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광조건이 마삭줄과 후추등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송은영,김성철,김천환,임찬규,문경환,손인창,문영일,전승종 (사)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13 생물환경조절학회지 Vol.22 No.2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new indoor plants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light intensity onthe growth of Trachelospermum asiaticum var. intermedium Nakai and Piper kauzura. Most of T. asiaticum var. intermedium Nakai under 100 lux light intensity were blighted in two months, whereas survival rate was 83.3% afterfive months under 1,000 lux and 2,500 lux. Plant height, number of leaf, leaf width and leaf length increased as lightintensity increased. The plants maintained under 2,500 lux showed the greatest plant height and leaf number. Piperkadzura Ohwi was defoliated and blighted in four months under 100 lux light intensity, whereas survival rate was100% after five months under 1,000 lux and 2,500 lux. But, 1,000 lux light intensity was more favorable chlorophyllcontents, leaf length and leaf width than 2,500 lux light intensity. Slight increase of chlorophyll contents and leafgrowth under 1,000 lux indicates that Piper kadzura Ohwi could be utilized highly as a indoor ornamental plant. 본 연구는 자생 덩굴식물인 마삭줄과 후추등의 실내광도차에 따른 생육특성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광도 처리조합을 3처리구를 만들어 환경 조절 생육상에서 조사하였다. 사용된 광원은 형광등이고, 광 처리를 각각 100lux,1,000lux, 2,500lux로 달리하여 5개월간 생육특성 변화를조사하였다. 자생 마삭줄은 저광도인 100lux에서 처리 2개월 이후 생존율이 약 16.7%로 식물체 대부분이 고사하였고, 1,000lux 와 2,500lux에서는 처리 5개월까지도 생존율이 83.3%로높게 유지되었다. 실내광도가 높아짐에 따라 초장, 엽수,분지수, 엽장 및 엽폭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고광도인 2,500lux에서 가장 우세한 생육 및 생장을 보였다. 자생 후추등은 저광도인 100lux에서는 처리 4개월 후 생존율이 50%로 생육이 불량하였으나 1,000lux와 2,500lux에서는 처리 5개월까지도 100%의 높은 생존율을 보였다. 1,000lux 조건에서 엽록소 함량이 증가되는 경향을 보였고, 엽장과 엽폭이 약간 넓어지는 경향은 보였다. 상록성 덩굴식물인 자생 마삭줄과 후추등을 실내 광조건을 달리하여 처리한 결과 두 식물 모두 1,000lux 이상의 광조건에서 생육이 양호하였고 특히 후추등의 경우마삭줄에 비해 1,000lux의 낮은 광도에서도 생육이 양호하고 잎이 넓어지고 엽색도 짙은 녹색으로 유지되어 실내식물로서 활용성이 높을 것으로 판단되었으나 광도가지나치게 낮아질 경우 생육이 저조한 것으로 나타나 내음성이 높다고 할지라도 정상적인 생육을 위해서는 적당한 광조건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HLA-DR DNA 검사용 시약 NeoDin SSP™ HLA-DR Typing Kit의 평가

        송은영,박혜진,박명희 대한진단검사의학회 2003 Annals of Laboratory Medicine Vol.23 No.5

        배경 : 국내에서는 HLA-DR DNA 검사법으로 PCR-SSO(sequence specific oligonucleotide) 기법을 이용한 키트가 주로사용되고 있으나, PCR-SSO 방법은 PCR-SSP (sequence spe-cific primer) 방법에 비해 일반적으로 결과 판정에 ambiguity가더 많이 생긴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 국내에서 개발된 PCR-SSP기법을 이용한 NeoDin SSPTM HLA-DR Typing kit를 평가하여 보고하고자 한다.방법 : HLA-DRB1 대립유전자 형별을 알고 있는 총 118검체를 선정하여 NeoDin SSPTM HLA-DR Typing kit로 검사하여두 명의 연구자가 이중맹검 방식으로 결과를 판독하였다.결과 : 총 118예 중 117예(99.2%)에서 정확한 HLA-DR ge-neric level의 형별 판정이 가능하였다. Ambiguity를 보인 1예는DRB1internal control 밴드가 증폭되지 않았으나 정확한 DRB1 형별판정에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다.

