교재 개발은 모든 교과에서 시급하지만 가장 많은 통합수업이 이루어지는 음악, 미술, 체육교과의 교재연구가 시급하게 이루어져야 하며, 4 서울시의 학교지원 만족도는 타 지역보다 낮고 일반학생 학부모의 만족속도는 장애학생 학무모의 만족도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특수/통합학급 교사들의 의견 조사 결과 1 가장 많이 실시되는 과목별 통합수업은 음악, 미술, 체육교과(82.0%)이지만 이들 교과 에서 이루어진 교육 적 통합에 관한 연구는 미흡하고, 2 통합교육에 대한 특수교사와 일반교사의 인식은 차이가 있어 이를 좁히기 위한 노력필요 허며, 3 장애학생과 일반학생들의 화합을 위해서는 비교과적인 활동뿐만 아니라 다양한 음악, 미술, 체육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할 것 등이 논의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1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of inclusive education, and special/general education teacher opinions in elementary schools in Seoul, and 2 to provide suggestions for development of inclusive music education research and basic information for implementation of practical inclusive music education.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135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15 general education teachers who were responsible for inclusive classrooms, including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1 Easy subject-oriented inclusive education is presently practiced for each subject (87.3%). However, the meaning of ``easy`` in this context should be re-considered in the present subject management style for inclusive education. 2 Educated and experienced assistant staff members should be properly placed and used in classes. 3 Although development of teaching materials is needed in every subject, development of teaching materials in music, art, and physical education is the most urgent need. 4 The degree of satisfaction regarding support from schools is lower in Seoul than in other regions, and the degree of satisfaction among parents of mainstream students is lower than the degree of satisfaction among parent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Results of an analysis of special/inclusive teacher opinions indicate that, 1 Although music, art, and physical education are frequently included in inclusive education (82.0%), research regarding educational inclusion is presently insufficient for analysis. The perception gap between special and genera1 teachers needs to be eliminated, and to promote harmony between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general students, a variety of programs in music, art, and physical education should be developed.

      • KCI등재후보

        초등교사 양성대학의 교육과정 변천에 따른 음악 관련 교육과정 고찰 및 분석

        승윤희 ( Yun Hee Seung ),정진원 ( Jin Won Chung ) 한국예술교육학회 2014 예술교육연구 Vol.12 No.4

        우리나라 최초의 초등교사 양성기관은 1895년에 설립된 한성사범학교이다. 이후 우리나라 초등교사양성제도는 일제강점기의 사범학교가 2년제 국립 교육대학으로 승격되고, 2년제 교육대학은 1980년대 초반 4년제 국립 교육대학교로 승격, 개편되는 역사적인 변천을 통해 질적으로 발전하게 되었다. 초등교사 교육의 질적 향상은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각 교과교육의 교육과정 개발 연구를 통해 이루어진다. 따라서 초등교사 양성체제의 변천과정에 나타나는 음악 관련 교육과정을 살펴보면, 음악교육에 있어 초등교사교육을 위한 시대적 흐름의 변화 양상을 알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교사 양성 교육체제의 변천을 살펴보고, 우리나라 초등교사 양성대학의 교육과정 변천에 따른 음악 관련 전공 및 음악심화 교육과정을 역사적으로 고찰하여 이를 대학별, 시기별로 분석함으로써 초등음악교육을 위한 교사교육의 발전 양상을 큰 틀에서 조명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현재 초등교사를 양성하고 있는 전국 10개의 교육대학교와 제주대학교 교육대학, 그리고 이화여자대학교와 한국교원대학교 초등교육과의 음악 관련 전공 및 음악심화 교육과정을 시기별로(2년제, 4년제 초기, 2014년 교육과정)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음악교육과 관련하여 현행 초등교사 양성교육의 문제점을 진단하고 초등교사의 교과전문성 신장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 데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 first elementary school teacher education institution in Korea was the Hansung School of Education, established in 1895. From then on,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 training system of Korea developed in quality. This was done through historic transition such as the School of Education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elevating its status to a two year course college of education, and this college further growing into the National College of Education in the early 1980s. The qualitative improvement in elementary teacher education is done by the professional and systematic research for the development of each subject curriculum. By examining the music-related curriculum in the transition process of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 training system, the aspect of changes for teacher training in music education can be elucidat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transition of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 education system, to historically contemplate the music-related major and intensive music curriculum in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 training college of Korea, to analyze these curriculums according to college and time, and to understand the development aspect for teacher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music education. This study analyzed curriculums of the ten National Universities of Education, Jeju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Education, the department of elementary education at Ewha Womans University and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for diagnosing the problems of music education-related elementary school teacher training and for providing solutions to improve subject expertise.

