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소설교육의 구체적 실현 양상

        송기섭(Ki soob Song) 어문연구학회 2015 어문연구 Vol.84 No.-

        대학에서의 소설강독은 어떻게 이루어져야 하는가. 본 논문은 이러한 질문에서 비롯된다. 소설강독은 문학교육에서 여전히 중요한 교과목이다. 그러나 이에 대한 논의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소설강독을 원활히 수행하기 위한 교수들의 논의가 필요하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소설강독을 위한 강의 모델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본 논문은 그러한 한 방안이 될 것이다. 다만, 시안적인 의미에서, 교수활동과 방법에 집중하기보다는 교수내용에 해당할 텍스트의 면밀한 분석에 오히려 집중하고자 하였다. 소설강독에서 먼저 고려할 사안은 작품 선정이다. 작품의 선정에는 교수의 작품을 해석하는 시각이 요구된다. 이때 두 가지 점이 전제되어야 한다. 하나는 서사기법이고 다른 하나는 서사의미이다. 전자는 작품의 구조와 전략에 관한 것이라면 후자는 작품의 감정과 주제에 관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기본 틀을 고려하여 강독의 작품을 선정하는 일이 우선 필요하다. 본 논문은 김동인의 「배따라기」를 통해 이러한 점들을 살펴보았다. 이 작품의 격자형식은 고유한 서사형식과 그와 연동된 서사의미를 낳는 효과적인 한 장치가 된다. 소설강독에서 중점을 두어야 할 영역이 줄거리와 사건의 배열에 관한 탐구이다. 줄거리는 작품을 이해하는 초석이 된다. 작품을 어느 시각에서 읽어 가느냐에 따라서 줄거리는 달라진다. 제목이 지닌 의미도 점검해 보아야 한다. 그것은 은유이거나 상징, 혹은 반어적일 수 있다. 그것이 내포한 의미는 주제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사건의 배열은 플롯의 문제로 서사의미에 어떤 효과를 지니고 있는가를 살펴야 한다. 여기서 눈여겨 살펴야 할 내역이 반복이다. 또한 서사공간은 사건을 드러내는데 어떤 이점이 있는가를 면밀히 살펴야 한다. How should the reading of the novel be enacted? This paper starts by above-mentioned question. The reading of the novel is still important subject in literature education. But the reading of the novel has not been discussed. The discussion of the professor to perform smoothly Reading novels is required. Teaching model for the novel Reading through this process will have to be developed. This paper will be of such a plan. When reading of the novel, first issue to consider is the work chosen. Selecting works require view to analyze the work of the professor. Two things should be the premise. One is the narrative techniques and the other is narrative meaning. The former is related to the structure and strategy of the work, the latter may be said about the emotions and themes of the work. Following these framework, you first need to select work for reading. This paper searched these points through the "Baettaragi" of Kim Dong-in. The plot is the foundation for understanding the work. Of course, depending on the view you look the work differentiate the plot. Also check for the meaning of the title. It may be a metaphor or symbol, or have proven to be ironic. Its connotative meanings are closely associated with the topic. The problem of the plot, you should observe the effect of array of events. should be observed minutely Whether there is any advantage to expose the incident.

