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전환연구와 탈추격론의 확장

        송위진(Wi-Chin Song)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16 Working Paper Vol.- No.-

        이 글에서는 새롭게 부상하고 있는 전환연구의 관점에서 우리나라 혁신정책 담론 중의 하나인 탈추격론을 재해석하는 작업을 수행했다. 탈추격론의 지향점, 주요 연구 대상, 시스템 혁신에 대한 논의를 전환연구의 관점에서 확장하여 지속가능성, 산업과 사회의 공진화, 전환관리 등의 개념을 탈추격론에 도입했다. 이를 통해 탈추격 혁신과 정책은 기존 시스템의 개선과 최적화가 아니라 탈추격·지속가능 시스템으로의 전환을 지향하고 사회·환경문제의 해결을 수반하는 탈추격 혁신을 진행해야 하며, 탈추격과 지속가능성의 맹아를 담고 있는 니치를 전환의 관점에서 전략적으로 관리해야 한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 KCI등재후보

        脫추격체제에서 부품업체의 기술혁신활동 : 휴대전화 부품업체 사례연구

        송위진(Song Wi-Chin),황혜란(Hwang Hye-Ran) 한국기술혁신학회 2006 기술혁신학회지 Vol.9 No.3

        이 논문은 대기업 조립업체가 혁신선도자로 발전하여 탈추격(post catch-up)단계로 넘어갈 때 그와 결부되어 나타나는 부품업체의 기술혁신 특성 변화를 사례연구를 통해 파악하는 연구이다. 조립 대기업이 선도자로 발전하면 부품의 기능과 품질에 대한 요구도 높아져서, 외국 부품을 국산화하는 수준을 넘어 새로운 개념의 부품을 필요로 하게 된다. 이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부품업체들도 선도자가 되어야 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나타난 부품업체 기술혁신 활동의 특성은, 부품업체임에도 불구하고 시스템 전체의 아키텍처에 대한 지식을 확보하고 부품기술개발을 수행했다는 것, 그리고 이 지식을 기반으로 부품업체와 조립업체들이 수평적인 공동개발을 수행해서 아키텍처 혁신을 이룩했다는 것이다. As technological capabilities have enhanced, the patterns of innovation activities of latecomer firms changed to post catch-up mod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provide conceptual frameworks for post catch-up mode of innovation activities, based on the case study on Korean mobile phone industry. It presents the possibilities of architectural innovation of latecomer firms, which is stimulated by the co-operative innovation activities between component suppliers and users from the initial stage of final product development.

      • KCI등재후보

        사회문제 해결형 혁신과 사회-기술기획

        송위진(Song, Wi Chin),성지은(Seong, Ji Eun) 한국과학기술학회 2013 과학기술학연구 Vol.13 No.2

        과학기술혁신을 통해 사회문제 해결을 지향하는 혁신정책이 부상하고 있다. 이 정책은 기술적 측면과 사회적 측면을 통합적으로 고려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본 연구는 사회문제 해결형 혁신을 위한 ‘사회-기술기획’이라는 새로운 활동의 필요를 제시하고 그것의 특성과 발전방향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국내외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사회-기술기획 활동 사례를 살펴보고 그 성격과 유형을 정리하였다. 그리고 이를 기반으로 사회-기술기획 활동의 발전 방향을 제시했다. Meeting and solving persistent societal problems and challenges through science, technology, and innovation is now an emerging policy agenda in Korea. This socially-oriented innovation needs integrated approach on technological and social innovation. This study aims to suggest the necessity of new process named ‘socio-technical planning’ and propose its characteristics and implications. It deals with some cases of socio-technical planning activity and classifies their characteristics and types. And then, this study suggests the direction of socio-technical planning development.

      • KCI등재
      • KCI등재

        脫추격 단계에서 기술ㆍ경제적 불확실성과 대응

        송위진(Song Wi-Chin),이준석(Lee June-Seok) 한국과학기술학회 2007 과학기술학연구 Vol.7 No.1

        추격형 기술개발과정에서는 개발해야 할 기술이 이미 존재하고 있기 때문에 기술개발의 불확실성은 상대적으로 낮았다. 그 기술이 개발가능하다는 것, 그리고 특정의 설계 방식을 갖추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脫추격 단계에서의 기술혁신은 많은 경우 모방할 대상이 없으며, 또 그 기술이 개발 가능한 것인지도 사전적으로 알기 어렵다. 따라서 脫추격 단계에서 기술혁신을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불확실성에 대한 새로운 접근 방식이 필요하다. 이 글에서는 脫추격 단계에 서 나타나는 기술ㆍ경제적 불확실성 관리의 핵심을 기술적 불확실성에 대한 대응과 정당성 확보라는 요소로 정리하고, 대응방안을 모색하는 개념적 틀을 제시하고자 한다. In the catchup stages of technological development, the technology being pursued was well known. The fact that the technology is developable was known, and the fact that it should observe certain design is also known to developers. Therefore the technological and societal uncertainties have been relatively low. Comparatively, in the post-catchup stages of technological development, it is hard to predict if a certain technology is developable at all. And even though it is developable, in many cases the role models to which developers can refer to do not exist. This creates heavy uncertainties in both technological and societal regime. As a result, we need new strategical approaches to deal with the uncertainties that post-catchup technologies co-create. In this paper, we first define the core strategies of managing the techno-economic uncertainties as following: (1) how to deal with technological uncertainties, (2) how to acquire the justification and robustness of new technology. Then new conceptual frameworks to deal with those factors will be suggested.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사회적 목표 지향적 혁신정책의 특성과 함의

