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DB 산업 전망

        송호정,Song, Ho-Jeong 한국데이터베이스진흥원 2006 디지털콘텐츠 Vol.8 No.-

        국내 산업 경기가 고전을 면치 못하고 하향세를 지속하고 있는 가운데서도 데이터베이스 산업은 3분기에 도호전세를 이어갈 전망이다. 한국데이터베이스진흥센터는 지난 6월5일부터 6월 28일까지 데이터베이스산업체 305개 및 데이터베이스정보서비스이용자 220명을 대상으로‘ 데이터베이스산업기업경기실사지수(DB-BSI) 및 이용환경지수(DB-CSI)’를 조사했다. 이번 조사 결과를 토대로 국내 데이터베이스 산업의 2006년 2~3분기 현황을 짚어봤다.

      • KCI등재

        도로공사 공정계획을 위한 공정 로직 및 건설장비 효율화 방안

        송호정,최재현,Song, Hojeong,Choi, Jaehyun 한국건설관리학회 2014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Vol.15 No.6

        도로공사는 선형적이고 반복적인 공사로 공사의 특성상 건설장비에 대한 의존도가 높기 때문에, 건설장비의 효율적 운용에 의한 생산성 향상 및 공사비 절감 효과가 크다. 또한, 도로공사는 시공순서, 현장상황, 적용 공법에 따라 다양한 건설 장비의 선택이 가능하기 때문에 공정계획 시, 공종 간 연계에 따른 세부 작업 및 공법을 고려하여야 한다. 시공자는 현장조건에 맞는 작업을 선택하고 투입될 장비의 종류 및 성능, 수량 등을 사전에 파악하여, 적절한 건설장비 운용계획의 수립을 통한 경제성 향상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하지만 한정된 유사 공사의 실적정보 및 체계적인 공사계획 방법의 부재로, 적정한 공정계획 수립이 용이하지 않으며, 공법 및 건설장비의 선정에 있어 대부분 경험과 직관에 의존한 공사를 수행하고 있다. 그 결과 시공 이전 공정계획단계에서 수립된 계획은 실행단계에서의 충분한 타당성을 확보하지 못하여 그 활용도가 제한적이다. 본 연구는 일반적인 도로공사의 초기 공정계획 수립단계에서 적용가능한 주요 공종별 공정로직을 개발하고, 공종 별 세부 시공절차 분석을 통하여 현장상황 및 공종에 적용 가능한 건설장비 운용 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공정로직에 따른 다양한 건설장비 대안들을 대상으로 프로세스 시뮬레이션을 활용하여 경제성 기반의 최적화 장비조합 방안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방법을 이용하여, 계획단계에서의 수립된 다양한 공정계획에 대해 효율성을 평가하고 최적의 자원 선정을 위한 의사결정에 도움을 줄 것으로 판단된다. Highway construction is a combination of linear, repetitive, and highly equipment intensive operations. Various types of construction equipment are deployed to ensure undisrupted performance of construction, and thus productivity improvement and cost-saving can be achieved through well-thought-out planning. The selection of construction equipment is dependent upon construction sequence, site conditions, and construction methods. In the process of planning, management should consider various types of construction methods per each type of construction operation. Also, management should map out proper construction equipment operation plan that takes the construction duration and cost measures into consideration. However, limited availability of historic data from the similar types of operations has been a stumbling block to proper construction planning, making the operations performed based upon experience and intuition guided by rules-of-thumb. As a consequence, the planing phase rarely provided an adequate validity in the implementation phase. The researchers developed a process logic for each construction type that management can utilize from early phase of highway construction planning process. Moreover, derived the construction equipment combination optimized for efficiency by using the process simulation technique. The developed method is expected to be useful for the decision-making process that aims to evaluate efficiency of various process plans and to ensure optimal selection of construction equipment for highway construction projects.