      • KCI등재

        천안의 누정시(樓亭詩) 고찰

        송기섭 ( Gi Seop Song ) 한국한문고전학회(구 성신한문학회) 2012 漢文古典硏究 Vol.24 No.1

        누정(樓亭)는 일부 상류층 및 식자층의 문화와 휴식공간으로 사용되어 오다가 조선 이후 유가(儒家)정신과 결합함으로써 풍류를 즐기고 이념 등을 논하면서, 자연과 교감하는 장소로 그 역할을 다 하였다. 이러한 과정에서 그 느낌을 시로 읊었으며, 그 내용의 양상이 누정의 역사, 위치, 환경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고 있다. 천안의 누정에서도 역시 역사, 지리, 그리고 환경의 특색에 따라 시의 내용적 양상이 달리 나타나는데 북부지역은 백제 초기의 도읍이었고 삼남(三南)으로 통하는 기로(岐路)였기에 내용상 백제 망국의 슬픔과 갈림길에서의 자신의 유수(幽愁)를 표현하는 시가 주류를 이루고 있으며, 중부지역은 고려태조의 자취가 많이 남아있고 선비들이 남북으로 오가면서 머물렀던 곳이어서 누정의 많은 시들이 태조의 발자취와 향수를 달래며 고민하는 내용이다. 그러나 남부지역은 아름다운 승지(勝地)가 많고 이곳의 정자들은 자연 속에 위치해 있어 자연산수를 소재로 노래한 시가 대부분이다. 이에 천안 누정의 지역적 특색과 관련하여 나타나는 시의 특성을 살펴보면 서거정의 제원루(濟源樓)와 구봉령의 차직산제원루운(次稷山濟源樓韻)에서는 망백제국의 슬픔을, 박장원(朴長遠)의 제천안군루(題天安郡樓)와 금종직(金宗直)의 등천안선화루(登天安宣化樓)에서는 고려 태조의 자취를, 숙종의 영소정(靈召亭)은 조선 임금의 자취를 남기고 있어 우리 역사의 흔적이 고스란히 누정에 배어 있다. 이승소(李承召)의 선화루(宣化樓)와 오(吳)의 천안수선정(天安水仙亭)에서는 향수 때문에 그 고민을 노래하고 있는 반면 申濡의 척수루(滌愁樓)와 임방(任防)의 한식등척수루(寒食登滌愁樓)에서는 자신의 시름을 씻어내려는 노력이 엿보이고 있어 이곳을 지나다 머무르며 느끼는 감정이 다양하게 시로 표현되고 있다. 따라서 이곳의 지리적 특색을 잘 반영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승지(勝地)에 위치한 정자에서 읊은 시들은 산수를 벗 삼고 또한 가까운 벗과 화답하며 주변의 경관을 그리고 노래함으로써 옛 선비들의 교유와 철학적사고를 느끼게 하고 있다. 유광흥의 자한정(自閑亭)과 한상욱(韓相旭)의 용주정(龍珠亭)에서는 정자에서의 선비들의 일상을 그리고 있고, 금득신(金得臣)의 복귀정(伏龜亭)과 곽시징(郭時徵)의 경한정(景寒亭)에서의 자연에 동화되어 즐기는 모습이 한 폭의 그림처럼 그려져 있으며 박윤원(朴胤源)의 등복귀(登伏龜)는 우주만물의 생성소멸과 순환의 이치를, 신광한(申光漢)의 시제안정(題安亭)에서는 안빈낙도(安貧樂道)를 깨닫고자 하는 고뇌에 찬 모습을 잘 그리고 있어 이곳의 환경적 요소가 깊이 가미되어 있다하겠다. 이처럼 누정의 위치에 따라 역사적, 지리적, 환경적 요인이 내용에 적극 반영되어 있음은 이곳의 누정시 만이 가질 수 있는 가치이고 이외에 누정 속에서 그들의 인간적인 면모를 읽을 수 있어 누정(樓亭)이 우리의 훌륭한 문화로 발전하는데 그 역할이 매우 지대했음을 능히 짐작할 수 있다. Nujeong had been used as a cultural space and rest place of some high classes and intellectuals, then it was a place they enjoyed the arts and discussed ideologies and communed with nature as an influence of the Confucian idea during the Chosun Dynasty. In such a rest, they recited poems to express their feelings. Aspects of those poems vary depending on Nujeong`s history, region and natural environment. This is same in Nujeong of Cheonan. Because the northern Cheonan was early Baekje`s capital and crossroads, there were mainstream poems that implied the poets` sorrow about ruination of Baekje and worry at a crossroads in there. In the central Cheonan, there remained the first king`s vestige of Goryeo Dynasty and scholars stayed on their way from north to south. Therefore, there were mainstream poems that implied worry and the first king`s vestige. This helped scholars to deal with their homesickness. However the southern Cheonan had many areas of scenic beauty and pavilions in this place were located in nature, and so most poems` material was nature. Here are some features of poems related to Cheonan Nujeong`s regional characteristic. We can see sorrow for ruination of Baekje form Jewonru by Geojeong Seo and Chajiksanjewonruun by Bongryeong Gu, the first king`s vestige of Goryeo from Jecheongangunru by Jangwon Park and Deungcheonanseonhwaru by Jongjik Kim and the king`s vestige of Chosun from Yeongsojeong by King Sukjong. Our historical trace remains intact in these works. Seonhwaru by Seungso Lee and Cheonansuseonjeong by Suk Oh are poems about concern from homesickness. On the other hand, in Cheoksuru by Yu Sin and Hansikdeungcheoksuru by Bang Lim, they tried to be free from anxiety and variously expressed their feelings while passed by. Thus, these works show they reflected regional features well. Poems recited in pavilions of scenic beauty show old scholars`` friendship and philosophical thought by representing landscape and responding to friends`` poems. Jahanjeong by Gwangheung Yu and Yongjujeong by Sanguk Han represent scholars`` daily life on pavilion. The image they assimilated with nature in Bokgujeong by Deuksin Kim and Gyeonghanjeong by Sijing Gwak is like a picture. In addition, Deungbokgwi by Yunwon Park tells about birth and death of all things in universe and order of cycle and Jeanjeong by Gwanghan Sin represents well his anguish over the situation he wanted to enjoy Tao in poverty. This shows poets brought natural environment to poems. And to conclude, the poem actively reflected historical, regional and natural elements by location of Nujeong. Therefore, this means Nujeong had a big effect on our great culture from their humanity in Nujeong as well as the only value of Nujeong.

