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아연구에서 검사자의 고민과 갈등

        손유진(Shon yoojin),손원경(Son wonkyoung)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7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2 No.4

        본 연구는 유아를 대상으로 하는 연구에서 자료수집 방법으로 많이 활용되는 검사 상황에서 검사자의 고민과 갈등에 대해 다루고자 하였다. 검사를 여러 차례 실시한 경험을 가진 연구 참여자를 선정하고 이들이 검사를 하면서 작성한 저널과 두 차례의 심층면담 자료를 바탕으로 내러티브 탐구를 실시하였다. 이들의 이야기는 유아에 대한 미안함, 압박감과 스트레스, 존중에 대한 갈망, 주관적 김사자로서의 나, 기쁨과 보람으로 분석되었다. 검사자도 연구대상자, 연구자와 함께 연구의 한 주체로 나서할 필요성이 강조되었으며, 이를 위해서는 검사자를 배려하고 존중하는 분위기가 조성되어야 하고, 검사자가 지킬 윤리지침이 유아와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상세히 마련되어야 한다. This study deals with the assistant researcher's dilemma and conflict in the research using test methods. Participants joined several research projects as a research assistants, and had many experiences about test operation. Using narrative inquiry through two times in-depth interview and reflective journal writing, the voice of participants were condensed into five subjects as following: Sorry for the children, pressure and stress, longing for respect, I as a subjective tester, delight and worthwhile. We should give consideration to the research assistant in the whole research process, and making ready for the ethics not only for the researcher and participants but also for the research assistant. The research assistant's sense of sovereignty and thoughtful consideration for the research assistant influenced to the research results.

      • KCI등재

        현장개선과 실행연구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및 요구

        손유진(Shon Yoo-Jin),정혜영(Jung Hye-Young),손원경(Son Won-Kyoung)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8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3 No.3

        본 연구는 교사의 실천적 지식 획득과 반성적 사고의 함양을 통한 현장개선의 필요성을 제기한 면서 우선 현장개선과 실행연구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과 요구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총 20문항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개발하고 이를 통하여 유아교사 308명의 의견을 수렴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교사들은 현장개선은 필요하나 필요성에 비해 잘 실현되지 않고 있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현장개선을 위한 교사의 의지와 노력은 필요하나 실제 노력하는 정도는 필요성에 비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주로 책을 찾거나 동료의 조언을 얻어 현장개선을 하지만 단기적으로 이루어지며 현장여건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 가시적 효과 중심의 결과보고에 그친다는 점 등을 문제점으로 인식하였다. 둘째, 응답자의 절반인 51%는 실행연구를 알고 있다고 하였고 대부분의 유아교사들은 실행연구가 필요하나 실현가능성에 대해서는 낮은 확신을 보여주었다. 교사자신의 전문성 신장과 실제의 개선 및 구체적 전략 발견을 위하여 실행연구를 한다고 하였으나 아직은 실행연구를 잘 모르고 교사의 많은 업무와 현장여건의 부족함 등을 어려운 점으로 꼽았다. 교사들은 무엇보다 실행연구가 교사의 목소리를 반영하여 피수 실제의 변화를 야기하길 희망하였고 공동체 기반 연구로 타인과의 공유를 통한 반성의 기회를 필요로 하였으며 교사의 실천의지와 교육현장에 대한 이해와 존중이 우선시 되어야 한다고 하였다. 이에 근거하여 본 연구에서는 교사교육의 한 방법으로 실행연구가 유아교육에 적극 도입될 가치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The major goals of this study were 1) to find out in-service teachers' perception about the improvement of teaching and action 2) to show the demand of in-service teacherson action research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questionnaire was developed composing 24 items, was completed 308 teachers from preschool and kindergarten.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 First, most teachers recognized the necessity of the improvement of teaching practice strongly, and it is needed for teachers have a will and purpose to develop practice. To improve a teaching practice, teachers got information from text or peer teachers, but the effectiveness of teaching improvement was smaller than their effort. Second, A half of respondents as a teacher have known action research, however, they didn't know the way to accomplish anion research well. Most teachers worried about present condition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o do action research, Finally, most teachers wanted to improve their teaching practice by participating in the action research, to carry out action research through teacher's reflection and getting practical knowledge in their classroom, and to establish school environment where teachers' effort and will to improve their teaching be encouraged.

      • KCI등재
      • KCI등재

        유아의 전쟁놀이에 대한 어머니의 인식

        손원경(Son Won-kyoung),손유진(Shon Yoo-Jin)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8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3 No.1

        본 연구는 유아의 전쟁놀이 실태와 이에 대한 어머니 인식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광역시에 위치한 유아의 어머니 214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고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유아의 83.2%(158명)가 전쟁놀이를 하고 있으며 남아(93.3%)가 여아(70.9%)보다 전쟁놀이에 더 많이 참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머니들은 자녀가 재미있어서, 또는 친구와 어울리려고 전쟁놀이를 하고 있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자녀의 전쟁놀이를 허용하는 어머니(18.5%)가 금지하는 어머니(11.6%)보다 많았으며, 교사가 전쟁놀이를 허용해 주기를 바라는 어머니(18.8%)가 금지해주기를 바라는 어머니(14.1%)보다 많았다. 어머니들은 전쟁놀이의 긍정적인 측면을 이해하고 있었으며 예전보다 허용하는 비율도 높아졌다. 이에 유아의 전쟁놀이가 진정한 의미의 놀이가 될 수 있는 방안을 교사와 부모가 적극적으로 도색할 필요가 있다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other's awareness about children's war play. 214 mothers were selected to response to a questionnaire which asks children's war play in three parts, the present condition, mother's awareness and management of war play.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most of children did war play(83.2%) and boys did more than girls. Second, mothers responded to the reason of children's war play children were enjoying their war play and wanted to play with friends. Third, most mothers thought war play was helpful to children's development and they let their children do war play and they wanted to for teachers approve children's war play positively as well. Fourth, mothers worried about watching violent TV programs and playing with violent toys of children. To minimize violence of TV programs and toys, effective ways need to be suggested variously in the future.