      • KCI등재
      • KCI등재

        최근 한국상고사 논쟁의 본질과 그 대응

        송호정(Song, Ho-jung) 한국역사연구회 2016 역사와 현실 Vol.- No.100

        Recently, some quasi historians have grouped and argued that Gojoseon and Nakrang-gun were positioned in the Manju area and not inside the Korean peninsula. Debates over the matter span out of control, and eventually became a controversy. Their arguments are old, as those theories had already been thrown in the 1980s, and then resurfaced nowadays, virtually unchanged. Their denouncement and attacks upon legitimate previous studies have finally crossed the line, and should no longer be tolerated. They criticise previous studies for being supposedly ‘similar’ to recent Chinese studies or ‘colonial history’ that had been developed by the Japanese over a century ago. But they do so without presenting sufficient analysis or objective evaluation. It is most troubling that these quasi historians’ arguments, and the possibility that their studies might be used by whoever in political power, could irrevocably compromise the integrity of future historical studies, which would require careful interpretation of historical texts. Historians and researchers can no longer afford to sit back and watch. They should rise and aid in the education of the public. Presented in this article is a critical analysis of quasi historical studies, in which the so-called ‘bases’ of their arguments are carefully examined. This is meant as a comprehensive review of the Korean ancient history controversy which would hopefully remind all of us that these studies, and sometimes other studies in the past as well, oftentimes feature highly politicized chauvinist perspectives, especially when dealing with issues such as territorial boundaries and centers, and do not bother to determine how people actually lived during those times.

      • KCI등재

        회로 분할을 위한 어댑티드 유전자 알고리즘 연구

        송호정(Ho-Jeong Song),김현기(Hyun-Gi Kim) 한국콘텐츠학회 2021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1 No.7

        VLSI 설계에서의 분할(partitioning)은 기능의 최적화를 위하여 설계하고자 하는 회로의 그룹화(grouping)하는 단계로서 레이아웃(layout)에서 면적과 전파지연의 최소화를 위해 함께 배치할 소자를 결정하는 문제이다. 이러한 분할 문제에서 해를 얻기 위해 사용되는 알고리즘은 Kernighan-Lin 알고리즘, Fiduccia Mattheyses heuristic, 시뮬레이티드 어닐링, 유전자 알고리즘 등의 방식이 이용된다. 본 논문에서는 회로 분할 문제에 대하여 유전자 알고리즘과 확률 진화 알고리즘을 결합한 어댑티드 유전자 알고리즘을 이용한 해 공간 탐색(solution space search) 방식을 제안하였으며, 제안한 방식을 유전자 알고리즘 및 시뮬레이티드 어닐링 방식과 비교, 분석하였고, 어댑티드 유전자 알고리즘이 시뮬레이티드 어닐링 및 유전자 알고리즘보다 더 효과적으로 최적해에 근접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In VLSI design, partitioning is a task of clustering objects into groups so that a given objective circuit is optimized. It is used at the layout level to find strongly connected components that can be placed together in order to minimize the layout area and propagation delay. The most popular algorithms for partitioning include the Kernighan-Lin algorithm, Fiduccia-Mattheyses heuristic and simulated annealing. In this paper, we propose a adapted genetic algorithm searching solution space for the circuit partitioning problem, and then compare it with simulated annealing and genetic algorithm by analyzing the results of implementation.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an adaptive genetic algorithm approaches the optimal solution more effectively than the simulated annealing and genetic algorithm.

      • KCI등재

        고조선 중심지의 위치 문제에 대한 쟁점과 과제

        송호정(Song, Ho-jung) 한국역사연구회 2015 역사와 현실 Vol.- No.98

        The most important thing that should be considered in Go-Joseon studies is the possibility that the territory of Go-Joseon could have shifted as time went on, that the feature of the Go-Joseon realm could have had different shapes in different periods. The history of Go-Joseon shows two phases: the Bronze culture era when the Go-Joseon people still used Bipa-shaped bronze daggers, and the Iron culture era when Go-Joseon achieved the status of a ‘State.’ From this, we can easily see the importance of acknowledging the fact that there should have been ‘periodic changes’ in the Go-Joseon realm, when we try to approach its history from an academic viewpoint. In the early phases of the Ancient period, borderlines were not that distinctive as they are today. Between states and political entities, incredibly large areas remained unpopulated. Go-Joseon’s western border area in particular is believed to have been more than fluid. And there were various tribes living in the vicinity. So, trying to dictate the Daedong-gang river area as the (Western) border of Go-Joseon, or arguing that Go-Joseon’s realm engulfed the entire Manchu region as well as the North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the “entire time” from beginning to end, is simply unrealistic. Scholars and the public should refrain from considering ‘regional deployment of tribes’ or the ‘range of [their] cultural influences’ as indicators of parameters for an actual political territory. Perceiving the entire realm that shared the Bipa-shaped bronze dagger culture directly as the political territory of Go-Joseon is nothing but an academically inappropriate misconception. The Daedong-gang river in the Pyeong’yang region should not be excluded from the early-stage realm of Go-Joseon, while including not only the Liaodung(遼東) region but also the Liaoshi(遼西) region in Go-Joseon’s supposed realm of influence is simply without sufficient empirical basis.