      • KCI등재

        현진건 소설의 자기반영성과 아이러니

        송기섭(Song Ki-seob) 한국어문학회 2009 語文學 Vol.0 No.106

        Lee Kwang-soo’s new style novel focus on showing enlightenment. Kim Dong-in, Hyun Jin-gun, and Yum Sang-sub’s novel place on turnover point of enlightenment literature. They are absorbed in discovering and searching individual. They create internal form of literature which come from self-consciousness. They also bring renovation in techniques in current literate. Hyun Hin-gun use irony to make narrative discourse and create different modern novel’s form from Kim Dong-in and Yum Sang-sub. Irony for Hyun Jin-gun is not only for making narrative discourse, but also creating meaning itself. His irony include that of conversation, condition, and narrative. In other words, modern novels reborn independently by irony technique. Distinguishing mark of Hyun Jin-gun’s narrative irony is self-reflection. Self-reflection is normal characteristic of irony; creating and destroying. His ironic novels start and end from self conscious speaking. Irony as a novel technique get meaning by process of awakening. Self conscious speaking directly connect to this awakening. Through this awakening, he is willing to see ‘face of Chosun朝鮮’

      • KCI등재

        해방기 대전충남 지역문학의 형성 양상

        송기섭(Song, Ki-Seob)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15 한국민족문화 Vol.54 No.-

        지역문학이 소수자 문학으로서의 창조적 역량을 갖기 위해서 지향해야 할 바는 시선의 개방성이다. 지역문학의 근대적 형성을 말하는 자리에서 우리는 배제와 터부의 엄연한 현상을 마주해야 하다. 그것은 외연의 이념적 힘이 작용한 원인도 있지만 자체의 폐쇄적 타성에 매몰된 측면 또한 부정하기 어렵다. 중요한 점은 실증의 엄정한 공정성에서 자료를 검토하는데 있다. 적어도 해방기 지역문학을 논의하고자 할 때, 이 실증주의자의 태도는 지역문학의 태동을 온전히 복원하기 위해 절실히 요청된다. 해방기라는 역사 단위는 지역문학에서 더욱 중요한데, 그것은 이 시기가 대부분 지역에서 문단의 형태를 갖춘 지역문학이 비로소 출범하는 시기인 까닭이다. 그러나 지역문학의 태동을 규정하는 긴요한 시기를 논하면서 특정 유파의 배제라는, 자료의 몰각이라는 결여를 안고 있었음을 우리는 인정해야 한다. 향토와 대중화라는 주제어는 이 당시 지역문학을 객관화하는 중심어가 될 것이다. 그것이 향토주의로 기울어지는 과정을 살피는 데서 초기 지역문학의 윤곽이 드러나게 될 것이다. 여기서 또한 해결해야 할 과업이 유실된 자료들을 복원하는 일이다. Local literature is minor literature. Minor literature has creative ability that is unique. Local literature aims it. When arguing modern literature, it must be premised. Local literature was usually formed in liberalization period in Korea. Liberalization Period means between liberation(1945) to government formation(1948). In this period, local literature separated by left/right ideological line. And after that, when arguing those literature, one aspect is excluded. It is because of ideological force and also closed district. The thing which is important is disappearance of fair in substantiation. When arguing local literature in liberalization period, positivist"s attitude is urgently needed to restore local literature integritously. "Rural area" and "Popularization" are topic words when doing objectification of local literature. Early local literature"s outline is exposed when observing process that it tilt to localism. In this process, the thing we have to do is restoring the lost data.

