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Firestop의 문제점 분석 및 관리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송우승(Song, Woo-Seung),윤명오(Yoon, Myung-Oh) 한국화재소방학회 2010 한국화재소방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10 No.춘계

        화재발생시 방화구획의 실패는 대형화재사고의 주요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는 실정으로, 대규모 화재확산으로 인한 인명 및 재산피해 발생의 직접적인 원인이라 할 수 있다. 하지만, 현행 관계법령의 미비와 관리방안의 부재 등의 이유로 현실적 개선이 미뤄지고 있는 실정이다. 소방방재청에서는 본 연구를 통하여 우리나라의 현행 Firestop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이에 대한 효율적인 관리개선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에 그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 한국형 통합 인명안전코드 법제화 방안에 관한 연구

        송우승(Woo Seung Song),김종욱(Jong Ouk Kim) 한국화재소방학회 2022 한국화재소방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22 No.춘계

        국내 건축환경의 변화와 지속적으로 반복되는 인명피해 사고의 발생에 따라 건축물 인명안전 확보를 위한 법⋅제도적 개선에 대한 사회적 요구가 증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건축물 화재안전과 관련된 건축-소방법제가 마련된 1960년대 이후 각 소관부처별로 이원화되어 있는 현행 국내 화재안전법규는 국내 건축물 화재안전의 주요한 한계로 인식되어 왔으나 현재까지 이를 해소하기 위한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변화가 이뤄지지 못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국제기준에 부합하는 한국형 통합 인명안전코드로의 건축-소방법제의 통합과 실효적인 건축물 화재 인명안전 성능의 확보를 위한 법⋅제도적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한국형 통합 인명안전코드의 주요 내용은 용도분류, 피난시설, 방화시설, 건축물설비 및 소방시설, 내장재 및 수용품에 대한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는 현행의 건축-소방법제에서 각기 다르게 해석되고 적용되는 부분으로 현행 법제하에서도 법규 충돌, 간섭 등이 발생되어 건축물 화재 인명안전 향상의 제한요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이에 실질적인 건축물 화재 인명안전 제고를 위하여 현행 법제도의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소하고 새로운 방식의 건축물 화재 인명안전 성능의 향상을 도모하기 위하여 새로운 방식의 법제도 개선이 요구되고 있으며, 이를 실현할 방법으로 인명안전관련 법제의 통합, 개별법 개정을 통한 공통코드 인용, 민간기준 제정 및 개별법률에서의 위임 등의 방안 등이 제시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상기 방안들에 대하여 다양한 토론 및 논의, 의견수렴, 공론화 등을 통하여 국내 실정에 부합하고 가장 효과적인 건축물 화재 인명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법제화 방안을 추진할 예정이다.

      • 한국형 통합 인명안전코드 현장 적용성 확보에 관한 연구

        송우승(Woo Seung Song),배성준(Sung Jun Bae),고보환(Bo Whan Ko) 한국화재소방학회 2022 한국화재소방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22 No.춘계

        국내 건축환경의 변화 및 화재안전에 대한 기대수준의 향상은 한국형 통합 인명안전코드의 개발 및 적용을 요구하는 수준에 이르렀으며,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제기준에 부합하는 수준의 건축물 화재 인명안전기준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하지만, 현실 건축물 건설현장에의 적응을 위해서는 다양한 현장 의견수렴 및 현장 적용성 확보의 절차가 요구된다. 미국 NFPA 101 Life Safety Code를 기반으로 건축물 환경하 화재 인명안전기준의 한국화를 시도한 한국형 통합 인명안전코드는 주로 재실자의 피난안전에 주목하여 다른 기술요소들의 제한사항을 규정하고자 하였으며, 이는 건축-소방 전분야에 걸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기존 현행 국내 건축물 용도가 아닌 인명안전적 특징을 기반으로 하는 용도분류를 실시하고 이에 따라 피난설비, 방화설비, 건축 및 소방설비, 내장재 및 수용품의 기준을 제시하는 방식은 국내 건축물 설계⋅시공⋅유지관리의 측면에서 큰 변화를 수반한다. 건축-소방법제로 이원화되어 있으며, 건축물의 안전기준이 인명중심이 아닌 재물중심으로 구축되어 있던 기존의 국내 건축물 안전법제와의 근본적 차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현장여건 반영사항의 마련이 요구된다. 이에 건축물 화재안전 관련 산⋅학⋅연⋅관 전문가 및 설계⋅시공⋅감리⋅유지보수 실무자들의 현장의견을 청취하고 한국형 통합 인명안전코드의 세부내용에 관련된 현장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최적의 적용성을 평가하고 세부 기술요소에 대한 수정⋅보완을 실시함으로써 법제화 이후 시행에 있어서의 적용 충격과 혼동을 최소화 할 예정으로 특히, 한국 건축물의 화재안전 특징 및 건설환경의 특수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기존의 건축물과의 급격한 차이점을 완화하고 실효적인 화재 인명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개선방안을 제시할 수 있는 방향으로 현장 적용성을 확보하고자 한다.

