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융합 기술의 동향: 인지과학과 정보 기술(IT)의 융합을 중심으로

        손진훈,박지은 에스케이텔레콤 (주) 2009 Telecommunications Review Vol.19 No.5

        본 논문에서는 융합 기술의 개념 및 선진국의 인지과학(Cognitive Science)과 정보 기술(Information Technology)과의 융합 기술 동향에 대해 개관하고자 한다. 그리고 융합 기술의 주요 도전적 과제와 인지 시스템 모 델, 인간-기계 상호작용, 언어 및 음성 인식을 위한 패턴 인식 기술, 영상 처리, 인지 증강과 같은 인지 및 정보융합 기 술의 주요 영역의 동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 공간지각 능력수준에 따른 활성화 뇌 영역의 차이 : fMRI 연구 An fMRI study

        손진훈,김연희,이경화,박세훈 한국뇌학회 2001 한국뇌학회지 Vol.1 No.2

        본 연구는 공간지각 능력이 높거나 낮은 사람들이 공간지각 과제를 수행하는 동안 활성화되는 뇌 영역을 확인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428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집단심리실험을 수행하여, fMRI 연구를 위한 실험참여자로 30명의 오른손잡이 여대생을 선정하였다. fMRI 실험을 위한 패러다임은 block디자인으로, 한 block 내에 공간지각과제 세 문항이 포함되어 있는 네 block으로 구성되었다. fMRI imaging은 1.5T Siemens Vision Scanner로 수집되었으며, single-shot EPI 기법으로(TR/TE: 3840/40ms, flip angle: 90, FOV: 220, 64×64 matrix) 이미지를 스캔하였다. 자료분석은 SPM-99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였다. 감산(subtraction)분석결과, 공간지각 능력이 우수한 집단은 양측 대상회(bilateral cingulate gyri)와 우측 상두정엽(right superior parietal lobe)에서 뇌 활성화가 더 많이 나타났고, 우측 시상(right thalamus)과 좌측 측-후두엽(left temporooccipital)은 공간지각능력이 떨어지는 집단에서 더 많이 활성화되었다. 이는 공간지각능력의 차이가 뇌의 활성화에 기인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The purpose of study was to identify brain areas that become activated while subjects performing visuospatial tasks(VST) with different performance levels. 428 college students were evaluated for VST, then 30 females were selected for fMRI study. Subjects were selected through psychometric test and were right-handed with no history of brain injury. The fMRI paradigm was designed to have 4 blocks of each task and each block has 3 items. Imaging was performed on a 1.5T Siemens Vision Scanner. Single-shot EPI fMRI scans(TR/TE 3840/40ms, flip angle 90, FOV 220, 64x64 matrix) were acquired. Imaging data were motion-corrected, coregistered, normalized, and then analyzed using SPM-99. There was greater activation in the bilateral cingulate gyri and the right superior parietal lobe for better VST performance group, whereas the right thalamus and left temporooccipital area for poor VST performance group.

