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학교 방과후 ‘숲활동’ 프로그램 모형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 학부모의 인식 및 요구를 중심으로

        송주은,김은주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2017 교육혁신연구 Vol.27 No.3

        연구목적: 본 연구는 초등학교 방과후 숲활동 프로그램 모형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연구로 학부모의 인식 및 요구를 살펴봄으로써 초등학교 방과후 활동으로서의 숲교육 접목 가능성을 모색해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및 결론: 학부모를 대상으로 인식과 필요도를 살펴본 결과, 전체적으로는 ‘숲활동 프로그램을 들어본 적 있다’가 54.4%로 나타났으며, ‘필요하다’고 응답한 비율이 89.3%로 나타났다. 이를 학부모의 배경변인별로 살펴본 결과, 부모의 학력에 따라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나, 자녀의 학년에 따라서는 1~2학년 학부모가 가장 높은 비율로 숲활동 프로그램에 대해 들어본 적 있었다고 응답하였다. 방과후 숲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세부적인 요구를 파악한 결과, 일일 활동시간은 ‘2시간’을 가장 선호하였으며(48.2%), 반 구성은 ‘저학년, 고학년으로 구성’(36.9%), 희망 지도교사는 ‘숲해설가’(50.6%), 교사 대 아동비율은 ‘5~10명’이 54.2%로 높게 나타났다. 교사의 역할로는 ‘안전관리자’(46.4%), 교육방법은 ‘아동의 관심도에 따른 관찰탐색 위주’(38.0%), 고려사항 및 염려되는 부분은 모두 안전과 관련된 것이었다. 초등학생 학부모들이 방과후 숲활동에 대한 기대가 높고, 특히 숲활동 프로그램을 ‘현재를 행복하게 하는 교육’, ‘미래를 준비하는 교육’으로 바라보며 긍정적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는 점에서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숲교육 확대방안에 대한 계속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본다. Purpose: 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duct a basic research to develop an elementary school after school forest activity program, furthermore provide contents for a new after school program, and activate forest childhood education. Results & Conclusion: In investigating the awareness and needs of parents, the results showed that 54.4% had 'heard of forest activity program', and 89.3% responded that it is 'needed'. When investigating by background variable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parents' education. However parents of students in grades 1 & 2 had the highest ratio of parents that had heard about forest activity program. Next, in identifying the detailed requirements of the after school forest activity program, '2 hours' was considered as most favorable duration for activities in one day (48.2%), class configuration of 'lower, upper grades' (36.9%), preference of 'forest commentator' (50.6%) as leading teacher, for the role of teacher 'safety manager' (46.4%), and 'Observations based navigation in accordance with the interests of the child' (38.0%) as educational method. Like such, all considerations and concerns were associated with safety. Parents that participated in the interview saw forest activity program becoming 'education that makes today happy', and 'education that prepares for the future', and showed their positive expectations.

      • KCI등재

        모자동실군과 모자별실군 질식분만 산모의 피로도 비교

        송주은 여성건강간호학회 2001 여성건강간호학회지 Vol.7 No.3

        This is a cross-sectional descriptive study which compares the level of postpartum women's physical, psychological, neurosensory fatigue between rooming-in and non rooming-in groups. The data were collected by using self-report questionnaire from April 1 to May 31. 2001. Subjects were 68 mothers who opted the rooming-in choice and 98 mothers who did not choose the rooming-in at one hospital in Seoul, Korea. They all had NSVD. The research questionnaire consisted of 36 items on general characteristics and 30 items on postpartum fatigue developed by Pugh (1993). The data were analyzed by using the SPSS 10.0 window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 1. There was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 in general characteristics between rooming-in and non rooming-in groups in prenatal class attendance (x²=3.935, p=0.047), maternal fetal attachment score (t=2.130. p=0.035), husband attendance during the labor and delivery (x²=9.147, p=0.002), breast feeding (x²=12.503, p=0.000), and self feeding time including bottle feeding (t=4.588, p=0.000). 2. There was no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 in the level of total fatigue score between two groups (t=0.282, p=0.780). 3. The physical and neurosensory fatigue scores were slightly higher in rooming-in group (21.63±4.92. 18.53±4.60) than those (20.71 ±5.78, 18.23±5.39) of non rooming-in group. And the psychological fatigue score was slightly higher in non rooming-in group (17.67±4.95) than that (17.04±4.63) of rooming-in group.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 in the level of three sub-dimension fatigues between two groups (t=1.068, p=0.287: t=-0.827, p=0.410: t=0.368, p=0.714). 4. Even after controlling characteristic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there was no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 in the level of fatigue between two groups (F=0.135, p=0.714). According to this study, there was no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 in the level of postpartum fatigue whether they were rooming-in or not. Based on this result, the common notion of rooming-in mothers will be more fatigue than non rooming-in mothers is proved to be false. However, it is necessary to develop appropriate nursing interventions to meet the need of mothers who decide to rooming-in.

