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유치원 교육실습생이 인식한 지도교사에 대한 역할기대-수행 간의 차이 및 실습불안?갈등 간의 관계

        손지향 ( Ji Hyang Son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13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14 No.2

        본 연구는 유치원 교육실습생이 인식한 실습지도교사 역할에 대한 기대와 역할수행간의 차이를 살펴보고 그러한 차이가 교육실습생이 느끼는 불안과 갈등과 관련성이 있는지를 밝히기 위해 수행 되었다. 본 연구는 대전, 대구, 경북에 소재한 3년제와 4년제 대학 5곳의 유아교육과 학생들 중 2012년도 유치원 교육실습을 마친 예비유아교사 157명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연구대상에게 실습지도 교사의 역할수행에 대한 기대 및 실제수행정도, 실습불안 및 갈등에 관한 설문지를 작성하도록 하였고 이를 SPSS15.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처리 하였다. 연구결과, 실습지도교사의 역할수행에 대한 기대 및 실제수행정도는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고, 이러한 차이는 교육실습생의 실습불안 및 갈등과 큰 연관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교육실습과정에서 긍정적인 효과를 성취하기 위해서는 실습지도교사의 역할수행에 관한 기대와 실제수행간의 일치를 이룰 수 있도록 실습지도교사 역할 수행을 위한 지원방안이 마련되어야 하며, 이는 교사양성과정의 제도적 체제로 적용되어야 함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discrepancy between expectation of cooperating teachers` roles, performance perceived by intern teachers. and the relationships to anxiety and conflict of early childhood intern teachers. A total of 157 intern teachers who were enrolled i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course participated in this research. Data was collected by the scales of role expectation on cooperating teachers (Kuehl, 1984; Shin, 1998), and scale of anxiety and conflict of student teachers by Chio (2007). Data was analyzed by SPSS statistic program with descriptive analysis, Anova and t-test. The results showed that (1) in comparisons of cooperating teachers` educational background, years of teaching, and numbers of mentoring internships,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intern teachers` perception on performance of mentoring ability of cooperating teachers during internship. (2) There is significant discrepancy between intern teachers` expectation and performance of cooperating teacher`s mentoring ability. (3) The discrepancy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anxiety and conflict of the early childhood intern teachers in positive and negative way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need for systematic support and education for cooperating teachers to implement their mentoring roles more effectively and ultimately call for reconstruction of the current student-teaching system toward research-based and university-kindergarten cooperative mentioning program.

      • KCI등재

        장애유아에 대한 예비유아교사 주관적 태도연구

        한민경(Han, Min-Kyung),손지향(Son, Ji-Hyang),김인서(Kim, In-Seo)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3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8 No.1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들의 장애유아에 대한 태도를 알기 위하여 Q-방법론을 적용하였다. Q-방법론의 절차에 따라서 첫째, G시, D시, K시 지역에 위치한 4년제 유아교사 양성대학에 재학 중인 3, 4학년 학생 215명을 대상으로 하여 장애유아에 대한 Q-모집단(151개)을 추출한 후 Q-표본(44개)을 선정하였다. 이를 활용하여 40명의 P표본을 대상으로 Q-표본을 분류하도록 하였다. 연구 결과, 예비유아교사의 장애유아에 대한 태도는 3가지 유형으로 나타났다. 제1유형(31.75%)은 “잠재적 발달성을 가진 존재로서의 장애유아 인식형”, 제 2유형(10.36%)은 “손상된 특성으로서 장애유아 인식형” 제 3유형(5.97%)은 “가족체계 및 기능의 방해요인으로서 장애유아 인식형”으로 범주화되었다. 장애유아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의 태도가 통합교육 실천에 직접적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고려할 때 앞으로 본 연구의 결과는 예비유아교사들의 장애유아에 대한 긍정적 태도를 높이기 위한 방안마련이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attitude on the inclusive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with special needs. The Q-methodology was applied as a research method for analyzing the subjectivity of the participants. To put it more precisely, first, the Q-population was developed from the individual responses of 140 pre-service teachers from the questions regarding their subjective experiences and ideas on the inclusive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with special needs. Second, 40 Q-samples of 40 Q-populations were selected through the discussion with the professors and teachers in the area of early childhood and special education. And then, 40 pre-service teachers were finally selected as the P-sample of the study. In the Q-methodology analysis, three distinctive types regarding the attitude on the inclusive education were extracted: In Type I, the pre-service teachers agreed to the inclusive education as an worthy teaching practice for social justice and a right of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with special needs. In Type Ⅱ, the pre-service teachers primarily believed that the accountability of inclusive education belonged to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 In Type Ⅲ, the pre-service teachers were a passive support-centered type believing inclusive education could be implemented effectively only if the policy/law and physical preparation were available. Moreover, the types of the attitude on inclusive education were different by their experiences through observing in their practicum classes, volunteering in inclusive classes, or taking special education classes.

      • KCI등재

        창의성 증진 교육,문화 프로그램이 저소득층 아동의 창의성 및 자아존중감과 신체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이순복 ( Soon Bok Lee ),손지향 ( Ji Hyang Son ) 한국아동교육학회 2011 아동교육 Vol.20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창의성 증진 교육·문화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저소득층 아동에게 적용해 보고 아동의 창의성 및 자아존중감, 신체적 자기효능감에 효과가 있는지 검증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경주지역 저소득층 아동 중 창의서 증진 교육·문화프로그램 실험기간동안 결석 없이 활동에 참여한 아동 150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아도의 창의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Torrance(1966, 1990 개정)가 개발한 창의성 검사(Torrance Test of Creative Thinking:TTCT)사용하였다. 아동의 자아존중감을 측정하기 위해 Gurney(1998)가 일반학교 아동들에게 사용한 것을 조원성(1996)이 번안하고 김미선(2009)이 수정한 것을 하였다. 신체적 자기효능감 검사지는 Ryckman 등(1982)에 의해 제작된 것으로 홍선옥(1996)이 한 것을 아동의 언어에 맞게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한 결과 창의성 사전-사후점수의 평균은 -11.42이었으며 t값은 5.64로 유의도 수준 .0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아존중감 사전 사후점수의 평균은 -3.22이었으며 t값은 3.13으로 유의도 수준 .0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신체적 자기효능감 변인에서 사전-사후점수의 평균은 -3.17이었으며 t값은 3.55로 유의도 수준 .0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창의성 증진 교육·문화 프로그램이 저소득층 아동의 창의성, 자아존중감 및 신체적 자기효능감 효과적이었음을 나타낸다. The aim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the community-Based Creativity-Enhancing Program)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n creativity, self-esteem and physical self-efficiency of children from low-income Families. From the 240 children from the low-income family in Gyeongju district who registered this program, 150 children selected as the final participants based on their attendance to the program during the experiment period. To evaluate the creativity of children, TTCT [Torrance Test of Creative Thinking]developed by Torrance[1996, revised in 1990] were used. In order to measure children`s self-esteem, Kim, Miseon-revised test format[2009] of Jowonseong[1996]-adapted Gurney[1998]test were applied. Children`s physical self-efficiency and children1s language level were ecaluated by revising Honseongok[1996]-adapted test and were Ryckman et al,,[1982] test. In the result, the children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fe in creativity, self-esteem and physical self-efficiency of the children of the low-income cla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