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87 이후 ‘민주화’라는 알리바이, 영화 <서울무지개>라는 결과

        송아름 한국극예술학회 2022 한국극예술연구 Vol.- No.77

        1989년 개봉한 김호선 감독의 <서울무지개>는 민주화 이후 사회비판의식을 담은 작품으로 인식되면서, 그 해 주요 시상식에서 다수의 상을 받으며 흥행 1위에 올라선다. 동명의 원작소설에 전직 대통령의 섹스 스캔들을 가미하여 각색된 이 작품은 선정적이고 자극적이라는 평가에도 불구하고 이를 감수할 수 있는 사회파 영화로 평가받았다. 본 논문은 영화 <서울무지개>가 사회파 영화로 인정받는 과정을 고찰함으로써 민주화 이후 긍정적으로 이행한 듯 보이는 영화계 내 균열을 파악하고, 이를 통해 민주화에 따른 변화의 실상을 비판적으로 바라보고자 한다. <서울무지개>는 통속 소설이었던 원작과 유사한 시나리오에서 수정을 거듭하며 운동권 학생을 통한 민중 의식과 반미, 그리고 전직 대통령에 대한 비판을 강화할 수 있는 폭력적인 설정을 추가하며 당시 사회파 영화들의 대열에 합류한다. 이는 민주화 이후 변화를 증명해야 했던 검열이 현재의 문제를 건드리지 않는 범위 안에서 선택적으로 허용한 결과에 힘입은 것이기도 하다. 감독은 과거와의 비교를 통해 해당 작품의 의미를 강화시켰고, 이를 적극 옹호했던 영화계는 상을 몰아주면서 <서울무지개>는 유사한 작품들과 변별점을 둔 작품으로 떠오를 수 있었다. 이처럼 민주화의 외피를 위해 변화를 보여주어야 한다는 영화계의 선택과 배제로 폭력적인 설정과 장면이 가득한 <서울무지개>는 한 시대를 통찰한 작품으로 자리 잡았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불황, 표절, 공모 : 1970년대 영화 산업과 국가의 관계를 중심으로

        송아름 상허학회 2019 상허학보 Vol.56 No.-

        The recession in the film world in the 1970s was a conclusion and alibi in the film history of the 1970s. In terms of exclusion in film studies as well as the qualitative level of films, the recession of the film world in the 1970s was a major cause that impoverished the film history of the times. Especially, film censorship in the 1970s consolidated its dominating position as a trade-off blocking the growth of film art as it was considered to have played a big role in contributing to the recession. However, from an ‘industrial’ aspect of films, the recession in the 1970s was not a cause but a result. Thus, the view of the film world can also reestablish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tate and the film industry. This is because, at this time, there has been much effort in the film world to overcome the recession at the time, and th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ate censorship could be found, which was conducted within the range in which the production costs already spent could be guaranteed to the maximum. It was remarkable, especially in the area of plagiarism. The awareness of copyright of the times was in line with the issue of choosing the national status in spite of the economic loss, and both the state and the film world would avoid the former by giving up the latter. Like this, the poor awareness of copyright led to plagiarism, and the state accepted these films based on cinematic achievement or for the guarantee of a box office hit although it knew that they were plagiarized during the process of censorship. In other words, it is noted that the film world and the state, which were headed in the same direction, the overcoming of the recession, attempted a proper conspiracy. 1970년대 영화계의 불황은 1970년대 영화사의 결론이자 알리바이였다. 영화의 질적 수준에 있어서나 영화연구에서의 배제에 있어서나 1970년대 영화계의 불황은 그 시대의 영화사를 빈약하게 만드는 데에 중요한 원인이었다. 특히 1970년대의 영화검열은 이 불황에 일조하는 데에 큰 역할을 한 것으로 간주되면서 영화예술의 성장을 막는 반대급부로서의 위치를 공고히 했다. 그러나 영화를 ‘산업’의 측면에서 본다면 1970년대의 불황은 결과가 아닌 원인이 되기에 영화계에 대한 관점도 국가와 영화산업 간의 관계도 재정립 할 수 있다. 이때에 불황을 타개하기 위한 영화계의 수많은 노력뿐만 아니라 이미 지출된 제작비를 최대한 보장할 수 있는 범위에서 이루어졌던 국가검열의 특징이 발견되기 때문이다. 이는 특히 표절의 영역에서 두드러졌다. 당대 저작권에 대한 인식은 경제적 손해를 감수하고라도 국가적 위상을 택할 것인가의 문제와 맞닿아 있는 것이었고, 국가도 영화계도 모두 후자를 포기함으로서 전자를 피하려 했다. 이처럼 미비한 저작권 인식은 표절로 이어졌고, 국가는 검열의 과정 중 표절임을 알았음에도 영화적 성취를 바탕으로 혹은 흥행의 보장을 이유로 이 영화들을 허용한다. 즉, 불황의 타개라는 같은 방향을 향하고 있던 영화계와 국가는 적절한 공모를 꾀했다고 할 수 있다.

