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0대 청소년의 주이용 뉴스 미디어 군집 유형에 따른 분별적 뉴스 이용의 차이

        송미리 한국청소년학회 2020 청소년학연구 Vol.27 No.1

        This study was intended to categorize mainly used news media for teenagers and examine the differences in sensible news use. Therefore, the research was conducted using the Korea Press Foundation's "2016 teenagers media usage survey” data. First of all, to identify the clusters of mainly used news media among teenagers, news media usage frequency data of 2,291 respondents were used to conduct a K-means cluster analysis. As a result, the teenager’s news-use clusters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newspaper high-user(4.32%, group1), new media news high-user(19.29%, group2), TV news high-user(15.63%, group3), and entire news under-user(60.76%, group4). Next, the non-parametric one-way ANOVA, Kruskal-Wallis test, was conducted among 1,803 teenagers who use news more than once a week to see if there are differences in sensible news use among four groups. As a result, the level of sensible news use of teenagers belonging to group1 and group2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group3 and group4. Based on these findings, I looked at the implications in terms of news literacy education to make it more selective and critical to read the news, considering what teenager’s mainly used news media are.

      • KCI등재

        탐색적·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한 시민 미디어 리터러시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송미리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22 사회과교육 Vol.61 No.3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re-conceptualize and embody media literacy mentioned as an essential competency for citizens in the modern society as “civic media literacy” and then develop it on a scale. Civic media literacy is the ability to use media with interest in civic intentionality and democratic principles. It is a concept that takes into account five factors: caring, critical consciousness, imagination, persistence, and emancipation. This can be said to be a qualitatively higher form of media literacy that citizens who are members of our society should have. It is a competency in social studies education aimed at fostering citizen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develop the concept of “civic media literacy” as a quantitative measure so that media literacy education studies conducted from the perspective of civic education not only can propose a class model, but also can verify its effectiveness. Therefore, in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on 661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to develop a civic media literacy scale. The first developed civic media literacy scale consisted of 40 items, including 13 items of “access and select”, 14 items of “analysis and evaluation”, and 13 items of “expression and communication”. As a result of exploratory factor analysis, the two-factor structure of “exclusion of harmful media (4 items)” and “selecting good media (5 items)” in “access and selection”, the two-factor structure of “data and information analysis (3 items)” and “deliberation about implication(4 items)” in “analysis and evaluate”, and the three-factor structure of “selfreflection (3 items)”, “social responsibility (2 items)”, and “public participation (6 items) in “expression and communication” were derived.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construct validity by conducting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on 27 derived questions, it was appropriate. However, in terms of convergent validity, improvement was required for the factor of “social responsibility” with a small number of questions (2 items), although the discriminant validity was found to be appropriate. The “civic media literacy” scale derived from results shown above is significant in that it can be used in future studie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media literacy education and studies to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civic media literacy and various variables. 본 연구는 현대 사회에서 시민이 갖추어야 하는 필수적인 역량으로 언급되는 미디어 리터러시를 “시민미디어 리터러시”로 재개념화하고 구체화한 후, 척도를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시민 미디어 리터러시는 시민적 의도성과 민주적 원칙에 관심을 가지고 미디어를 이용할 수 있는 능력으로, 우리 사회의 구성원인 시민으로서 갖추어야 할 질적으로 더 고양된 형태의 미디어 리터러시라고 할 수 있으며, 시민 양성을 목적으로 하는 사회과교육에서 관심을 가져야 하는 역량이다. 또한, “시민 미디어 리터러시” 개념을 양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척도로 개발하여, 시민교육의 관점에서 이루어지는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연구들이 수업 모형을제안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그 효과를 검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서울과 경기지역의 중·고등학생 661명을 대상으로 시민 미디어 리터러시 척도 개발을 위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최초로 개발된 시민 미디어 리터러시 척도는 총 40개 문항으로 “접근 및 선택” 13개 문항, “분석 및 평가” 14개문항, “표현 및 소통” 13개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접근 및 선택”에서 유해 미디어 배척(4개 문항)과 양질의 미디어 선택(5개 문항)의 2요인 구조, “분석 및 평가”에서 자료 및 정보 분석(3개 문항)과 의미 숙고(4개 문항)의 2요인 구조, “표현 및 소통”에서 자기 성찰(3개 문항), 사회적 책임(2개문항), 공적 참여(6개 문항)의 3요인 구조를 도출하였다. 도출된 27개 설문 문항에 대해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구인 타당도를 검증한 결과 적절하였으며, 집중타당도에서는 문항 수가 적은 사회적 책임(2개 문항) 요인에 있어서 개선이 요구되었지만 판별타당도는 적절하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도출한 “시민 미디어리터러시” 척도는 향후,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효과를 검증하는 연구, 시민 미디어 리터러시와 다양한 변인들 사이의 관계를 검증하는 연구 등에 활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 KCI등재