      • KCI등재

        백곡 김득신의 누정시(樓亭詩) 연구

        송기섭 ( Gi Seop Song ) 한국한문고전학회(구 성신한문학회) 2016 漢文古典硏究 Vol.32 No.1

        백곡은 조선 후기 우리 문학사에 시로써 뚜렷한 족적을 남긴 사람이다. 그는 유수한 가문에서 태어났지만 어릴 때의 앓았던 심한 천연두의 후유증으로 학문의 각득함이 지둔하였다. 이로 인해 학문에 대한 만류가 있었음에도 아랑곳하지 않고 부단한 노력으로 시로 名振했으며 일생동안 1500여 수의 많은 시를 남겼다. 본고는 백곡 김득신의 시와 생애, 그리고 누정시에 나타난 공간 활용 유형과시의 소재를 통한 動과 靜의 조화를 고찰해 본 것이다. 여기에서 누정의 공간활용하면서 나타난 성정과 심상을 네 가지 유형으로 도출할 수 있는데, 그 유형을 살펴보면 누정은 첫째, 시상을 발하기 위함이었다. 누정에서 詩品을 올리기 위해 부단히 노력하는 모습, 그리고 적절한 시구를 찾지 못해 고뇌하는 모습이 인상적이다. 둘째, 인간사에서 오는 愁心을 달래기 위한 공간으로 사용하고 있다. 절벽에 위태롭게 서 있는 누각과 자신의 수심을 동일시하며, 그 수심을 한 잔의 술로녹이는 모습에서 그의 인간적 고뇌를 더욱 짙게 느끼게 한다. 셋째, 정자주변의 풍광을 즐기기 위함이었다. 이곳의 풍광을 牧歌的으로, 사실적으로 그려내고 있는데, ‘詩中有畵’의 당풍을 잘 살려내고 있다. 넷째, 이별과 만남의 공간으로 이용하고 있다. 이별에 대한 情恨과 벗과 회포를 푸는데, 여기에서 그의 온정적인 인간미를 엿볼 수 있다. 또한 靜과 動의 시어 배열과 시구 배치의 조화를 통해 詩感을 높여주고 있는 것도 그의 누정시의 특징이다. 백곡은 作詩할 때 시어, 시구를 배열하거나배치함에 있어 靜的 詩語, 詩句와 動的 詩語, 詩句를 조화롭게 하여 시의 묘미를 꾀하고 있다. 즉 내용상 詩語, 詩句를 靜的으로 표현할 것인가, 動的으로 표현할 것인가 하는 문제와 형식상 어디에 어떻게 배열, 또는 배치할 것인가를 매우 중요하게 여기고 있다. 여기에서 그가 작시를 함에 있어 彫琢과 推敲의 고민을 엿보이며, 이러한 작시 기법이 그의 시를 절묘한 조화로 이끌고 있다. 이로써 그의 누정시가 진솔하고 청아한 성정과 미적인 심상의 발현과 또 이시 속에 나타난 動靜의 조화에서 오는 절묘함이 苦吟하고 心脾를 쥐어짜며 一字千鍊하여 나온 결과였음을 짐작할 수 있다. Baekgok is a person who has left an indelible mark on the literature history of late Joseon dynasty. Although he was born rich as a member of eminent family, he was the slower intellects because of smallpox aftereffect that he has suffered from when young. However, inspite of dissuasion, he has tried to be known for his poems and he has left approximately 1500 poems with endless effort. This writing has its aim to study poems and life of Baekgok Deukshin Kim, space application type appeared at a Nujeong poem, and harmony between movement and tranquility. He has utilized space of Nujeong at Nujeong poem through nature and image that Baekgok has felt at Nujeong, and harmony between movement and tranquility contained in the poem. An utilization is displayed with four types. First, it is to display poetic concept. The appearance to put endless effort to compose poems, and to deliberate because he could not find line. Second, he has used space as a tool to relieve anxiety coming from affairs of men. He has relieved anxiety and nostalgia with a drink by identifying his anxiety with the risk of castle. Third, it is to enjoy scenery of pavilion. He has described the scenery pastorally and realistically, and it has allowed to realize ``poem describing scenery realistically``. Forth, it is used as a space for farewell and meeting. The appearance to unburden oneself on emotion and pity from farewell with companions. When Baekgok composing a poem, he has attempted to display subtlety of poem by harmonizing tranquil poetic diction and dynamic poetic diction when it comes to an arrangement of poetic diction. Thus, he has place a premium on arrangement of dynamic and tranquil poetic diction over the decision to use dynamic and tranquil expression. Because of that, an arrangement of movement and tranquility appeared in his peom is harmonious and fantastic. Therefore, the genuine and pure nature, aesthetic image and superb harmony between movement and tranquility contained in his poem are results of consideration.