      • KCI등재

        분단 시기 동독의 식문화와 특징

        송주은,이재상 평화문제연구소 2019 統一問題硏究 Vol.31 No.2

        It was the division that brought about a new change in the food culture of Germany, which could be divided broadly into the northern style and the southern style. Since East Germany and West Germany were founded separately in 1949, the West influenced West Germany and the Soviet Union greatly influenced East Germany. Food culture has shifted from the north-south to the east-west. The food culture of East Germany was formed by the political variable of division. Food culture has been formed in such a way that it could utilize the given economy and possible food materials, but should contribute to the construction of the socialist state. First, the use of materials available in everyday life was emphasized. East German applied them creatively to existing recipes and tried to contribute to the health of the people while preserving the taste and nostalgia of the past as much as possible. Second, by using as few materials as possible, they developed a food culture that can provide a feeling of fullness and contribute to health. Third, it was emphasized that the practicality of being able to make and eat as quickly and easily as possible making all the adults work to contribute to rapid national reconstruction. Fourth, the East German authorities wanted to produce food at affordable prices in a way that is possible even in difficult economic conditions. Fifth, in order to satisfy the interest of the East German people in the Western foods, the East German authorities east-germanized them and provided them to the residents. Sixth, East Germany wanted to create a new socialist civilization state completely different from the past German history. The East German food culture also tried to have its own character. 크게 북부식과 남부식으로 나눌 수 있었던 독일의 식문화에 새로운 변화를 초래한 것이 분단이었다. 1949년 동독과 서독이 따로 따로 건국한 이후 서독에는 서방이, 동독에는 소련이 큰 영향을 주었다. 식문화가 남북시대에서 동서시대로 전이한 것이다. 동독의 식문화는 분단이라는 정치적 변수에 의해 기본 틀이 형성되었다. 그 속에서 주어진 경제와 가능한 식자재를 활용하되 사회주의국가의 건설에 빨리 기여할 수 있는 방향으로 식문화가 형성되었다. 첫째, 일상에서 가용한 재료를 활용하였다. 이들을 기존 조리법에 창조적으로 적용시켜 가능한 한 과거의 맛과 향수를 살리면서 국민들의 건강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둘째, 가능한 한 적은 재료를 활용하여 포만감을 주고 건강에 기여할 수 있는 식문화를 개발하였다. 셋째, 모든 성인이 일을 하면서 빠른 국가 재건에 기여하기 위하여 가능한 한 손쉽게 빨리 만들어 먹을 수 있는 실용성이 강조되었다. 넷째, 동독당국은 어려운 경제 여건 속에서도 가능한 방법으로 주민들에게 식재료를 생산하여 저렴한 가격으로 공급하고자 했다. 다섯째, 서방 음식에 대한 동독주민들의 관심을 충족시켜주기 위해 이를 동독식화해서 주민들에게 제공하였다. 여섯째, 동독은 과거의 독일 역사와는 완전히 다른 새로운 사회주의 문명국가를 만들고자 하였다. 동독의 식문화도 따라서 독자적인 성격을 가지고자 노력하였다.