        MBTI 검사결과 유형과 최적유형 비교 연구: 온라인 플랫폼을 중심으로

        송미리,최윤희,김명준,김영재 한국심리유형학회 2023 심리유형과 인간발달 Vol.24 No.2

        This study aimed to compare the reported type and best-fit type of MBTI results among users in their 20s and 30s who have undergone MBTI on an online platform and identified their best-fit type. For this, a total of 2,664 individuals belonging to the age groups were analyzed from January 2022 to February 2023. The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73.6% of the participants had all four preference indicators of the reported type and the best-fit type aligned. The types with the highest percentage of agreement were INFJ, ENFJ, and INTP, whereas those with the lowest percentage of agreement were ESTJ, ENFP, and ISTJ. Additionally, the percentage of agreement by indicator were in the order of E-I, J-P, T-F, and S-N, which implied that the tendency to change functional indicators was higher than that of attitudinal indicators. The rate of indicator change was notably higher for those whose preference clarity fell under ‘Slight’ compared to those under ‘Very Clear.’ This research holds significance as it is the first domestic study to examine the process of finding the best-fit type through an online platform targeting men and women in their 20s and 30s with a high interest in MBTI. It demonstrates that the online platform serves as an effective assessment tool for the best-fit type searching. Lastly,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suggestions for subsequent research were included in the discussion

      • KCI등재

        착한 거짓말과 나쁜 참말? 5-6세 아동의 상황에 따른 거짓말과 참말 이해

        송미리,송현주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014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Vol.27 No.1

        본 연구에서는 5-6세 아동이 거짓말 및 참말에 대해 도덕적 평가를 내리고 화자의 정서를 추론할 때 상황적 요인을 고려할 수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참가 아동은 주인공이 규범을 위반한 상황(친구의 크레파스를 몰래 가져간 상황 등)이나 예의가 요구되는 상황(선물이 마음에 들지 않는 상황 등)에서 거짓말 혹은 참말을 하는 이야기를 듣고 질문에 대답하였다. 도덕적 평가의 경우 아동들은 규범 위반 상황보다 예의 요구 상황에서 거짓말을 한 화자를 더 긍정적으로 평가하였고, 아동의 부모들도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정서 추론의 경우 아동들은 화자가 거짓말을 했을 때, 부모들은 화자가 참말을 했을 때 더 긍정적인 정서를 느낄 것이라 하였다. 또한 아동은 예의 요구 상황보다 규범 위반 상황에서 참말을 한 경우에 화자가 더 긍정적인 정서를 느낄 것이라고 하였으며, 부모의 경우 규범 위반 상황보다 예의 요구 상황에서 거짓말을 했을 때 더 긍정적인 정서를 느낄 것이라고 보고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5-6세 아동이 선의의 거짓말과 일반적인 거짓말의 차이를 이해하며, 도덕적 평가 역시 상황적 요인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이해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The current study investigated whether 5-6-year-old Korean children consider situational factors when comprehending a protagonist’s lie- and truth-telling. The participants answered a series of questions after listening to stories in which the protagonist lied or told the truth during a transgression (e.g., stealing a friend’s crayon) or a polite interaction (e.g., receiving a disappointing gift). Children more positively evaluated lying in the politeness contexts than in the transgression contexts. They also attributed more positive emotions to the protagonists who told the truth in the transgression contexts than those who told the truth in the politeness contexts. The results demonstrate that preschoolers understand that the moral value and emotional consequences of lying and truth-telling can be affected by contextual factors.