      • 전기충격의 제시방법 및 노출시간이 아편성체계 관련 무통에 미치는 효과

        손진훈 대구효성가톨릭 대학교 1983 연구논문집 Vol.27 No.1

        환경자극의 하나인 전기 충격의 제시 방법 및 노출시간이 무통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 다음으로 naloxone에 의하여 그 무통이 차단될 때 즉 아편성체계가 활성화될 때 그것에 관여하는 변인의 규명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피험동물은 Sprague Dawley 수컷이었으며 통의 반응성은 가열판 위에서 발바닥 핥는 시간으로 측정하였다. 실험집단은 5분 간헐, 5분 연속, 17.5분 간헐, 17.5분 연속 충격의 4집단이었다. 실험Ⅰ의 결과는 1mA의 발바닥 전기충격으로도 무통이 야기되었으며 연속적 충격이 간헐적 충격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더 많은 무통을 야기하였다. 또한 노출시간이 짧은 집단이 오래 노출된 집단보다 더 많은 무통을 야기하였다. 그리고 단순한 전기충격의 양과 무통 간에는 일정한 관계가 성립하지 않았다. 실험Ⅱ에서는 통에 대한 잠재기저시간을 측정한 후 naloxone을 2mg/kg 주사하였으며 8분 후 실험Ⅰ의 실험절차와 동일하게 전기충격을 가하였다. 이 결과는 naloxone에 의하여 무통이 차단될 때 즉, 아편성체계가 활성화되어 통각이 조절 억제되는 경우는 제시 방법이 '연속' 혹은 '간헐'에 관계없이 장시간(17.5분) 전기충격에 노출된 집단이었다. 이는 Lewis 등의(1980, 1981) 연구결과를 지지하지만 연속 집단에서도 naloxone에 의해 무통이 차단될 수 있다는 새로운 사실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Grau 등(1981)과는 달리 단순한 물리적인 전기충격의 양은 naloxone에 의해 무통이 차단되는 기제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Rats exposed to the electrical footshock subsequently display analgesia and it is supposed to be induced by the opiate system and/or nonopiate system. The present study revealed the facts as follows; 1] The footshock-induced analgesia measured y hot-plate is caused by brief [5 min.] continuous, brief discontinuous [2 sec. shock, 5 sec. rest], long [17.5 min.] continuous and ling discontinuous electrical footshock [1 mA]. 2] The analgesia induced b ling electrical footshock could be eliminated by an opiate receptor blockade induced b a narcotic antagonist, naloxone. Naloxone at a dose of 2mg/kg was partially able to attenuate footshock-induced analgesia, but it had noeffect upon pain-latency time in the brief footshock groups. This result is opposed to Lewis et al. [1980] who insisted that only long discontinuous footshock could be blocked by naloxone. 3] And the total amount of footshock could not make naloxone to block footshock-induced analgesia opposed to the finding of Grau et al. [1981]

      • 고속핵 자극에 의해 유발되는 통각억제에 관련되는 상행체계

        손진훈,오애령 한국심리학회 한국심리학회지 생물 및 생리 Vol.4 No.1

        고속핵에 대한 전기적, 화학적 자극은 열에 의해 유발되는 통각을 억제 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본 연구에서는 고속핵 자극에 의한 통각억제에 중뇌 이상의 뇌구조가 관련이 있는지, 그리고 통각억제와 이의 하행성 통로로 중요한 구조인 연수의 거대 봉선핵이 관련되어 있는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수컷 Sprague-Dawley종을 사용하였으며, “꼬리 튀기기” 방법을 사용하여 통각 예민성을 측정하였다. 고속핵과 중뇌사이를 관상절단 하였을 때, 고속핵 자극에 의한 통각억제의 역치는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 자극역치가 거의 두배로 증가하거나, 운동효과(예컨데, 꼬리 움직임)의 부작용이 나타나는 경우는 더 이상 높은 전기자극을 하지 않았다. 중뇌의 문측을 관상절단 하였을 때는 고속핵 통각억제의 자극역치에 변화가 없었다. 거대 봉선핵 자극은 고속핵자극보다 낮은역치에서 통각억제를 유발하였으며, 거대 봉선핵 손상은 통각억제를 위한 고속핵의 자극역치를 유의미하게 증가시켰다. Electrical stimulation of the nucleus tractus solitarius(NTS) produces opioid-mediated antinociception. The NTS has extensive reciprocal connections with higher brain structures. Notable among these are connections with nucleus raphe magnus (NRM). This study sought to determine whether NTS stimulation-produced antinociception (SPA) relies on cennections with higher brain structures and/or the NRM. Male Sparague-Dawley rats were anestheuized with pentobarbital (55㎎/㎏) and mounted stereotaxic apparatus. Pain sensitivity was masureed using the tail-flick test. In the experiment 1, a stimulating electrode was positioned in the NTS and holes were drilled so that a guide cannular could be lowered into the hole Through this cannula a wire was inserted allowing coronal brain section to be made. Thresholds for SPA were determined before and after coronal sections. Sections were made rostral to the midbrain and between the NTS and midbrain. In the experiment 2, similar procedures were followed except selective electrolytic lesion (1㎃, DC, 20 sec) of the NRM were made. Transections between the NTS and midbrain significantly increased the threshold for SPA in the NTS. Cuts made rostral to the midbrain had no effect on SPA threshold, NRM lesions also increased SPA threshold. In this experiment, baseline tail-flick latencies were always increased for approximately 2 to 5 minutes after the lesion.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suggest that stimulation of the NTS produces antinociception via not any brain nuclei rostral to midbrain but a descending system arising in the NRM at least.

