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이중구조를 가진 비공기압바퀴의 구조해석에 관한 연구

        송기환,이상훈,손창우,서형진,서태일,유화열,박성학,김경훈,Song, Gi-Hwan,Lee, Sang-Hun,Son, Chang-Woo,Seo, Hyoung-Jin,Seo, Tae-Il,Yoo, Wha-Wul,Park, Sung-Hak,Park, Kyung-Hoon 한국금형공학회 2015 한국금형공학회지 Vol.9 No.3

        Non-pneumatic wheels have been widely used instead of general tube type wheels beause of many reasons, for example, wheel size, price restriction, heavy-duty problem and so on. Almost small size wheels or casters were non-pneumatic type but structural stability was not certified. This paper presents a double structured non-pneumatic wheel, called "smart caster", which consisted with inner and outer wheels connected by chips, and finite element analysis processes were conducted in order to determine important dwsign factors before actual design for mass production. For structural analysis ABAQUS was used under various boundary conditions with incrementally varied loads until 2,000N. Then structural staility was evaluated according to varied loads below ultimate stress. Generally stresses were concentrated at the lower parts of the wheel, and especially contact parts between wheel and ground. In addition, maximum stress appeared at contact parts between the wheel lower part and chips.

      • SCIESCOPUSKCI등재
      • SCIESCOPUSKCI등재
      • SCIESCOPUSKCI등재
      • KCI등재

        함정 구조물에 의한 탐색 레이다 신호 왜곡 현상 분석 및 대책

        송기환(Ki-Hwan Song) 한국전자파학회 2009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Vol.20 No.7

        본 논문에서는 함정에 탑재된 탐색 레이다의 신호 왜곡 현상에 대한 분석 및 대책에 대해 소개한다. ShipEDF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탐색 레이다의 주 안테나와 함정 구조물을 전자기학적으로 모델링하고, 광선 추적 기법을 이용하여 탐색 레이다의 자유공간 및 함정 탑재 상태에서의 복사 패턴을 분석한다. 분석된 복사 패턴을 통해 탐색 레이다의 신호 왜곡 현상이 마스트의 전자파 반사로 인한 복사 패턴 왜곡에 의한 것임을 알 수 있었고, 이에 대한 대책 수립을 위해 탐색 레이다에 의한 마스트 표면 전류 분포를 분석한다. In this paper, we introduce the analysis and counter-measure of signal distortion of search radar equipped on the ship. Using ShipEDF program, the search radar's main antenna and ship structures are modeled in the view of electromagnetism. Ray tracing method is used for analysis of the search radar's radiation patterns in free space and ship condition. From analyzed radiation patterns, we can conclude that the search radar's signal distortion is due to radiation pattern distortion. We also analyze the surface current distribution of the mast to propose the counter-measure to reduce electro-magnetic field reflection of mast.

      • SCIESCOPUSKCI등재
      • 제3분과 : 하천 및 도시 녹지 ; 옥상습지의 탄소흐름 시뮬레이션 모형 구축을 위한 기초연구

        송기환 ( Ki Hwan Song ),유수진 ( Soo Jin You ),전진형 ( Jin Hyung Chon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5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지 Vol.2015 No.1