      • KCI등재

        청소년의 시민 미디어 리터러시가 정파적 가짜뉴스에 대한 판단 행동에 미치는 영향

        송미리 한국사회과교육학회 2024 시민교육연구 Vol.56 No.1

        This study was performed to confirm the effect of adolescent’s civic media literacy on the judgment behavior in the context of partisan fake news. For the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students from the first year of middle school to the third year of high school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and 1,344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Research was divided into two parts. First, the impact on the judgment behavior in the context of partisan fake news by civic media literacy sub-competencies was examined, and second, after confirming the type of civic media literacy of adolescents, the difference in the judgment behavior in the context of partisan fake news by types was confirmed.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mong the sub-competencies of civic media literacy, the ability to exclude harmful media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judgment behavior regarding partisan fake news, while public participation had a negative effect. Second, the types of civic media literacy of adolescent are ‘average type(group 1)’, ‘active participation type(group 2)’, ‘risk coping type(group 3)’, ‘risk-vulnerable type(group 4)’, and ‘critically excluding participation type(group 5)’ and ‘self-centered participation type(group 6)’. Third, as a result of verifying differences in the judgment behavior in the context of partisan fake news by types of civic media literacy of adolescent, the critically excluding participation type(group 5) was better than the average type(group 1), the active participation type(group 2), the risk-vulnerable type(group 4), and the self-centered participation type(group 6). These research findings lead to the following implications. First, a specific educational discussion should be held to address the issue of partisan fake news, focusing on building competencies to exclude harmful media. Second, it is necessary to consider ‘public participation’, a competency recommended in civic education, when using media. Third, customized education should be provid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adolescent’s civic media literacy.

      • KCI등재

        거짓말과 참말 이해에 대한 상황적 요인의 영향: 4세 아동의 자료

        송미리,송현주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014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Vol.27 No.2

        The current study investigated whether 4-year-old Korean children consider situational factors when comprehending a protagonist’s lie- and truth-telling. Participants answered a series of questions after listening to stories in which the protagonist lied or told the truth during a transgression (e.g., not brushing his/her teeth) or a polite interaction (e.g., thinking his/her friend’s new shoes look awful). Children more positively evaluated lying during a politeness context than during a transgression context. Children also evaluated lying more positively than truth-telling during the politeness context. However, children attributed more positive emotions to protagonists who lied than to those who told the truth, regardless of context. In addition, there seemed to be gender differences in the development of moral evaluation and emotion inference at the age of 4. The results demonstrate that preschoolers understand the influence of contextual factors when evaluating moral value of lying and truth telling but not when inferring a protagonist’s emotions after lying or truth telling. 본 연구에서는 4세 아동이 상황에 따라 거짓말 또는 참말을 한 화자에 대한 도덕적 평가를 다르게 하고, 화자의 정서 역시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이해하는지 보고자 하였다. 아동들은 주인공이 규범을 위반한 상황(이를 닦지 않은 상황 등)이나 예의가 요구되는 상황(친구의 새 운동화가 멋있지 않다고 생각한 상황 등)에서 상대에게 거짓말을 하거나 참말을 하는 이야기를 들은 후 화자의 도덕성을 평가하고, 화자의 정서적 경험에 대하여 추론하였다. 실험 결과 아동들은 규범 위반 상황보다 예의 요구 상황에서 거짓말을 한 화자를 더 착하다고 평가하였다. 예의 요구 상황에서는 참말을 한 경우보다 거짓말을 한 경우를 더 착하다고 평가하였다. 정서 추론에서는 주인공 진술의 진위 여부만 유의미한 영향을 보여, 화자가 참말을 했을 때보다 거짓말을 했을 때 더 기분이 좋을 것이라고 하였다. 또한 5-6세와 달리 4세의 경우 도덕적 평가 능력이 성별로 다르게 발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4세 아동도 더 연령이 높은 아동이나 성인과 유사하게 상황적 요인에 따라 참말과 거짓말이 지니는 도덕적 가치가 달라질 수 있음을 이해하지만, 정서적 결과에 상황이 미치는 영향의 이해는 미숙함을 보였다.

      • KCI등재후보

        Induction of ROS, p38 MAP Kinase and Apoptosis via Pulmonary Toxic Drugs

        송미,김연정,류재천 한국바이오칩학회 2009 BioChip Journal Vol.3 No.4

        Some drugs may be limited in their clinical application due to their propensity towards their adverse effects. Among these drugs, some clinical chemotherapeutic agents with pulmonary toxic effects were subjected in this study. Moreover, a new paradigm in toxicity screening, toxicogenomic technology represents a useful approach for evaluating the toxic properties of new drug candidates early in the drug discovery process. In this respect, we identified functional mechanisms through analysis of biological process for gene alteration in BEAS-2B cells, human bronchial epithelial cell line, exposed to four drugsmethotrexate (MTX), nitrofurantoin (NF), amiodarone (AM), and carbamazepine (CBZ)-induced pulmonary toxicity, by using human oligonucleotide chip. In this study, we confirmed that pulmonary toxicity-related common mechanisms were apoptosis, cell cycle process, cell development and cell differentiation. Out of common functions, we showed that the treatment with MTX, NF, AM and CBZ resulted in the induction of apoptosis, the increase of ROS generation and the activation of p38 MAPK. Thus, we provide a clue for pulmonary toxic mechanism of these chemotherapeutic agents.

