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공공기관의 이메일기록 관리 방안 연구

        송지현,Song, Ji Hyoun 한국기록학회 2007 기록학연구 Vol.0 No.15

        조직의 업무와 관련되어 주고받는 이메일은 기록화하고 보존해야하는 조직의 자산이다. 그러나 현재 대부분의 공공기관에서 이메일기록에 관한 정책이나 지침이 마련되어 있지 않고, 이메일관리의 당위성에 대한 인식조차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이메일기록 관리의 당위성을 설명하고 우리나라 공공기관에서 효과적인 이메일기록 관리 방안을 기록관리학적 측면에서 모색하는 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메일기록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문헌연구와 함께 기록관리 선진국의 이메일기록관리 정책 및 지침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지침들은 형태가 구성요소와 다르기 때문에 공통적인 구성요소를 추출하여 주요 범주화하여 나누고, 세부사항을 비교해 볼 수 있도록 해체하여 분석하였다. 분석으로 도출된 이메일 관리 필수 요소를 중심으로 공공기관에서 실무 지침으로 삼을 수 있는 이메일기록 관리 방안을 모색하였다. 그리고 전자정부 시대에 적합한 이메일기록 관리 모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It is not an overstatement that nowadays electronic mails are communicated more frequently as well as conveniently than phones and facsimiles, not only in routine life hot also in business transactions. Also, it is evident that emails will be used more and more as a communication method between internal and external organizations. If the information transferred and received via emails takes a role of business records, it is no wonder that emails should be uniformly managed as public records. Currently, however, specific policies or guidelines for the management of email records are not available, nor do most of public employees realize that emails are the actual records of the organization. In fact, the three research methods have been used for this study in the purpose of the establishment of email records management scheme. First of all, bibliographic research has been conducted in an effort to describes the definition and types of email records indicated in the guidelines of each nation, as well as the differences from the transitory email messages. Secondly, email management guidelines and policies of public institutions of England, The United States, Australia, and Canada, so-called the advanced countries of the records management, have been analyzed to examine the advanced examples of email management. In order to manage email records effectively, the functional requirements - capture, classification, storage, access, tracking, disposition, and role and responsibility were categorized in this thesis, based on the ISO 15489. As the designs of these foreign guidelines vary one another, common factors of them were extracted to be included in the realm of the seven stages. Lastly, this thesis has analyzed characteristics of the email system within the Electronic Document Management System of existing administrative institutions. Also, it has examined the overall environment of the email records management of public institutions and sought out its improvement. In essence, focused on the crucial factors on email management drawn out from the email management guidelines of foreign nations and the analysis of the policies, this thesis proposes an email records management scheme for Korean public intuitions, as well as an email management model suitable for forthcoming e-government era.

      • KCI등재

        GIS 기반 로컬상권의 성장에 따른 상권특성 변화 - 서울시 홍대 및 성수지역을 중심으로 -

        송지현,한유진 한국주거환경학회 2023 주거환경(한국주거환경학회논문집) Vol.21 No.4

        최근 동네에 관한 관심이 증가하며 소상공인 산업에서 로컬은 새로운 경제권으로 부상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로컬상권의 성장에 따른 변화 특성을 분석하여 소상공인 창업에 있어 입지와 업종 선택에 유용한 자료를 제시하는 것이다. 먼저 국내 대표적 로컬인 홍대 및 성수 상권을 대상으로 5년(2017년, 2022년) 단위 시점의 인구 및 점포의 변화를 탐색하였다. 인구 요인으로 청년층 거주인구, 1인 가구 수, 유동인구를, 점포정보는 음식점 주소, 세부업종, 개·폐업일 내용을 수집하여 GIS(지리정보시스템)로 분석하였다. 기준 시점에 로컬 성장기인 성수 상권의 인구 요인은 모두 증가하였고, 점포는 초기 로컬 형성 지역을 중심으로 집적이 더욱 강화되며 골목으로 확장되는 패턴을 보였다. 업종은 카페, 양식, 일식, 감성주점 비중이 크게 상승하였다. 이미 로컬이 활성화된 홍대 상권은 거주인구와 음식점 세부업종에는 변화가 없었고, 점포집적은 골목과 비상권 지역으로 더 광범위하게 퍼져나가고 있었다. 따라서 로컬에 창업하는 소상공인은 로컬상권의 성장에 따른 변화 특성을 토대로 성공적 운영을 위한 입지와 업종을 선택하여야 할 것이다. With the increasing interest in neighborhoods, the concept of "local" has emerged as a new economic force in the small business industry. In this contex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changes in local business districts as they grow, and to provide valuable data for site selection and industry choices, which are crucial for small business startups. Initially, we explored the changes in population and stores over five years (2017, 2022) in Hong-dae and Seong-su business districts, which are representative local areas in South Korea. Population factors included the number of young adults, the number of single-person households, and the floating population. Store information included restaurant addresses, specific business types, and opening/closing dates, which were analyzed using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GIS). The population factors of the Seong-su business district, which is in a period of local growth, all increased, and stores concentrated around the initial formation point of the local district and expanded into alleys. In terms of business type, there was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proportion of cafes, western food, Japanese food, and sentimental bars. In contrast, in the Hong-dae business district, where localization has already been activated, there has been no significant change in the resident population and specific business type. However, the concentration of stores has spread more widely to alleys and non-core areas. Therefore, small business owners who start a local business should base their decisions on the characteristics of changes as the local business district grows. They should consider factors such as the influx of the youth population when choosing a location and a type of business for successful operation.

