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인터넷 신문의 상호작용을 위한 모듈화 선호 유형 분석

        손현준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12 조형미디어학 Vol.15 No.3

        The internet newspaper which was focused only to deliver one-way news and clear meaning of article is now changing to editorial design focused on interaction as it is being used for online service purpose, unlike the basic media. The internet newspaper is proving various services which can be seen by directly selecting diversified contents and information to encourage the activeness of consumer and induce their active participations in the aspect of providing news from not only the newspaper magazine, but also e-book and broadcast media of the publishing trade and portal site. To follow this trend, the standardized and static editorial design such as mainly PDF and text has newly updated to editorial design with web 2.0 to provide contents arose interests from consumer. There are still web 1.0 to 1.5 programs with one-way text are being currently used from many local newspaper sites; however, this would be changed or updated within few years in the near future. Since the interface design between interaction and bi-directional services has arrived, the study on the technical side and contents composition is actively being conducted. However, the study on the layout or sequences which would be more complicated by utilization of multimedia is still inadequate.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direction of editorial design through a design which applied modularity for internet newspaper suitable for web 2.0 environment for interaction of consumer. Also in this study, whether an aesthetic design which may rise interests and comfort for consumer can apply the modularity model that has applied the type of preference by each sensibility has been investigated. 단방향의 뉴스전달과 명확한 기사전달에 중점을 두고 제작되던 인터넷 신문이 온라인상의 서비스 목적으로 활용되면서 기본의 매체와는 다르게 상호작용성에 중점을 두고 편집디자인 되는 경향으로 변화되고 있다. 신문 매체뿐만 아니라 출판업계의 전자 e-book과 방송매체, 포털사이트의 뉴스제공에 있어서도 수용자의 능동성을 고취시키고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할 수 있는 다양한 콘텐츠와 정보를 직접 선택하여 볼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 양상으로 PDF나 텍스트 위주의 획일화되고 정적인 편집디자인에서 벗어나 수용자에게 흥미를 유발하는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해 웹 2.0을 도입한 편집디자인으로 새롭게 업그레이드되고 있다. 현재 지역 신문의 사이트에서는 아직도 웹 1.0에서 웹 1.5의 프로그램에서 여전히 단방향적인 텍스트 위주의 편집으로 구성된 곳도 적지 않으나 향후 몇 년 안에 모두 교체 및 업그레이드되는 추세이다. 상호작용과 양방향서비스의 인터페이스디자인의 도래에 있어 기술적인 면과 콘텐츠의 구성에 대해서는 활발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멀티미디어의 활용으로 인해 더욱 복잡한 구조를 띠게 될 레이아웃이나 배열에 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수용자의 상호작용성을 위한 웹 2.0 환경에 적합한 인터넷 신문의 모듈화를 적용한 디자인을 통해 편집디자인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수용자의 입장에서 편안하게 느끼거나 흥미를 부여할 수 있는 심미성을 갖춘 디자인으로서 감성별 선호 유형을 적용시킨 모듈화의 모델을 적용할 수 있도록 조사하였다. 연구의 결과로서 텍스트와 멀티미디어 활용의 비율과 모듈화에 따라 달라지는 수용자의 선호 유형을 알 수 있었으며 이러한 자료는 타 분야의 편집디자인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이러한 모듈화 설계에 의한 인터넷 신문의 편집 방향과 수용자의 감성별 선호 유형을 통해 향후 개발될 인터넷 신문과 e-Book 등 다양한 정보제공에 목적을 둔 편집디자인의 하나의 대안으로서 작용될 것으로 전망한다.