      • KCI등재

        衛滿朝鮮의 王儉城 위치에 대한 최근 논의와 비판적 검토

        송호정(Song, Ho-jung) 호서사학회 2019 역사와 담론 Vol.0 No.92

        『史記』 朝鮮列傳의 기록에 따르면 기원전 4세기~기원전 3세기에 燕은 眞番과 朝鮮을 공략하고 鄣塞를 쌓았다. 그리고 기원전 2세기경 燕 지역에서 나온 衛滿은 遼東故塞를 지나 浿水를 건넜다고 한다. 따라서 王儉城의 위치와 관련해 遼東故塞와 浿水의 위치 비정이 가장 중요하다. 기원전 4세기~기원전 3세기에 燕은 東胡를 물리치고 造陽(현 하북성 회래현)에서 襄平(현 요양시)에 이르는 지역에 鄣塞를 설치하고, 상곡군 · 어양군 · 우북평군 · 요서군 · 요동군을 설치하였다. 5개 郡 가운데 遼東郡은 襄平에 치소를 두고 18개 縣을 관리하였다. 이때 요동반도에 위치한 遼東郡 지역에 설치한 장새가 遼東故塞이다. 『사기』 조선열전에 기록된 위만의 남하 기록을 보면, 漢이 등장하여 古朝鮮과 경계로 설정한 浿水는 遼東故塞의 남쪽에 있었다. 漢代에 요동고새 남쪽에서 패수로 비정할 수 있는 강은 압록강과 청천강 두 강이 있었다. 그런데 『漢書』 地理志 등 문헌 기록에는 漢代 遼東 남쪽의 鴨綠江이 浿水가 아닌 鹽難水 또는 馬訾水로 기록되어 있다. 그러므로 古朝鮮과 漢의 경계가 되었던 浿水는 압록강(염난수) 남쪽에 있는 淸川江으로 보는 것이 합리적이다. 遼東古塞를 나와 浿水를 건넌 衛滿은 준왕을 밀어내고 王儉城에서 衛滿朝鮮을 세웠다. 이 기록대로라면 고조선 수도 王儉城은 浿水 남쪽에 있어야 한다. 漢 군대가 고조선을 공격할 때 浿水를 건넌 뒤 洌水 입구에 위치한 王儉城을 포위하였다고 하므로, 洌水는 패수보다 남쪽에 있는 지금의 大同江임이 분명하다. 따라서 후기 고조선의 왕성인 王儉城은 平壤에 있었음이 분명하다. 최근 고고학계를 중심으로 제기된 왕검성 요동설은 고고 자료만으로 논의를 펼친 것이다. 그러나 문헌 자료에서는 遼東 지역 이남에 王儉城이 있었다고 기록하고 있다. 따라서 고고학자들은 이에 대한 대안이나 합리적인 해답을 제시하고 고고학 자료에 입각한 논의를 주장하여야 한다. According to the records of the “Saji(史記)” Joseon dynasty, the Yan (燕) Dynasty attacked Jinbeon and Joseon kingdoms and built a fortress during the 4th century B.C. and 3rd century B.C.. Weiman(衛滿), which came from the Yan area around the 2nd century B.C., crossed the Paishu-river(浿水) by passing the Liaodong old fortress(遼東古塞), indicating that the boundary river of Han and Gojoseon was located on the southern side of the Liaodong old fortress. However, in the literature records such as “Hanshu(漢書)” geographical record, the Yalujiang-river(鴨綠江) is recorded as a Yannanshu-river(鹽難水), not a Paishu-river(浿水). Therefore, it is reasonable to regard the Paishu-river(浿水) that had been the boundary between the Han(漢) and the Gojoseon(古朝鮮) as the Cheongcheonjiang-river(淸川江), south of the Yalujiang-river. Then Wiman(衛滿), who left the Liaodong old fortress(遼東古塞) and crossed the Paishu-river, pushed back the king and built the Wimanjoseon in Wanggeomseong-palace(王儉城). According to this record, the Wanggeomseong-palace, the capital of Gojoseon, should be south of the Paishu-river. It is said that when Han’s army attacked Gojoseon, it crossed the Paishu-river and surrounded the Wanggeomseong-palace, located at the entrance to the Lieshu-river(洌水), so the Lieshu-river must be the Daedongjiang-river(大同江), which lies south of the Paishu-river. Therefore, it is clear that Wanggeomseong-palace was in Pyongyang. The theory of “the Wanggeomseong-palace is located in the Liaodong area,” which was recently suggested by the archaeological community, was discussed only with archaeological data. However, the literature records that the Wanggeomseong-palace was found in the southern region of Liaodong. Therefore, archaeologists should present alternatives or reasonable answers to this and insist on discussions based on archaeological data.