      • KCI등재

        감성지능의 이해와 음악교육의 역할

        승윤희(Yun Hee Seung) 한국음악교육학회 2000 음악교육연구 Vol.19 No.-

        The value and the importance of the purely rational ability or academic ability measured by the Intelligence Quotient (IQ) Test has been emphasized during the 20th century. However, it is clear that there is more to success in life than what we have traditionally meant by intelligence. Recently, the term emotional intelligence has been used in the field of education as well as in psychology. John Mayer and Peter Salovey proposed a theoretical framework for emotional intelligence in 1990. According to them, emotional intelligence is the ability to perceive emotions, to access and generate emotions so as to assist thought, to understand emotions and emotional meanings, and to reflectively regulate emotions so as to promote both better emotion and though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oncept and the theory of emotional intelligence and to show the practical role of aesthetic music education. The primary purpose of aesthetic music education is to develop the musical mind, possessed by every human being, to its highest possible level. The development of the musical mind/emotion is one of the best ways to enhance emotional intelligence, academic intelligence and moral intelligence. Our lives can be improved by the musical mind/emotion which enhances the abilities or skills required in social situation. Scientific research findings strongly support the place of music in school. In this study, the importance of aesthetic music education was discussed and its justification as a core subject in the 21th century was insisted.

      • KCI등재
      • KCI등재

        학습동기이론에 기반한 음악 수업 연구

        승윤희(Seung Yun h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5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5 No.7

        이상적인 학교 음악 수업은 문서화된 음악과 교육과정의 내용을 준수하는 가운 데, 모든 학생들이 즐겁게 열심히 학습하고, 음악을 아름답게 느끼고 생각하며, 다양 한 음악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수업일 것이다. 그러나 학교에서 이러한 음악 수업을 구현하는 것이 그리 쉬운 일은 아니다. 학습의 전 과정에 걸쳐 중요한 영향 을 미치는 것은 학습자의 동기이다. 학습동기는 학습 과정을 성공적으로 지속하기 위한 가장 중요한 요인이기에, 음악 학습 과정에서 학습자들을 이해하는 데 유용한 내용을 제공하는 동기 관련 연구는 보다 심도 있게 연구될 필요성이 있다. 본 연구 는 학습동기이론을 적용한 음악 교수·학습 방법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 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동기와 동기이론의 다양한 심리학적 관점을 살펴보고, 학습 과정에 중요하고도 깊이 관여되는 목표, 욕구, 자기효능감, 귀인, 학습된 무기력 등 의 동기 관련 요소들과 정서적 요소들이 실제로 학습자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치게 되는지를 음악 학습 상황에서 기술하였다. 학습동기이론을 적용한 음악 교수·학습 방법으로는, 학습동기와 정서적 요소들의 특성들을 고려한 음악 수업의 원리와 초· 중등 음악 수업에 적용 가능한 교수·학습 전략들이 제시되었다. 음악 교수·학습 전략은 수업 시작 단계에서의 학습동기 유발을 위한 전략, 수업 전개 단계에서의 학습동기 유지를 위한 전략, 수업 정리 단계에서의 학습동기 증진을 위한 전략들로 구성되어 각 단계에서 구체적인 내용으로 기술되었다. The ideal school music class would be a class that abides by the context of documented music curriculum and that all of the students learn enjoyably, feel and think of music beautifully, and positively participate in various music activities. However, fulfilling this type of music class in school reality is not an easy task. A learner’s motivation is what greatly influences the whole learning process. Learning motivation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that allows the learning process to sustain successfully. Therefore, it is necessary for a study regarding motivation that provides useful contents to understand the learners in the music process.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provide a music teaching/learning method based on the learning motivation theory. The specific aims of this study are to look over the motivation and motivation theory in the psychological aspect and to investigate how motivation-related and emotional factors such as objective, needs, self-efficacy, attribution, and learned helplessness, which are not only important but also deeply involved in the learning process, affect the learners in the issue of music learning. Principles of music class based on learning motivation and emotional factors and the strategies for music teaching/learning that can be applied to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music classes were suggested as music teaching/learning methods based on the learning motivation theory. The strategies for music teaching/learning, which are categorized as strategies for learning motivation induction in the beginning, learning motivation maintenance in the development, and learning motivation improvement in the closing, are provided.