      • KCI등재

        소음인(少陰人) 보중익기탕(補中益氣湯)의 기원, 변천과정 및 구성 원리

        송은영,이의주,이준희,고병희,Song, Eun-Young,Lee, Eui-Ju,Lee, Jun-Hee,Koh, Byung-Hee 사상체질의학회 2012 사상체질의학회지 Vol.24 No.1

        1.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origin, changes and composition of Soeumin's Bojungikgi-tang. 2. Methods : 1) Analyzed the context of the progressive transformation of soeumin's Bojungikgi-tang in related passages from "Donguibogam (東醫寶鑑)", "Donguisusebowon Chobongwon (東醫壽世保元 草本卷)", "Donguisusebowon Gabobon (東醫壽世保元 甲午 本)", "Donguisusebowon Sinchukbon (東醫壽世保元 辛丑本)", "Dongmuyugo (東武遺稿)" 2) Examined the differences between the utilization of Soeumin's Bojungikgi-tang in pre-existing manuscripts according to pathological pattern and more specifically at a pathological stage. 3) Analyzed the total primary effect of the herbs as a prescriptive category, as well as the herbal properties of each component. 3. Results and Conclusions : 1) Originally Dongwon's Bojungikgi-tang was prescribed as a stomach & spleen organ tonifying medicine so it was easily applied and established as a prescription appropriate for Soeumin constitutional types with a weaker spleen organ. 2) From Gabobon(甲午本), Soeumin's Bojungikgi-tang was modified, excluding Bupleurum falcatum(柴胡), Cimicifuga heracleifolia (升麻) and substituting Teucrium chamaedrys(藿香), Ophiopogon japonicus(蘇葉) which are herbs appropriate for the Soeumin constitutional type. 3) In the Gabobon(甲午本), the Gegi-tang which has yang raising properties is included in the Soeumin's Bojungikgi-tang. In Sinchukbon(辛丑本), the Gegi-tang of the Soeumin's Bojungikgi-tang in the Gabobon was excluded and the Gegi-tang mutated into Hwangigyeji-tang. 4) In the Gabobon(甲午本), as the Soeumin's Bojungikgi-tang was prescribed for Soeumin disease regardless of favorable-unfavorable patterns and mild-severe patterns, the stage of the disease when to prescribe Soeumin's Bojungikgi-tang was not clarified. 5) As of the Sinchukbon(辛丑本) edition, as Soeumin's prescriptions have been obvious, the soeumin's Bojungikgi-tang was applied to Mang-yang disease with Hwangigyeji-tang and Seungyangikki-tang 6) As of the Sinchukbon(辛丑本) edition, the Soeumin's Bojungikgi-tang has been applied to parients having both exterior-heat Mang-yang disease and Greater-yin disease, at the same time. 7) As of the Sinchukbon(辛丑本) edition, finally, the Soeumin's Bojungikgi-tang formula has been established as gathering Qi and middle tonification with Panax ginseng(人蔘), Astragalus membranaceus(黃?), keeping the spleen healthy with Artractylodes japonica(白朮), keeping the spleen strong with Angelica acutiloba(當歸), rooting the spleen with Citrus reticulata(陳皮), raising Yang and middle jiao with Teucrium chamaedrys(藿香), Ophiopogon japonicus(蘇葉), middle tonification with Glycyrrhiza glabra(甘草灸), Zingiber officinale(生薑), Zizyphus jujuba(大棗).

      • KCI등재
      • KCI등재

        1910년대 잡지에 나타난 장르분화와 언어의식 - 역사·허구의 분리와 근대 소설의 재현 관념을 중심으로

        송은영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2010 石堂論叢 Vol.0 No.48

        It was through the methodology of comparison and contradiction that concepts translations of ‘literature’ and ‘novel’ gave birth to Korean modern literature. This process was performed by the early novelists such as Lee Kwang-soo, Kim Dong-in, Yeom Sang-sub and was accomplished by their dual comparisons of ‘iyaki/novel’ and ‘history/fiction’. They differentiated the characteristics of modern novel with pre-modern narrative style, ‘iyaki’. That included both the objects of seeking for literary contents in comtemporary reality and the ways of representing them like vivid facts. They drew such a word of ‘fact’ from history for expressing a new literary truth that they could think about the dual concept of ‘fact’ and the new epistemological reality of true life. Their idea which was owed to words of ‘fact’ and ‘history’ stemmed from meta-lingual consciousness. Therefore novel became a realistic representation style and became a epistemological frame of looking social reality. 한국 근대 문학을 탄생시킨 ‘문학’과 ‘소설’ 개념의 번역은 ‘비교’와 ‘대조’의 방법론을 통해 이루어졌다. 이광수, 김동인, 염상섭 등 근대 소설을 한국 문학사에 안착시킨 소설가들이 수행한 이 작업은, ‘이야기/소설’의 대립과 ‘역사/소설’의 비교라는 이중적 차원에서 진행되었다. 이광수, 김동인, 염상섭이 근대 이전의 “이야기”들과 차별화시킨 근대 소설의 특성은, 당대 현실의 사상, 감정, 생활에서 제재와 내용을 찾아야 한다는 현실적 ‘대상’의 측면과 그것이 생생한 사실처럼 느껴지도록 재현해야 한다는 사실적 ‘방식’의 측면을 모두 포함했다. 문학에서 현실 반영의 기능과 양식을 중시하는 것은 오늘날 잘 인식되지 않지만 실상 완전히 새로운 발상이었다. 근대 초기 소설가들은 소설이 재현해야 하는 대상을 과거의 ‘역사’에서 유래한 ‘사실’이란 동일한 언어로 사고했지만, 그들이 생각한 ‘사실’이란 근대 초기에 새롭게 구성된 개념으로서 인생의 참된 진상과 진리라는 새로운 인식론적 실재를 가리키는 말이었다. 여기에는 개인의 내면적 능력과 주관성, 개성에 대한 옹호와 신뢰가 깔려 있다. 허구란 참된 사실을 재현하기 위해 예술가의 주관적 능력과 독창적 시각에 의해서만 만들어낼 수 있는 것이라고 보았기 때문이다. 소설을 이해하고 인식하기 위한 두 방향의 실천에서 공통된 대상은 바로 ‘역사’였으며, 이는 ‘사실’ 개념의 중층화를 꾀한 메타언어적 의식의 소산이었다. 소설과 함께 사실효과와 사실적 재현양식이 정착되면서, 소설은 당대 사회의 삶과 현실을 바라보고 구성하는 인식론적 틀이자 개인과 민족이라는 근대적 정체성을 주조하는 양식으로 기능하게 되었다.