      • 한국형 통합 인명안전코드 개발의 의미와 주안점

        권순평(Soon Pyeong Kwon),송우승(Woo Seung Song) 한국화재소방학회 2021 한국화재소방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21 No.추계

        건축환경의 변화와 건설기술의 발전은 초고층 및 대규모 복합 건축물의 확산을 가속화 하고 있으나, 국내 건축물 화재안전 규제의 경우 근본적 변화 또는 혁신이 이뤄지지 못한 상태로 화재사고시 대규모 인명피해가 발생할 우려가 여전히 높은 현실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건축-소방 관계법규의 건축환경 위주의 화재안전 규제체계를 인명안전 중심의 화재안전 규제체계로 전환하기 위한 기술기준의 제정을 목표로 하였으며, 건축-소방 관계법령으로 구분된 현행의 국내 화재안전규제의 통합을 추진코자 하였다. 한국형 통합 인명안전코드 개발의 주안점은 인명안전 중심의 화재안전 규제체계와 건축물 화재안전 성능의 확보에 있으며, 이는 성능위주설계(소방은 2011년 도입, 건축은 현재 추진중)에서 다뤄지는 피난, 건축구조, 소방시설, 내장재 및 수용품 등에 대한 기술기준을 포함한다. 하지만 특정 규모 이상의 대형 건축물에 국한된 성능위주설계와 달리 본 한국형 통합 인명안전코드의 경우 전체 건축물에 적용되는 범용 화재안전 기준으로 계획하고자 하였다. 또한, 건축물의 용도 및 면적에 의하여 결정되는 수용인원에 따라 피난용량을 결정하여 화재상황에서 인명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기능적 성능기준을 제시함으로써 실제 화재상황에서의 인명안전 성능을 제고하고자 하였다. 한국형 통합 인명안전코드는 국제기준에 부합하는 화재안전 기술기준의 확립함과 동시에 국내 건축환경 및 재실자 특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국내 건축물 화재안전 적용성을 확보할 수 있는 과학적⋅실증적 근거를 제시하고자 하였으며, 현행의 건축-소방 관련 법제의 개정 및 상호반영 등을 통하여 인명중심 화재안전에 기반한 규제체계를 확립하고자 하였다.

      • 한국형 통합 인명안전코드의 특징과 법제화 방향

        하태준(Tae Joon Ha),송우승(Woo Seung Song) 한국화재소방학회 2022 한국화재소방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22 No.추계

        도시 건축환경의 변화와 관련 건설기술의 발전에 따라 초고층 및 대규모 복합 건축물의 확산이 가속화되고 있으며 대형 물류창고 및 쇼핑몰 등 기존의 건축-소방 규제를 통하여 충분한 인명안전의 확보가 불가능한 특수 건축물의 건립이 빈번히 이뤄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건축물 화재로 인한 대규모 인명피해가 발생할 우려는 점증되고 있으며 이에 대한 사회적 대책의 강구가 요구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건축-소방 관계법규의 건축환경 위주의 화재안전 규제체계를 인명안전 중심의 화재안전 규제체계로 전환하기 위한 기술기준의 제정을 목표로 하였으며, 건축-소방 관계법령으로 구분된 현행의 국내 화재안전규제의 통합을 추진하고 인명안전 중심의 건축물 화재안전 설계의 기준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한국형 통합 인명안전코드 개발의 주안점은 인명안전 중심의 화재안전 규제체계와 건축물 화재안전 성능의 확보에 있으며, 이는 실제 재난상황에서의 인명안전 성능의 제고를 의미한다. 이를 위하여 건축물의 용도 및 면적에 의하여 결정되는 수용인원에 따라 피난용량을 결정하여 이에 기반한 기능적 화재안전 성능기준을 제시하고자 하였으며, 국제기준에 부합하는 화재안전 기술기준의 확립함과 동시에 국내 건축환경 및 재실자 특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국내 건축물 화재안전 적용성을 확보할 수 있는 과학적⋅실증적 근거를 반영하였다. 한국형 통합 인명안전코드의 법제화를 위해서는 현행의 건축-소방 관련 법제의 전면 개정 및 상호연계 방안의 확보 등의 제도 정비가 요구되며, 이를 위하여 인명안전 중심의 화재안전 규제체계에 대한 컨센서스 확보 및 규제 형식 및 절차에 대한 사회적 합의가 선행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형 통합 인명안전코드의 법제화를 위한 다양한 방안을 도출하였으며, 향후 관련 법제도 개선을 위한 실행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 KCI등재

        열처리 살균 유산균을 이용한 알코올성 간독성 억제 효과

        채효석(Hyo-Seok Chae),조향현(Hyang Hyun Cho),송우승(Woo Seung Song),황권택(Kwontack Hwang)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21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50 No.12