      • KCI등재
      • KCI등재

        초등학교 3~4학년 ‘음악’ 교사용 지도서의 〈도입〉 내용 및 활동 분석 -음악 학습 동기유발의 관점에서-

        승윤희(Seung Yun h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5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5 No.12

        ‘음악’ 교사용 지도서는 초등 음악 수업을 준비하는데 필요한 핵심 도서이다. 지도서 의 내용 중 차시별 수업의 〈도입〉은 음악 수업을 안내하고 학습자들의 흥미를 유발하 기 위한 내용 및 활동을 예시로 제시한다. 따라서 〈도입〉은 학습자들의 음악적 동기화 수준과 음악 수업의 질에 큰 영향을 주게 되기 때문에 그 역할은 매우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음악 학습 동기유발의 관점에서 초등학교 ‘음악’ 교사용 지도서의 〈도입〉 부 분을 조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현재 사용하고 있는 ‘음악’ 교 사용 지도서의 〈도입〉 내용 및 활동을 출판사별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수업의 연관성은 지도서마다 다양한 양상으로 나타나지만 대체적으로 본시 수업과의 연관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내용 분석 결과, 모든 지도서에 음악 관련 내용이 가장 많 은데 55.8%에서 91.2%까지 출판사별로 차이가 있으며, 유형으로는 ‘배운 내용 확인’이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한다. 대부분의 지도서에서 실생활/경험 관련 내용으로는 ‘자연, 동물 주제나 경험’을 다루는 내용이, 음악과 실생활/경험 모두에 관련된 내용으로는 ‘음 악의 쓰임’을 다루는 내용이 많이 담겨져 있었다. 셋째, 활동 분석 결과, 대부분의 지도 서에서 교사와 학생의 상호중심 활동이 주를 이루었고 학생중심 활동이 그 뒤를 이었 다. 상호중심 활동으로는 ‘이야기하기’(질문/대답하기)가, 학생중심 활동으로는 ‘노래부 르기’가 가장 많았다. 분석 결과를 토대로 음악적 동기화를 촉진시키는 수업 연구의 필 요성과 좋은 음악 수업에 대한 논의의 확대가 제기되었다. Teacher’s Manuals for music textbooks are the core book in preparing for elementary music classes. Among the content, the of per class methods is displayed as an example of content and activity in guiding the class and intriguing the interest of the learners. The is very important because it greatly influences the quality of the music class and the musical motivation level of the learners.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hed light on the of Teacher’s Manuals for elementary school music textbooks in the perspective of motivation. In order to achieve this objective, this study analyzed the content and activity with in the currently used Teacher’s Manuals for music textbooks based on their publisher. According to the analyzed results, first, although in general, class relativeness had high relation with the original class, it appeared in various ways depending on the publisher. Second, according to content analyzation, among all the manuals, music related content holds the largest portion, but they varied from 55.8% to 91.2% depending on their publisher, and among the categories, content verification holds the largest portion. Most of the manuals used “nature or animal subjects or experience” relating to real life/experience, and “musical usage” relating to both music and real life/experience as their content. Third, according to activity analyzation, in most of the manuals, interaction between student and teacher was the leading activity, followed by student-centered activities. For the former, ‘talking’ (questioning/answering) scored the highest while for the latter, ‘singing’ held the biggest proportion. Based on the analysis, the need to promote musical motivation and the discussion on the expansion of good instruction in music were suggested.