      • KCI등재

        해발고도별 기온변화에 따른 극조생 양파의 생육 및 구특성

        송은영,문경환,위승환,오순자 한국농림기상학회 2018 한국농림기상학회지 Vol.20 No.4

        A study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influence of climatic environments on the growth characteristics and bulb quality of extremely early-maturing type onion grown at different altitudes, such as 60m, 200m, 350m and 700m above sea level (ASL). The mean air temperature during the growing season of extremely early-maturing type onion (October 18 to April 27) was 10.8℃, 9.6℃, 8.1℃ and 6.1℃ at 60m, 200m, 350m and 700m ASL. The mean air temperature during the bulb growth period (March 16 to April 14) was recorded 10.5℃, 9.4℃, 7.9℃ and 6.0℃ at 60m, 200m, 350m and 700 m ASL. Plant height, neck diameter, leaf number, leaf area, top fresh weight and top dry weight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growing of extremely early-maturing type onion at 60m ASL. Bulb/neck diameter ratio increased rapidly under the same temperature regime. The diameter and weight of the bulb were also the largest at 60m ASL during the bulb growth period (daily mean temperature of 12.5℃). At 60m ASL, there was the highest bulb size like a height, diameter and weight of bulb related directly on onion yield in the bulb growth period from March 16 to April 14. In contrast, yield and bulb quality were considerably decreased at 700m ASL during the bulb growth stage (daily mean temperature of 8.4℃). The quantity of extremely early-maturing type onion has gradually decreased as the daily average temperature drops below 12.5℃ during the bulb growth stage (March 16 to April 14). As a result, the lower temperature (daily mean temperature below 12.5℃) during the bulb growth stage significantly decreased the size and quantity of bulb in direction proportion. 본 연구는 노지 월동채소인 극조생 양파 ‘싱싱볼’의 생육 기간 중 기온차이가 생육 및 구 비대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고자 해발 60m, 200m, 350m 및 700m 4지점에 설치된 노지 포장에서 수행하였다. 극조생 양파의 생육기간(2016년 10월 18일∼2017년 4월 27일)의 해발고도별 일평균 온도는 각각 10.8℃, 9.6℃, 8.1℃ 및 6.1℃였고, 주 인경비대기인 3월 중순∼4월 중순(3월 16일∼4월 14일)경 해발고도별 일평균 온도는 각각 12.5℃, 11.6℃, 10.2℃, 8.4℃로 조사되었다. 극조생 양파의 생육특성을 조사한 결과, 해발 60m(일평균 10.8℃) 조건에서 초장이 길었고, 엽초경도 두꺼워졌으며, 엽수, 총엽면적, 지상부 생체중 및 지상부 건물중도 증가되었다. 양파의 구 특성을 조사한 결과, 극조생 양파의 주 인경비대기인 3월 중순∼4월 중순(3월 16일∼4월 14일)경 해발 60m(일평균 12.5℃) 조건에서 구 비대가 가장 빠르고 구 크기도 커지는 경향을 보였으나, 그 보다 낮은 온도조건에서는 구 비대가 점점 늦어지고 구 크기도 작아지는 결과를 얻었다. 수량성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인자인 구의 크기(구고, 구경 및 구중)도 이 시기에 생육온도가 가장 높은 해발 60m(일평균 12.5℃)에서 가장 컸으며 생육온도가 낮을수록 역시 유의성 있게 감소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극조생 양파의 주 인경비대기인 3월 중순∼4월 중순경 대기온도가 12.5℃ 이하로 하락할 경우 구 비대성숙이 지연되어 수량도 감소될 것으로 예측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