        사균 유산균의 알코올성 급성 간 질환과 알코올성 숙취해소에 대한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조직학적 조사에서 EtOH 처리군 이외에 변화는 없었으나, 간세포에서 지방립의 변화에서 EtOH와 사균 유산균분말 고농도투여군(P< 0.01)에서 유의성을 보였다. 그리고 간모세혈관확장 score에서도 유사하게 양성대조군(P<0.01)과 EtOH와 사균 유산균분말 고농도투여군(P<0.05)에서 유의적인 완화를 보였다. 간 손상의 지표인 AST 활성의 경우 EtOH와 함께 사균 유산균 분말 고농도투여군(P<0.001)에서 유의적인 감소를 보였고, ALT의 활성에서도 EtOH와 함께 사균 유산균 분말고농도투여군(P<0.01)에서 억제시켰다. 한편 염증지표로서 cytokine 발현을 보았는데, IL-1β mRNA 발현이 모든 처리군에서(P<0.001) 매우 유의하게 억제되었지만 IL-6는 사균 유산균군(P<0.05)에서만 억제되었다. EtOH 투여 전후의 EtOH와 acetaldehyde양의 변화에서 EtOH 투여 전후 EtOH 감소 효과가 사균 유산균군에서 감소 효과를 보였다(P<0.001). 한편 ADH와 ALDH 활성은 EtOH 투여와 상관없이 사균 유산균군에서 매우 유의하게 증가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P<0.001). 따라서 사균 유산균이 알코올성 급성간 질환들에 유의한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heat-killed lactic acid bacteria on acute alcoholic liver disease and alcoholic hangover. Histologic analysis exhibited no change except in the ethanol-treated group, but the EtOH+heat-killed Lactobacillus plantarum high dose-treated group (P<0.01) showed a significant change in the fatty granules in hepatocytes. Similarly, the positive control group (P<0.01) and the EtOH+HLPH (heat-killed L. plantarum high dose) group (P<0.05)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hepatic telangiectasis score. Aspartate aminotransferase (AST) and alanine aminotransferase (ALT) activitie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EtOH+HLPH group (P<0.001 and P<0.01 respectively). Inhibition of inflammation was assessed through cytokine expression. IL-1β mRNA expression was significantly inhibited in all treatment groups, but IL-6 was inhibited only in the heat-sterilized lactic acid bacteria group (P<0.05). While measuring the changes in the amount of ethanol and acetaldehyde in the blood before and after ethanol administration, it was observed that the heat-killed lactic acid bacteria group effectively decreased after ethanol administration (P<0.001).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alcohol dehydrogenase (ADH) and acetaldehyde dehydrogenase (ALDH) activitie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heat-killed lactic acid bacteria group (P<0.001). Therefore, it was observed that heat-treated and sterilized lactic acid bacteria like live bacteria had a significant effect on acute alcoholic liver disease.

      • KCI등재

        안전상태정보지도 구축을 위한 건축물 화재 안전상태지수 연구

        함태영(Tae Young Ham),심규철(Kyucheoul Shim),김성환(Sung Hwan Kim),송우승(Woo Seung Song) 한국산학기술학회 2022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3 No.10

        기술의 발전과 경제적 성장을 기반으로 국내 건축환경은 초고층화·대형화·복합화 추세가 지속적으로 진행하고 있으나, 관련 화재예방 규제의 한계 및 화재시 신속대응역량의 한계가 반복적으로 노출됨에 따라 인명안전 확보의 문제가 대두되고 있으며, 이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건축물 화재시 신속한 대응을 위하여 실제 건축물 데이터를 기반으로 공간정보기술을 접목시킨 화재 안전상태 정보지도의 구축이 요구되며, 이는 각 위치정보에 따른 소방활동 융합정보, 건물/SOC 정보, 주변환경정보를 정합하여 구축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수집된 안전상태정보의 안전도 정의 및 안전평가등급 개발을 위하여 안전상태지수를 정의하고자 하였다. 안전 평가등급 구성요소 도출을 위하여 안전평가 기초자료를 조사 및 분석하여 안전 평가등급의 개념을 정의하였으며, 국내·외 안전평가 모델 사례 조사 및 분석을 통하여 구성요소의 적절성을 검토하여 다섯 개의 카테고리(업종위험, 건물 안전성, 소방 설비 시설, 화재위험성, 화재대응상태)에 걸쳐 도출된 총 14개의 평가항목을 도출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본 연구에서는 40인 이상의 전문가 집단 설문조사를 통하여 가중치를 결정하였으며, 안전평가등급 개발을 위한 안전상태지수를 정의하였다. Based on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and economic growth, the domestic architectural environment continues to be high rising, large scale, and complex. But limitations of related fire prevention regulations and quick response capabilities are repeatedly exposed, and the problem of securing safety is an increasing social interest. In order to respond quickly to a building fire, a fire safety state information map that incorporates spatial information technology is required based on actual building data, which can be constructed by matching convergence information on fire-fighting activity, building/SOC information, and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The aim of this paper is to define a safety state index to define the safety level of collected safety state information and to develop a safety evaluation grade. In order to derive the safety evaluation grades components, the concept of the safety evaluation grade was defined by investigating and analyzing basic data, and a total of 14 evaluation items were derived in five categories: industry risk, building stability, fire facility, and fire response status. Based on this, the weight was determined through a group of experts of 40 or more, and a safety state index for the development of safety evaluation grades was defin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