      • KCI등재

        이중문화 스트레스 대처능력에 대한 비대면 게슈탈트 미술치료의 효과: 한국-베트남 다문화 아동을 중심으로

        송주은,서은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20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sychological changes that Korean-Vietnamese multicultural children experience through non-face-to-face gestalt art therapy, and whether their ability to cope with bicultural stress is improved. Methods A total of three children participated in the study, children from Korean-Vietnamese multicultural families at the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 Non-face-to-face Gestalt art therapy in this study is based on Zinker's ‘notice-contact cycle’ and consists of a total of 4 stages: the sensory stage, the awareness stage, the energy mobilization/action/contact stage, and the retreat/finish stage. A total of 8 sessions were operated once a week. As an analysis method,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was applied to repeatedly analyze and categorize the stories according to the symbolism of the art work obtained from the recorded images for each session, the observation contents of the activity process, the artwork photos and the supervision data. As a research tool, the PPAT test (Person Picking an Apple from the Tree) was conducted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to measure the ability to cope with bicultural stress. Results Four top topics and eight bottom topics were derived for psychological changes experienced in the non-face-to-face Gestalt art therapy process. The upper categories were “my emotions faced through art work”, “facing with a weakened self”, “encounter with a positive self”, and “my new beginning that has changed”. Participating children went through the process of honestly expressing and accurately recognizing self-emotion through the recognition process of Gestalt art therapy, forming a positive perception of the two cultures and changing their thoughts and attitudes about how to cope with prejudice and discrimination around them. In the PPAT test, there were positive changes in problem-solving ability and coping ability using resources. Conclusion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non-face-to-face Gestalt art therapy is effective in reducing bicultural stress in multicultural children, providing useful information for healthy emotional development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is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application and expansion of non-face-to-face art therapy. 목적 본 연구에서는 한국-베트남 다문화 아동들이 비대면 게슈탈트 미술치료를 통해 어떤 심리적 변화를 겪는지, 그리고 이를 통해이중문화 스트레스에 대한 대처능력이 향상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연구에 참여한 아동들은 총 3명으로 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한국-베트남 다문화 가정의 아동들이었다. 본 연구에서의 비대면게슈탈트 미술치료는 Zinker의 ‘알아차림-접촉 주기’에 기반하여 감각단계, 알아차림단계, 에너지동원/행동/접촉단계, 물러나기/ 마무리단계의 총 4단계로 구성되며, 주 1회씩 총 8회기가 운영되었다. 분석 방법으로는 질적 연구방법을 적용하여 회기 별 녹화된영상에서 얻는 미술작업의 상징에 따른 이야기, 활동과정 관찰내용, 작품사진과 수퍼비전 자료를 반복 분석해 범주화하였다. 연구도구로는 이중문화 스트레스 대처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프로그램 시행 전과 후에 사과나무에서 사과 따는 사람 그림검사(PPAT)를실시하였다. 결과 비대면 게슈탈트 미술치료 과정에서 겪는 심리적 변화에 대해 4개의 상위주제와 8개의 하위주제가 도출되었다. 상위범주들은‘미술작업으로 마주하는 나의 감정’, ‘위축된 자신과 마주함’, ‘긍정적인 자신과의 만남’, ‘달라진 나의 새로운 시작’이었다. 참여 아동들은 게슈탈트 미술치료의 알아차림 과정을 통해 자기감정을 솔직하게 표현하고 정확하게 인식하는 과정을 겪으며 두 문화에 대한긍정적 지각을 형성하고 주위의 편견과 차별에 어떻게 대처할 것인지에 대한 생각과 태도에 변화를 보였다. PPAT 검사에서는 자원을 활용한 문제해결능력 및 대처능력에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다. 결론 본 연구는 비대면 게슈탈트 미술치료가 다문화 아동의 이중문화 스트레스 감소에 효과가 있음을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있으며, 다문화가정 아동의 건강한 정서발달을 위한 접근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 비대면 미술치료의 적용 및 확대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겻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가정어린이집의 생태유아교육 실천경험에 관한 연구: 부산광역시 G구 전환컨설팅 사례를 중심으로

        송주은,김은주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2019 생태유아교육연구 Vol.18 No.4

        This study focuses on stories about the practical experiences of home daycare centers with shared characteristics (catering to infants, occupying small spaces, and having few teaching staff members in the field of Eco Early Childhood Education). Recent research on Eco Early Childhood Education have not focused on this topic. Between June 2017 and April 2018, the present study carried out field observations and interviews with teaching staff at three daycare centers participating in conversion consulting related to Eco Early Childhood Education. Through Eco Early Childhood Educational practice, the research participants engaged in “reviewing home daycare centers,” “rethinking infants’ lives,” and “reviewing the field of early-childhood education with open eyes.” In summary, this study achieved its goal of “viewing something familiar in an unfamiliar way.” Given these findings, this study is expected to help establish a future direction and support system for Eco Early Childhood Education for every type of institution. 본 연구는 생태유아교육과 관련된 연구에서 주목받지 못했던 영아, 작은 공간, 적은 교직원 수의 특성을 지닌 가정어린이집의 생태유아교육 실천경험에 대한 이야기에 귀 기울이는데 목적을 둔다. 2017년 6월부터 2018년 4월까지 생태유아교육 전환컨설팅에 참여한 가정어린이집 보육교직원 3인을 대상으로 현장참관 및 면담을 진행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은 생태유아교육 실천경험을 통해 ‘가정어린이집의 공간과 규모, 다시 보기’, ‘영아의 놀이와 건강한 삶, 다시 생각하기’, ‘깨어있는 눈으로 유아교육 현장, 다시 들여다보기’를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종합해보면 생태유아교육을 통해 그동안 가정어린이집에서 교사로 살면서 ‘익숙한 것 새롭게 보기’의 경험을 하게 된 것으로 정리할 수 있겠다. 이를 바탕으로 가정어린이집의 운영방안으로 생태유아교육이 실천적 함의가 높음을 제안하고, 향후 기관유형별 생태유아교육의 지원체계 및 활성화 방안을 논의하고자 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