        현대사회는 기후변화, 지구 온난화, 생물다양성 감소 등의 환경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환으로 저탄소사회의 구현을 지향하고 있으며, 이를 실현시킬 수 있는 저탄소도시가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등장하게 되었다(Lee, 2005; Lee,2012). 저탄소도시는 도시내 탄소 배출량을 감소시키는 것을 목표로 자원순환, 탄소흡수원 확충, 신재생에너지, 자연재난예방, 기후계획 등의 다양한 대안을 제시하고 있다(Koh et al., 2011). 특히 도시내 생태조경공간은 탄소흡수원으로서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으며, 이러한 관점에서 탄소배출을 최소화하여 저탄소사회를 실현가능하게 하는 요소로 이루어진 저탄소경관의 개념이 등장하게 되었다. 저탄소경관이란 기존 경관의 형성과 관련된 구성자원 중기후변화, 특히 온실가스인 탄소에 초점을 둔 개념으로(You et al., 2015), 저탄소경관을 창출하기 위해서는 생태조경공간 내 시설, 재료, 식재의 탄소흡수와 배출에 대한 복합적인 관계를 시간변화에 따라 동태적으로 파악해야 할필요가 있다. 옥상습지는 녹지가 부족한 도시에서 탄소를 저감시킬 수 있는 식생, 토양, 습지 등의 요소들로 이루어져(Lee et al., 2013) 저탄소경관을 창출할 수 있는 공간으로 기대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생태조경공간의 탄소흐름 변화에 대한 시뮬레이션 모형을 구축하기 위해, 저탄소경관 구성자원인 시설, 재료, 식재를 활용하여 옥상습지 내 탄소흐름구조를 모형화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탄소의 흐름에 대한 구조와 시뮬레이션모형의 구축을 위해, 탄소흐름현상에 대한 인과순환적 분석과 시간의 흐름에 따른 시스템의 동태적인 분석이 가능한시스템 다이내믹스(System Dynamics) 이론을 적용하였다 (Williams and Richard, 2010). 본 연구의 절차는 3단계에 걸쳐 이루어졌으며 시뮬레이션 모형을 구축하기 위한 기초연구를 수행하였다. 첫째, 옥상습지의 시설, 재료, 식재에 따른 탄소흐름구조를 파악하고 시뮬레이션 모형에 활용될 식과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둘째, 시뮬레이션 모형에 사용될 변수 유형을 저량변수(Stock variable), 유량변수(Flowvariable), 보조변수(Converter)로 구분하고 수집한 식과 데이터를 변수의 유형에 맞춰 분류하였다. 셋째, 분류한 변수를 바탕으로 전체적인 탄소의 흐름을 모형화하였다. 연구의 공간적 범위는 주변의 낮은 녹지율로 인한 생태네트워크의 단절과 지역주민들이 이용 가능한 야외녹지 시설의 부족으로 인해 2008년 준공된 서울시 강남구청 본관의 옥상습지로 한정하였다. 강남구청 옥상의 녹지면적(1,477m2)은 전체 옥상의 면적(1,799.3m2)중 80% 이상의 공간에 조성되었으며 옥상습지 내부에는 안내판, 파고라, 벤치, 조명등과 같은 시설과 습지, 데크, 토양, 잔디와 같은 재료로 구성되어있으며 교목, 관목, 초본류 등 다양한 수목이 식재되어 있어탄소흐름의 시스템 구조를 파악하기 위한 대상지로서 적합하다. 연구의 내용적 범위는 옥상습지를 중심으로 하여 일어나는 탄소의 흐름으로 한정하였다. 먼저 옥상습지의 시설, 재료, 식재에 따라 시뮬레이션 모형에 활용될 식과 데이터를 수집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같다. 저탄소경관의 구성자원 중 시설에 해당하는 건물에서 탄소를 배출하는 요소는 전력, 수도, 가스 등으로 나타났으며, 강남구청에서 실제로 구축된 전력, 수도, 가스 사용량에 대한 자료와 2006 IPCC 가이드라인(이하 2006 IPCC G/L)을 기준으로 사용량과 탄소배출계수를 이용하여 탄소배출량을 산정하였다(Ahn et al., 2012). 또한 저탄소경관의 구성자원 중 재료에 해당하는 토양에서 탄소를 흡수하고 저장하는 요소는 토양 자체로 나타났으며 토양의 탄소저장량도 건물에서의 탄소배출량과 마찬가지로 2006 IPCC G/L에 의거하여 토지이용, 관리체계, 유기물 투입에 대한 계수들과 각 지목의 면적을 곱하여 산정하였다(Hwang et al.,2014). 마지막으로 강남구청 옥상습지의 식재는 소나무, 황금측백 등의 상록교목과 산수유, 자작나무, 청단풍, 홍단풍등의 낙엽교목, 눈향나무, 영산홍, 회양목 등의 상록관목과 등나무, 병꽃나무, 백당나무, 산수국, 조팝나무, 황매화 등의 낙엽관목 등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식재의 탄소 흡수와 배출에 관한 식은 기존 교목과 관목류의 수목들을 토대로 임목축적을 기초로 하거나 상대성장식을 활용하는 방법, 흉고직경 또는 근원직경을 이용하여 다양하게 탄소저장량이나 흡수량을 산정하는 방법이 있지만, 본 연구에서는 수목의 흉고직경, 근원직경 및 개체수를 이용하여 수목의 탄소흡수량과 저장량을 산정하였다(Park, 2009; Hwang and Park,2011). 이후 탄소흐름의 식과 계수를 추정하여 시뮬레이션모형을 구축하기 위해 시설, 재료, 식재의 변수들을 저량변수(Stock variable), 유량변수(Flow variable), 보조변수(Converter)로 구분하였다. 대기 중의 탄소량과 토양에 저장되는 탄소량, 그리고 식물이 저장하는 탄소량은 물리적으로 축적이 계속 이루어지므로 저량변수(Stock variable)로 설정하였으며, 건물에서 배출되는 탄소량과 토양과 식생이 흡수하거나 저장하는 탄소량의 변화는 물리적인 축적이 일어나게 하는 흐름이므로 유량변수(Flow variable)로 설정하였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흐름변수를 결정짓는 계수나 상수등의 값들은 보조변수(Converter)로 설정하였다. 이를 통해 강남구청 옥상습지의 시설, 재료, 식재의 탄소흐름 관계 파악을 위한 변수들 간의 관계를 통합하여 옥상습지 전체의 탄소흐름을 모형화하였다. 본 연구는 생태조경공간인 강남구청 본관 옥상습지에서 저탄소경관 구성자원인 시설, 재료, 식재의 탄소흐름과 그변수에 투입될 식 또는 계수를 탐색하여 탄소흐름 시뮬레이션 모형 구축을 위한 기초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옥상습지 시설의 탄소 배출량에 대한 산정식을 파악하였고 재료에 해당하는 토양의 탄소 흡수량 및 저장량과 옥상습지식생의 탄소 흡수량과 저장량을 산정하였다. 아울러 시설,재료, 식재와 같은 단일 구성자원들 간의 관계를 하나의 모델로 통합하여 시간에 따른 변화 양상에 대한 모형을 구축하기 위한 기초연구를 진행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향후,본 연구에서 구축한 기초모델에 대한 타당성 검토를 통해 탄소의 흐름이나 패턴, 변화가 모델에서 적절하게 구현되었는지에 대한 검증작업을 수행할 예정이다. 궁극적으로는 옥상습지의 탄소흐름 모델링을 통해 저탄소경관 창출을 위한 디자인요소를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