      • KCI등재

        한국인 두마디뼈 새끼발가락의 유전 및 환경 요인

        손현준,오진록 대한체질인류학회 2006 대한체질인류학회지 Vol.19 No.3

        Anatomically, we have known that the first toe is composed of 2 phalangeal bones (proximal and distal phalanx) and the second, third, fourth, fifth toe are composed of 3 phalangeal bones (proximal, middle, and distal phalanx). But in Korean the 5th toe is commonly seen as 2 phalangeal bones in foot plain X-ray. In this study, we observed the numbers of phalangeal bones of fifth toe in Korean and analyzed the relation with several environmental factors and genetic factor. The data of occupation, age, body weight and foot length as well as the foot radiograph were obtained in 175 persons without any foot lesion. With the coorperative persons among them showing triphalangeal 5th toe as the index cases, radiograph of 12 family were studied to analyse the pedigree. As result, total frequency of the 5th toe symphalangism was 74.29% (male 74.2%, female 73.36%).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 The bilaterality of the symphalangism was 98.46%. The occupation group were farmer, labor, self-support, white collar, student, housewife,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the kind of occupation and the frequency of the symphalangism. Also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body weight or foot length In conlusion, the two-phalanged fifth toe might be related with genetic factor rather than several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sex, age, occupation, body weight and length of foot. From the pedigree study we concluded the genetic trait of the triphalangism might be the autosomal recessive. 한국인의 새끼발가락 먼쪽마디뼈사이관절 유합 빈도를 조사하고, 새끼발가락의 마디뼈 수와 관련된 환경 요인이나 유전적 요인이 존재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발에 특이 병변을 보이지 않는 175명의 양쪽 발 방사선 사진과 함께 대상자의 직업, 나이, 체중, 발의 길이 등 환경적 요소들을 조사하였다. 또한 세마디뼈 새끼발가락으로 나타난 대상자를 지표증례(index case)로 하고 그 가족의 협조를 얻어 방사선 촬영을 별도로 실시한 후 12가족의 가계도를 작성하였다. 조사 결과 두마디뼈 새끼발가락(two-phalanged fifth toe)의 출현 빈도는 전체에서 74.29%였고, 남자와 여자에서 각각 74.22%와 73.36%의 빈도를 보여 유의한 남녀의 차이는 없었고 양쪽 발이 같은 소견을 보이는 양측성 조사 결과는 98.46%였다. 조사 대상자의 직업은 농부, 노동자, 자영업자, 회사원, 학생, 주부 등이었으며, 직업과 새끼발가 락의 마디유합과는 상관관계가 없었다. 체중 또는 발의 길이와도 상관관계가 없었다. 세마디뼈 새끼발가락으로 확인된 사람의 가족조사를 통해 얻은 가계도를 분석한 결과 3가지 유형-두마디뼈 새 끼발가락이면서 이종접합체[heterozygous (Bb×Bb)]의 부모로부터 세마디뼈 새끼발가락인 동종접합체[homozygous (bb)] 자녀가 나온 경우, 세마디뼈 새끼발가락인 동종접합체[homozygous (bb)]인 부모로부터 세마디뼈 새끼발가락 인 동종접합체가 자녀 모두에게 나타난 경우, 두마디뼈 새끼발가락인 이종접합체 [heterozygous (Bb)]와 동종접합 체[homozygous (bb)]인 부모로부터 세마디뼈새끼발가락인 동종접합체 자녀가 나온 경우- 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세마디뼈 새끼발가락이 상염색체 열성 유전임을 강하게 뒷받침하는 근거이며 마디뼈 융합 현상 은 성별, 나이, 직업, 체중, 발의 길이 등의 환경적 요인에 의한 개체의 변이보다는 유전적 요인이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한국인 소아의 두마디뼈 새끼발가락

        손현준,서제훈,박해정,박경한,고기석,조경제,최완성,박형빈 대한체질인류학회 2006 해부·생물인류학 (Anat Biol Anthropol) Vol.19 No.2