      • KCI등재

        기초 글쓰기의 학습목표

        송기섭 ( Kim Seob Song )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4 인문학연구 Vol.49 No.3

        글쓰기 교육은 이미 대학 교양의 중심 영역으로 자리잡아 왔다. 글쓰기 능력은 학생들이 전공 학습을 원활히 수행하기 위해서도 필요하지만 졸업 이후 갖추어야 할 필수 기능으로 더욱 부각되고 있다. 이러한 현실적인 필요성에 의하여 대부분 대학에서는 글쓰기 교육을 강화하면서 효과적인 교육 방안이나 제도적인 보완책을 마련하고 있다. 글쓰기 교육도 기본적으로는 다른 교과목과 마찬가지로 학습목표 설정, 학습 내용의 구완, 그리고 학습평가로 이루어진다. 여기에 글쓰기 교육의 특성상 요구되는 글쓰기 교실이나 센터와 같은 제도적 기구의 보조적이고 협력 관계가 요구된다. 여기서 가장 먼저 점검해 볼 문제가 교육목표이다. 그것은 이후에 전개되는 글쓰기 교육의 기본 지침이 될 뿐만 아니라 세부적인 교육 행위의 방향을 지시하기 때문이다. 본고는 충남대학교의 글쓰기 교육을 사례로 분석하면서 기초 글쓰기의 학습목표를 설계해 보고자 한다. 글쓰기 교육은 대개 기초적인 수준의 공통적 과정과 계열별로 심화된 과정으로 분리되고 있다. 기초 글쓰기는 학부생들에게 의무적으로 부과되는 공통적인 글쓰기 교과과정으로, 전공과 무관하게 수강할 수 있도록 수업의 내용과 수준이 주어진다. 그런 까닭에 수업목표 또한 이에 맞추어 설정되어야 한다. 여기에 간과해서는 안 될 점은 전통적인 작문교육과는 다르게 그것이 모색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전통적인 작문교육에서는 창의적 사고력을 글쓰기의 전제 조건으로 제시하곤 했다. 또한 문장 단위의 수사학에 그것의 핵심을 두곤 했다. 문학적 글쓰기를 수행하는, 전문화의 함정을 곁들이기도 했다. 기초 글쓰기는 이러한 전통적 글쓰기 교육과는 다른 층위에서 출발한다. 그것은 글쓰기가 영감이나 재능에 의해서가 아니라 준비와 전략에 의해 수행됨을 일깨우고 한다. 그리하여 글쓰기의 작업 프로세스와 그에 대한 인지적 과정을 중점적으로 가르치고, 실습을 통하여 이를 익혀가고자 한다. 기초 글쓰기의 학습목표는 이 두 측면에 맞추어 기획되어야 한다. Writing education is one of core subjects among liberal arts courses. Writing ablity is required for students to accomplish their majors as well. For some practical reasons, most universities have intensified their writing education. Effective teaching method and institutional supplement have been established. Writing education is comprised of purpose setting, lecture contents and grading. Writing classes and centers assist writing education effectively. The purpose needs to be examined thoroughly because it is not only the basic guideline of writing education but also the direction of lecturing method. This essay tries to plan education purpose of fundamental writing by analyzing writing education of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Writing education is classified into fundamental course and specialized course. Fundamental course is a prerequisite for all students. Its contents and level are formed for students regardless of majors to accomplish it. The purpose should be set reflecting this circumstances. It differs from traditional writing education. Traditional writing education emphasizes creative thinking and rhetoric. It contains literary writing as well. Fundamental writing is based on different level with traditional writing. It premises that writing is conducted by preparation and strategy, not inspiration and talent. It emphasizes the process of writing. It also requires cognitive process considering conversational community. Education purpose of fundamental writing should be set considering these two aspec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