      • 뇌하수체제거가 흰쥐의 발바닥 전기충격에 의해 야기된 무통에 미치는 효과

        孫晋勛 대구효성가톨릭대학교 1986 연구논문집 Vol.33 No.1

        The effect of hypophysectomy on analgesia induced by the electrical footshock were investigated in the rat. Pain sensitivity was assessed by measuring the time of paw-licking on the hot-plate. The result were as follows: (1) Baseline pain sensitivity was lower in hypophysectomized rate than in sham-operated rats. (2) Analgesia induced by long-term(17.5min) footshock was affected by the hypophysectomy. (3) Naloxone hyperalgesia was partly altered by the hypophysectomy. These results reveal that (i) the pituitary gland participates in the modulation of basal pain sensitivity, probalby mainly through opioids, (ii) the pain modulatory processes engaged in adaptatio to long-term (17.5min) footshock stress partly involove the pituitary gland. (iii) Naloxone hyperalgesia results essentially from an antagonism of endogenous opioids originating tn the Central Nervous System and not in the pituitary.

      • 쾌락 감성과 뇌

        손진훈 한국감성과학회 2016 춘계학술대회 Vol.2016 No.-

        인간의 삶의 목표는 쾌락(pleasure)의 추구라고 Aristoteles와 Epicuros는 약 2000년전에 주장하였으며, Darwin은 모든 포유동물은 “Core liking(쾌락)”을 경험하고 이는 진화적 기능의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하였다. 여기서 “쾌락”이란 인간에게 긍정적인 감성(positive emotion)이나 행복감(sense of well-being)을 느끼도록 해 주는 것으로 쾌락은 보통 인간의 감각계의 자극에 의해서 유발되지만 쾌락의 질은 인간의 뇌가 만들어내는(창조하는) 쾌락적 경험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쾌락은 기본적인 쾌락과 고차원의 쾌락으로 나눌 수 있는바, 기본 쾌락은 주로 음식과 성에 관련된 것으로 진화적으로 생존과 종족보존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오늘날에는 뇌 과학의 발달로 “쾌락”을 창조하고 경험하게 하는 뇌의 구조와 기전이 밝혀지고 있다. 본 강연에서는 먼저 쾌락의 넓은 개념인 보상(reward)에 대한 뇌 기전을 개관하고, 일차 쾌락 중에서 성적 쾌락과 성 중독에 관련된 뇌 구조와 기능, 그리고 회로에 대하여 선행연구 및 본 연구실에서 수행된 연구내용을 발표하고자 한다.

      • 피부자극에 의해 나타나는 감성변화의 평가를 위한 HRV 수펙트럼 분석

        손진훈 ( Jin Hun Sohn ),임재중 ( Jae J. Im ),이경화 ( Kyung Hwa Lee ),여형석 ( Hyung S. Yeo ),박진우 ( Jin W. Park ) 한국감성과학회 1997 연차 학술대회 논문집 Vol.1997 No.-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find the conrrelation between emotional changes and the parameters of HRV spectrum evoked by tactile stimulation. Twenty-one subjects were used and five different types of materials, dry cotton, wet cotton, paper, sandpaper, and vinyl were applied to the left hand of each subject as a tactile stimulation. The results showed that HF/LF (ratio of high to low frequency amplitude calculated from power spectrum of HRV) decreased as the subject experienced the unpleasant emotion caused by wet cotton and sandpaper. On the other hand, when the subject experienced the comfort, HF/LF increased. It was concluded that the proposed methods can be applied to evaluate the characteristic changes in the autonomic nervous system which regulates the human emotion in the psychological aspec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