      • KCI등재후보

        달크로즈(Dalcroze) 교수법의 ‘신체 리듬’에 관한 연구 -중국 전통 미학적 시각에 따른 새로운 해석-

        宋薇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문화예술콘텐츠연구소 2020 문화와예술연구 Vol.16 No.-

        달크로즈 신체 리듬 교수법은 전통적인 교탁 의자 교수법을 뒤집고, 신체 리듬 방식으로 음악 교수법을 재구성하고, 음악 예술의 특성과 음악 학습의 법칙에 부합하는 교수 경로를 탐구 하였다. ‘동(動[움직임])’을 주제로, 신체 리듬 음악 교육의 기 본 문제, 즉 신체 리듬이 무엇인지, 왜 움직이는지, 어떻게 움 직이는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동시에 중국 전통 미학의 관점에 서 신체 리듬 교육 방법에 대한 새로운 해석을 수행하였다. 신체 리듬 교육을 ‘심신합일(心身合一)’ 및 ‘기운생동(氣韻生 動)’의 측면에서 이해하여 향후 중국에서 신체 리듬 교육의 현 지화에 대한 가능성을 기대해 보고자 한다. Dalcroze’s body rhythm teaching method subverts the traditional teaching model of desks and chairs by reconstructing music teaching, which not only according with musical art characteristics but also the teaching of music learning rules. The theme of this article is ‘movement’, exploring the basic problems of body rhythm music teaching method, that is, what is body rhythm, why and how to move? This paper gives a new interpretation of the teaching method of posture rhythm from the perspective of traditional Chinese aesthetics. The future localization of posture rhythm teaching in China is prospected by understanding posture rhythm teaching from aspect of unity of body and mind, rhythmic vitality and so on.

      • KCI등재

        크로노토프를 활용한 <강호사시가>와 <전원사시가>의 비교

        송미,고정희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022 고전문학과 교육 Vol.49 No.-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compare the literary time-space of “Kangho-sasiga” and “Jeonwon-sasiga” using a “micro-chronotope” presented by Joy Ladin, who embodied Bakhtin’s chronotope as an analysis tool, and to derive educational implications for “Kangho-sijo” and "Jeonga-sijo." A "micro-chronotope" generated by centrifugal chronotopic energy from language units smaller than sentences helps analyze lyric poetry; it is relatively shorter than narrative prose. "Micro-chronotopes" are synthesized into literary time-space by centripetal syntactic energy, and it is related to the worldview of the text. “Kangho-sasiga” and “Jeonwon-sasiga” share a common feature in adopting the “sasiga” genre, which pursues human-nature unity and eternity. However, their “micro-chronotopes” exhibited contrasting patterns. While “Kangho-sasiga” revealed an optimistic and ideological time-space in harmony with the generic pursuit, “Jeonwon-sasiga” depicts a more realistic time-space disclosing the discordance between nature and humans, which conflicts with it. In addition, the last two poems of “Jeonwon-sasiga” emphasize the problem of death and maximize preceding discordance. This analysis suggests that reading poetry at the microscopic level can spontaneously lead learners to understand the worldview reflected in the works. 이 글은 바흐친(Bakhtin)의 크로노토프 이론을 서정시 장르에 적용한 라딘(Ladin)의 마이크로 크로노토프 이론을 기반으로 하여 <강호사시가>와 <전원사시가>의 문학적 시공간을 비교하고, 이로부터 강호 시조와 전가 시조 교육에의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마이크로 크로노토프는 문장보다 작은 단위의 언어적 요소들이 갖는 시공간적인 암시로, 마이크로 크로노토프들은 통사(syntax)에 의해 누적되며 작품의 시공간을 구축한다. <강호사시가>와 <전원사시가>는 사시의 영원한 순환 의식을 바탕으로 하는 사시가 장르를 차용하였다는 점에서 공통점을 지니고 있다. 그러나 <강호사시가>는 사시가 장르와 조화를 이루는 천인합일의 마이크로 크로노토프를 사용하여 낙관적이고 이념적인 세계관을 드러내는 반면, <전원사시가>는 사시가와 이질적인 자연과 인간의 불일치를 나타내는 마이크로 크로노토프를 개입시킴으로써 전대의 도학적인 자연과는 구분되는 현실적인 시공간을 그려 낸다. 또한 <전원사시가>의 제석의 시간은 인간 화자의 죽음의 문제를 강조함으로써 앞서 사시에 나타났던 자연과 인간의 불일치를 극대화하는 시적 장치가 된다. 이러한 마이크로 크로노토프 분석은 학습자들이 작품을 미시적인 층위로부터 읽어 나가는 것이 작품에 반영된 세계관을 이해하는 것으로 자연스럽게 이어질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교육적 시사점이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