      • KCI등재
      • KCI등재

        衛滿朝鮮의 성장과 주변 국가와의 관계

        송호정(Song, Ho-jung) 고조선단군학회 2021 고조선단군학 Vol.46 No.-

        기원전 2세기 초 燕王 盧綰 밑에 있던 衛滿은 독자적으로 세력을 이끌고 漢의 동쪽 경계 遼東故塞를 나와 浿水를 건너 秦故空地 上下障 지역에 거주하다가 대동강 유역에 위치한 王儉城의 準王을 밀어내고 왕위에 올랐다. 그리고 위만이 처음 자리 잡은 고조선 중심지(왕검성 지역)는 일제 시기에 조사된 秥蟬縣神祠碑와 최근 소개된 樂浪 初元 4년명 木簡에 따르면 평양 대동강 유역이 분명하다. 위만은 처음 자기를 따라온 流移民들을 따로 중국적 질서에 편입시키거나 토착민과 구분하는 정책을 취하지 않았다. 이러한 점은 漢代 중국 남부지역에 세워진 남비엣의 역사와 유사하다. 漢의 주변국인 남비엣[南越]과 위만조선의 경우 비록 왕조의 출발은 中國系 官人에 의해 시작되었으나 流移民과 土着民 사이에 구분되는 활동이나 종족적 차이를 보이지 않고 하나의 국가와 민족으로서 漢에 대항하면서 발전해 나갔다. 점차 위만은 중국으로부터 兵威財物을 취득함으로써 그 이웃의 小國을 침략하고, 마침내 眞番·臨屯·沃沮 등 주변 小國들을 복속시켜 사방 수천 리의 영역 국가로 발전할 수 있었다. 기원전 2세기 당시 정권을 잡은 衛滿은 주변 종족들이 중국의 국경을 침범하지 못하게 하고, 또 중국과 교통하는 것을 막지 않는다는 조건으로 漢나라와 外臣 關係, 즉 君臣 關係를 맺었다. 나아가 한강 이남의 중서부 지역에 위치한 辰國 연맹체가 위만조선의 중개를 거치지 않고 漢과 직접 교섭을 시도하자 위만조선은 이를 방해하였다. 이로 말미암아 위만조선과 한 사이에 무력 충돌이 일어나게 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In the early 2nd century B.C., Wiman, the subordinate of The King Nogwan of the Yeon Dynasty, independently led the forces and left the Wall-fortress in the Liaodong area to drive out King Jun, who lived in Wanggeomseong Fortress, located in the Daedong River basin, and ascended the throne. Wiman inherited the ruling system of Gojoseon society as it was, and the name of the country was still called Joseon(朝鮮), and it strengthened its national power by accepting excellent culture from China. And Wiman did not let Hans immigrants who followed him live separately or distinguish them from the indigenous Gojoseon people. Wiman was appointed as a servant of the empire(外臣) after establishing military relations with the Han Dynasty on the condition that it would prevent neighboring tribes from invading Chinas borders and not traveling to and from China. However, over time, Wiman developed his strength based on iron weapons and agricultural equipment received from China and did not keep his duties as a servant of the empire. In addition, when the power was developed by connecting with the Hun, the Han King Muje invaded and destroyed Wimanjoseon to break off the forces connected to the Hun, and established a county(郡) in the land. The fact that Han destroyed Gojoseon and established a county and district in 108 B.C. basically shows that he tried to turn the countries outside of Hans laws into a county and district and dominate them directly. Han established a county and prefecture in the Gojoseon area to unite and rule the barbarian forces in northeastern China more strongly than the role of a servant of the empire(外臣) previously assigned to Wiman Jose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