        Radiographic research was performed to know the frequency of two-phalanged fifth toe and its relation to presence of the ossification centers in normal Korean children. Previous study showed more than 74% of the incidence in adulthood and less than 30% in childhood. Fifty children (33 male and 17 female, aged 2 to 15; mean age 9.6) were studied by plain foot radiographs focused on the fifth toe. In the 3~8 yr old 20 subjects, secondary ossification center of distal phalangeal bone was seen as a ossicle (small bone) placed at proximal to the distal phalanx. Secondary ossification center of middle phalangeal bone and the bony shaft of the phalanx was hard to distinguish. So keeping up the objectivity, regardless of distinguishable ossification center or the bony shaft of phalanges, ossicles seen on the 5th toe was counted to classify the presumptive type of the toe. Epiphyseal ossification center of proximal phalanx was excluded from the count. There were three types of the fifth toe which has 2 ossicles to 4 ossicles. Overall incidence of the type of 2 ossicles was 24% (12/50). Above 12 yr old group the incidence was 61% (11/18), and above 13 yr old group the incidence was 75% (9/12). The incidence of biphalangism came closer to the adult’s after late childhood. This finding represent that progress of biphalangealization completed after late childhood. It seems that the progress starts earlier than 3 yr old. We made the hypothesis by the incidence of 30% (6/20) of the type which has 4 ossicles on the fifth toe at 3~8 yr old group. Four ossicles might be a secondary ossification center of distal phalanx and the bony shaft of distal, middle and proximal phalanx. They might form a distal interphalageal joint and the triphalangeal toe. To know more about the morphogenesis of biphalalngeal 5th toe, further progressive study in childhood is needed. 성인의 경우 74% 이상의 높은 빈도로 관찰되는 두마디뼈 새끼발가락이 15세 이하의 소아에서는 30% 이 하의 낮은 빈도로 관찰된 저자들의 이전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마디뼈융합의 과정을 이해하고자 정상 한국인 소아 에서 두마디뼈 새끼발가락의 출현 빈도와 끝마디뼈의 이차뼈되기중심 출현 양상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정상 소아 50명(연령분포 2~15세, 평균 9.6세)의 단순방사선 사진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주관성을 배제하기 위하여 새끼발가락의 마디뼈와 함께 뼈되기중심의 음영을 작은뼈(ossicles)로 계수하였으며, 첫마디뼈의 몸쪽 끝에 위치한 뼈되기중심은 작은뼈의 수에서 제외하였다. 새끼발가락의 두마디뼈 소견은 12세 이상에서 나타나기 시작하여, 12~15세 소아 18명 중 11명(61%)에서 뚜 렷한 마디뼈 융합 소견을 보였다. 2세 소아 1례에서 중간마디뼈의 형성이 안되었기 때문에 작은뼈가 2개 관찰되 었다. 3~8세 소아 20명 중에서 끝마디뼈의 뼈되기중심이 뚜렷이 남아서 마치 새끼발가락의 작은뼈가 4개인 것처 럼 보이는 경우가 6례(20%) 관찰되었다. 새끼발가락에서 보이는 작은뼈의 수만으로 보면 두개의 뼈가 나타나는 경우가 24%였다. 이 결과는 성인에서의 출현빈도와 비교하여 볼 때 현저한 차이가 있으나 13세 이상의 소아에서 75%의 출현빈도를 보이는 점으로 보아 두마디뼈가 되기 위한 마디뼈 유합과정이 소아후기에서 진행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끝마디뼈의 이차뼈되기중심이 나타나야할 3~8세 소아 20명에서 그 뼈되기중심이 없는 경우가 14례(70%) 관 찰되는데, 이 경우에 끝마디뼈와 중간마디뼈가 융합하여 두마디뼈 새끼발가락이 될 것으로 가정하였다. 이와 함께 두마디뼈로 관찰되는 경우를 더하여 33례(66%)가 두마디뼈 새끼발가락이라는 결과를 얻었으며 이 출현빈도는 성 인에서와 유사하다고 생각된다. 9~12세 연령대에서 3개의 뼈를 세마디뼈 새끼발가락으로 집계한 15례 중 일부가 나이가 들면서 두마디뼈 새끼발가락으로 유합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으므로 새끼발가락에서의 마디뼈 융합 과 정을 완전히 이해하기 위하여 2세에서 13세까지 전향적추적관찰 연구가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