      • KCI등재후보

        서울시 중학교의 교가(校歌) 분석 연구

        승윤희 ( Yun Hee Seung ) 한국예술교육학회 2014 예술교육연구 Vol.12 No.1

        우리나라 최초의 중학교 교가는 선교사들이 세운 근대식 교육기관인 배재학당, 이화학당 등의 사립학교 교가들로 서울지역의 중학교 교가는 길게는 130년 가까운 역사와 전통을 지닌다. 오랜 시간동안 전교생으로 하여금 소속감, 애교심, 자긍심을 향상시킬 수 있는 중요한 활동으로 인식되어온 교가 부르기는 최근 들어 그 역할과 기능이 이전보다 약화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음악 분석과 가사 분석을 통해이 지역 교가의 전반적인 특징 및 실태에 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한다. 2013년 4월 1일 기준 서울시 소재 총 382개 중학교 중 314개 학교의 교가를 분석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작사자는 이희승, 작곡자는 허원무가 가장 많은 교가를 작사, 작곡하였고, 2) 음악의 구성요소별 분석 결과, 박자는 4/4박자로 작곡된 교가가 295개교(93.9%), 음역은 C4-D5의 음역을 사용하는 교가가 68개교(21.7%), 조성은 바장조 (F)로 작곡된 교가가 70개교(22.3%), 성부는 단성부(제창)로 작곡된 교가가 274개교(87.3%), 가요형식은 세도막 형식으로 구성된 교가가 177개교(56.4%), 가사형식은 후렴있는 유절형식의 교가가 174개교(55.4%), 그리고 빠르기의 정도를 명시하지 않은 교가가 183개교(58.3%)로 가장 많았으며, 3) 교가의 가사 내용 및 의미 분석 결과, 가사는 덕(德)과 관련된 의미(38.7%)가 가장 많이 나타나는 것으로 조사되었고, 4) 상당수의 교가에서 박의 흐름이나 리듬과 가사의 불일치가 나타났으며, 5) 가사의 적절성 분석결과, 교가의 성격으로 적합하지 않은 가사, 어른 위주의 가사, 현재의 상황이나 시대에 맞지 않는 가사, 이해하기 어려운 가사들이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중학교 교가의 문제점을 제시하고 학교에서 교가 부르기 활동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방안이 모색되었다. The first school songs at middle schools are the ones of private schools such as Paejae Haktang and Ewha Haktang, which were modern educational institutions established by missionaries. School songs of middle schools in Seoul carry a history and tradition for as long as nearly 130 years. Singing the school song in union, which has been recognized as an activity that improves a sense of belonging, the sense of attachment to one``s school, and school pride for the whole student body, has lost its role and function in recent days. Hence, through analyzing the music and lyrics, this study offers the basic data about the overall features and reality of the school songs in this district. The research result of the analysis on 314 school songs out of the total 382 middle schools in Seoul based on the criteria of April 1st, 2013 are as followed. 1) Song writer Heeseung Lee and composer Wonmoo Heo wrote, composed the most school songs, 2) Analyzed by musical components, 295 school songs(93.9%) have a 4/4 meter, 68 school songs(21.7%) use the C4-D5 range of voice, 70 school songs(22.3%) were composed in F Major, 274 school songs(87.3%) use unison as a texture, 177 school songs(56.4%) have a ternary form, 174 school songs(55.4%) use the strophic form with refrains in the form of song words, and 183 school songs(38.7%) have no tempo mentioned in the score. 3) Words representing virtue were used in 38.7% of the songs, according to an analysis of the content and meaning of lyrics. 4) Discordance in the flow of beat/rhythm and lyrics was identified in a considerable number of school songs. 5) By examining the adequacy of the lyrics, there were many lyrics that have inappropriate words for school songs, that are adult-oriented, that are inconsistent with current circumstances and time periods, and lyrics that are difficult to understand. On the basis of this research, the problems of school songs at middle schools were proposed and measures to activate school song singing were looked into.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