      • 외화(外貨) 획득 (가능성)이 만든 ‘트랜스 내셔널’ ‘한국’ 무술영화: 1966∼1973년 사이의 무술영화와 검열

        송아름 한국영화학회 2022 Vol.0 No.94

        이 글은 1966년에서 1973년, 약 6-7년 사이에 등장한 ‘트랜스 내셔널’하면서도‘한국’영화였던 모순적인 형태의 영화들이 외화(外貨) 획득의 가능성을 포착한 검열과 길항하며 등장하였음을 설명하고자 한다. 1960년대 중반을 넘어서면서 한국에 들어오기 시작한 중국풍 무술영화들은 동남아 일대에서 대대적인 흥행을일으키고 있었고, 이와 유사한 영화들은 곧 수출의 가능성으로 이어지는 것이었다. 영화법에 수출입업 등을 위한 미화(美貨) 실적을 명시할 만큼 외화획득에 적극적이었던 당국은 당시 비판일색이었던 이 영화들과 유사한 합작 그리고 국산영화를 허용하며 외화를 벌 수 있는 가능성에 집중했다. 검열은 당대 무술영화에쏟아지던 비판을 의식하면서도 영화의 내용에는 전혀 영향을 끼치지 못할 절차들로 이를 해결하려 하거나, 외화를 들여오는 조건으로 내건 외국인 출연을 승인하면서 서류상으로만 국산영화인 ‘외화 같은’ 영화들을 허가했고, 의도치 않은‘트랜스 내셔널’ ‘한국’영화는 이렇게 한국영화 내에 자리할 수 있었다. 이렇게본다면 검열은 고정된 제도라기보다 다양한 상황들 속에서 끊임없이 승인 논리를 변화시키며 움직이는 유동적인 현상으로 설명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thereby seeks to explain how these films, paradoxically both “transnational” and “Korean,” that appeared within the span of approximately six to seven years between 1966 and 1973, were able to be produced through the “benefits” perceived by the censors. Chinese-style martial arts films, which had entered South Korea after the mid-1960s, were enjoying huge success in Southeast Asia and similar films were able to be made through the possibility of exports. The censors, who were so enthusiastic about procuring foreign capital that they even stipulated a requirement to show records of American dollars earned in order to conduct film imports and exports in the Motion Picture Law, permitted these highly criticized films—both domestic and co-productions—and focused on the possibility of earning foreign capital. Even as the censors recognized the surge of criticism towards martial arts films, they attempted to solve any issues through procedures that were unable to influence the contents of these films and approved films featuring foreign actors which were seen as domestic only in their documents under the condition of verifying the procurement of foreign currency. “Korean” films that unintentionally became “transnational” thus came to find their location within South Korean film. Seen from this perspective, censorship was not a fixed system, but can instead be explained as a flexible phenomenon that endlessly changed their logic of approval and moved from within a diverse array of circumstances.

      • KCI등재
      • KCI등재

        [서평] <국제시장>의 보수성에 답하다

        송아름 한국극예술학회 2017 한국극예술연구 Vol.0 No.56

        김경욱의 『한국 영화는 무엇을 보는가-‘국제시장’에서 생긴 일』은 대부분의 천만 영화를 포함하는 한국형 블록버스터 영화들의 흥행 전략을 살피고, 이를 바탕으로 2014년 말 개봉하여 다음 해까지 사회적 이슈가 되었던 영화 <국제시장>을 꼼꼼히 분석한 책이다. 저자는 하이콘셉트에 기대고 있는 한국형 블록버스터 영화들이 비슷비슷해지고 있으며, <국제시장>에 깔려 있는 감정의 추동력 역시 같은 선상에 있는 것으로 본다. 이러한 하이콘셉트에 기대고 있는 <국제시장>이 선택하고 가공한 역사들은 주인공의 무모한 희생과 극복에 기대어 고통스러웠던 기억들은 철저히 지우고, 지배세력의 공식기억을 강화하는 방식으로 기울어져 있다. 저자는 이처럼 <국제시장>이 다분히 승자들만의 역사관으로 채워져 있다는 점을 들어 한국현대사를 바라보는 <국제시장>의 관점을 비판한다. 즉 저자는 <국제시장>이 지닌 위험성을 분석함으로써 현재의 한국 영화가 나아가고 있는 방향에 대한 우려를 표한다. 이 책은 저자가 전작에서부터 진행시켜온 논의가 일정부분 반복된다는 아쉬움을 남기지만, 감정적 설전이 먼저였던 <국제시장>에 대해 구체적인 분석을 내놓았다는 의의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