        송위진(Song Wi-Chin) 한국과학기술학회 2008 과학기술학연구 Vol.8 No.1

        이 글에서는 새롭게 등장하고 있는 사회적 목표를 지향하는 혁신정책의 특성들을 살펴보고 그것이 우리의 혁신정책에 주는 함의를 살펴보았다. 우선 이 정책들은 지속가능성과 같은 목표를 제시하고 그것에 경제성장보다 앞서는 우선권을 부여하고 있다. 또 이 정책들은 개별적인 기술개발이나 국지적인 문제해결을 넘어 사회ㆍ기술시스템 전체의 전환(system transition)을 염두에 두고 있다. 그리고 시스템 전환을 위해, 새로운 내용을 갖는 기술과 사회제도를 실험하여 기술적 지식을 확충하고 정당성을 향상시키는 ‘전략적 니치 관리’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장기적이고 근본적인 변화 방향과 구체적이고 국지적인 정책과 사업들을 학습 과정을 통해 연계시키고 있는 것이다. 이와 함께 정책들의 기획 및 집행과정에서 공공적 참여자의 역할을 확대하고 있다. 이런 정책이 우리에게 주는 함의는 2007년에 발표된 “기술기반 삶의 질 향상 종합대책”을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이 대책은 경제성장 중심 혁신정책의 틀을 넘어서는 새로운 정책이었지만 기존 정책들의 관성으로 인해 몇 가지 한계가 있음을 지적하였다. 특히 과거 산업화 과정에서 형성된 타겟팅적 경향 때문에 장기적 관점에서 시스템 전환을 고려하는 관점이 도입되는 데 어려움이 있다는 것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characteristics and implications of the newly emerging socially-oriented innovation policy. The socially-oriented innovation policy has systemic views on the evolution of socio-technical system and innovation policy. It's ultimate goal is the transition toward sustainable socio-technical system and it takes "strategic niche management" approach for the transition policy. The governance structure of the policy is more open to the public actors, such as social service organizations and public institutes. As a case study, "the Technology-based Policy for the Enhancement of Quality of Life", which is the first comprehensive socially-oriented policy of Korea, is examined and it is suggested that the policy has some limitations because of the path dependency of targeting-oriented and catching-up style innovation policy of Korea.

      • KCI등재

        기술집약적 중소기업의 탈추격형 기술혁신 특성 분석

        송위진 ( Wi Chin Song ),황혜란 ( Hye Ran Hwang ) 기술경영경제학회 2009 Journal of Technology Innovation Vol.17 No.1

        본 연구에서는 기술집약형 중소기업의 脫추격형 기술혁신활동 유형과 특성을 살펴보았다. 脫추격형 혁신활동 유형은 기술심화형, 신기술기반형, 아키텍처 혁신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사례연구 결과를 보면, 기술심화형의 경우 모방 기술에 의거한 지속적인 능력축적이 혁신활동의 토대가 되었다. 신기술기반형은 배태조직에서 수행한 기초연구, 아키텍처형은 배태조직에서 획득한 시스템 아키텍처에 대한 지식이 脫추격형 혁신활동의 기반이 되었다. 또 기술심화형의 경우 수요자·공급자 기업, 생산지향형 연구소가 지식획득에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신기술기반형은 대학과 수요자 기업, 아키텍처 혁신형은 수요자 기업과의 관계가 脫추격형 혁신을 추진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또한 脫추격형 기술혁신의 일반적인 특성으로서, 신기술의 등장과 확산이 이루어지는 기술·경제패러다임의 전환기에 열리는 기회의 창을 효과적으로 활용했다는 점을 지적했다. As technological capabilities have enhanced, the patterns of innovation activities of latecomer firms changed to post catch-up mod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post catch-up innovation patterns of technology-intensive small and medium firms of Korea. The innovation patterns can be divided into three types: the technology deepening innovation type, the new technology based innovation type and the architectural innovation type. The characteristics of the technology deepening innovation type are cumulative technological learning and the integration of new generic technology and existing technologies. The characteristics of new technology based type are the acquisition and revelations of new basic knowledges from former incubating organizations such as large firms and universiti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architectural innovation type are the learning of system architecture knowledge from former organization and interactive learning with user firms. These post catch up innovations also have some general characteristics. They effectively exploited the windows of opportunities which are opened in the middle of technological paradigm chan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