      • KCI등재
      • KCI등재

        공동주택 세대외부창고의 활성화 방안을 위한 사례 연구

        송지현,이현수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18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Vol.27 No.1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ases of storage space outside housing unit and propose the activation plan. The issue of storage in residential complex has continued to be reported. This is more salient due to the recent preference trend for small houses, the constant increase of living goods and the limitation of the available space inside housing unit. Although more apartment houses are trying to have individual storage in the exterior space to address these issues, there is still a paucity of the related studies and more studies are required. In this study, we conducted on-site investigation and user interview of each case to propose active usage of the storage space outside housing unit.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at the most crucial factor to improve is ‘accessibility’ in order to activate the storage space. Storage room should be located close to each household or the individual parking space. The second factor is the size and the structure of the storage room. The sufficient space for keeping and taking large objects out are required. The front of the storage room should have a clogged structure to insure privacy. The third is the provision of suitable support programs such as the system that occupants can check remotely what items are in their storage rooms, garage sale, laundry service, auto cleaning system and rental program. Those programs are required for efficient management and activation of space. Another requirement is to improve environmental factors which include maintenance of optimal temperature and humidity, automatic ventilation system, control of individual lights, and security enhancement.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urvey, we provide basic data which can be used for practical space planning to activate exterior storage space of the housing unit. Further surveys are required to develop this study by obtaining more data for generalization. 주택과 관련된 불편함 중 하나가 수납이다. 다양화된 라이프 스타일에 따른 보유물품의 증가, 중소형 주택을 선호하는 경향, 주택의 내부라는 공간적 한계로 인하여 주택에서 수납에 대한 문제는 더욱 부각된다. 이러한 문제를 반영하여 공동주택 세대외부공간에 물품보관 창고를 공급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세대외부창고는 무료로 제공되는 전용공간이라는 점에서 고객 선호도가 높으나 실제 활용도는 낮은 수준이다. 또한 최근 그 공급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아직 관련연구가 미흡하여 이에 대한 보다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세대외부창고의 사용자 개선사항을 분석함으로써 활성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창고를 보유한 서울지역 공동주택 사례를 대상으로 현장조사와 심층인터뷰를 실시하였다. 먼저 유형별 창고의 현황파악을 위해 외부적, 내부적, 환경적 요소를 조사하였다. 또한 활성화 방안을 제안하기 위하여 사용빈도, 만족수준, 불편사항, 개선사항에 관한 심층인터뷰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공간 활성화를 위한 가장 주된 개선사항은 접근성이다. 창고의 위치는 수납물품의 종류에 따라 단위세대 또는 개별주차구역과 가능한 인접하여야 한다. 이 때 창고가 설치되는 잉여공간의 위치를 감안하여 유도등, 사인, 색채계획으로 접근성을 보완할 필요가 있다. 두 번째는 창고의 면적과 구조이다. 면적은 대형물품 보관을 위해 충분한 공간을 확보하되, 다양한 창고 공급 방식을 통해 제한된 공간을 효율적으로 배분하여야 한다. 창고의 구조는 프라이버시 확보를 위해 전면에 막힌 소재를 사용하여야 한다. 세 번째는 적절한 지원프로그램의 제공이다. 집안에서 창고 내부를 확인하는 원격시스템, 가라지 세일, 대형 세탁물 서비스, 셀프 청소 시스템, 임대 프로그램의 제공은 공간의 효율적 유지관리와 활성화를 위해 필요하다. 이 외에도 제습기, 자동 환기 시스템, 개별 조명제어, 보안 강화 등 환경적 요소의 개선도 필요하다. 이러한 개선사항 분석을 토대로 세대외부창고의 활성화를 위한 공간 계획 방향을 제시할 수 있다. 이는 공동주택의 외부 수납공간 계획에 있어 유용한 기초 자료가 될 것이며, 향후 연구에서는 일반화를 위해 더 많은 데이터를 축적함으로써 보완되고 발전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