      • KCI등재

        현장개선과 실행연구에 대한 유아교사의 기대 및 걱정

        손유진,손원경,정혜영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08 유아교육학논집 Vol.12 No.6

        The major goal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firstly, it was to find out in-service teacher's expectations about the improvement of teaching practices and action research. Secondly, it was to show the fear of in-service teachers on action research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questionnaires werecompleted by 308 teachers from preschool and kindergarten, which was developed composing 16 items and open items about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action research were used to collect and analyze the results. In addition to focus, interviews were used to show in-service teacher's thoughts and attitudes.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ly, most teachers expected the possibility of the improvement of teaching practicesusing action research, and teachers had a will and purpose to develop practices gradually. Secondly, if teachers would use action research to improve teaching practices, it would cause the development of teacher, children, practice and teacher's reflectivity. Finally, most teachers worried about their ability to accomplish action research and the fear of opening their teaching practice. To minimize teacher's fear we should manage the supporting system to help teachers. 본 연구는 현장개선과 실행연구에 대한 유아교사의 기대와 걱정을 알아보았다. 308명의 유아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지와 면담을 사용하여 의견을 조사하고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유아교사들은 실행연구를 수행할 경우 현재보다 실천성, 비판성, 협력성, 현장성 등이 개선될 것이라고 하였다. 실행연구를 통하여 현장개선에 대한 유아교사의 의지가 높아지고 과정이 중시되며 교사가 주체가 되어 적극적 시도를 할 것이라고 하였다. 둘째, 유아교사는 실행연구를 수행할 경우 교사, 유아, 현장의 개선이 일어날 것이고 교사의 주체성과 반성성이 증진될 것이며 여러 가지 지원체제가 마련될 것이라는 기대를 가지고 있었다. 셋째, 그러나 유아교사들은 실행연구에 대한 걱정스러운 마음도 가지고 있었다. 연구자 스스로의 주관적 판단을 신뢰하지 못하고 이로 인해 발생될 잘못된 결과에 대한 두려움도 가지고 있으며 무엇보다 현장의 여건이 충분히 마련되어 있지 않고 시행될 경우 단기성에 머무르고 효과성과 효율성의 실증적 연구가 될 가능성을 걱정하였다. 자신의 현장을 공개하면서 갖게 되는 노출과 공유에 대한 두려움과 자신감 혹은 불신으로 인한 거부의 부정적 감정을 나타내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교사들의 걱정은 진지한 탐구와 성찰 그리고 긍정적 협력관계를 통하여 줄여갈 수 있음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 유아교실에서 젠더 형성에 관한 논의

        손유진 ; 손원경 동의대학교 인문사회연구소 2010 인간과 문화 연구 Vol.16 No.-

        교실에서의 성 정체성 형성은 대단한 복잡하다. 교실에서의 성 정체성 형성을 하나의 원리로 설명하기는 어려우며 다양한 형성과정과 규칙들이 혼재되어 있다고 하였다. 더불어 젠더의 문제는 사회에서 살아가기 위한 투쟁의 과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젠더 형성을 사회적, 역사적, 문화적으로 접근하여 교실에서의 성 정체성 형성의 복잡성과 역동성을 이해하기 위하여 Blaise(2005), Dillabough, J. (2000). Bourdieu, P. (2001). Davies, B. (1993)의 연구들을 살펴보았다. 이들의 연구는 후기구조주의 교육철학의 맥락 속에서 유아의 성 정체성을 고찰한 연구들로서 이를 고찰함으로써 젠더 형성의 권력성, 주관성 등을 살펴보았다. 특히나 대부분 여성 교사로 이루어진 유아교실에서 남아들이 오히려 역차별 되는 가능성에 초점을 두면서 유아교실에서의 남아들의 남성성에 대해서도 함께 논의하였다. It's not easy for the understanding of gender identity which is very complicated and there are many rules and aspects. Children are struggled to get their gender identity. This study is to review of some studies which are Blaise (2005), Dillabough, J. (2000). Bourdieu, P. (2001). Davies, B. (1993) in the post-modern paradigm to get the framework of understanding of gender identity in Kindergarten classroom.

      • KCI등재

        유치원 수준별 교육과정 운영에 관한 연구

        황해익,손원경,손유진 한국유아교육학회 2002 유아교육연구 Vol.22 No.4

        본 연구는 수준별 교육과정이 현장에서 어떻게 운영되고 있는지를 알아보고 앞으로의 바람직한 수준별 교육과정 운영에 도움이 될 수 있는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경력 1년 이상인 396명의 유치원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지 조사와 30명의 유치원 교사를 대상으로 면담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결과 교사들은 유치원 수준별 교육과정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인식하고 있었으나 유아의 발달수준을 구분하거나 많은 수의 개별유아에게 적용하는 문제 등에서 어려움이 갖고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real conditions and desirable ways to implement a differentiated curriculum of kindergarten. In this study, 396 kindergarten teachers participated in a survey and 30 kindergarten teachers were interviewed. The results and significant finding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he implementation of a differentiated curriculum for kindergarteners requires: First, clear criteria to differentiate children's level (activity level or developmental level) Second, administrative support for the mixed-class of kindergarteners. Third, minimal educational content to assist kindergarten teachers. Fourth, an implementation model and instructional methods for a differentiated curriculum of kindergarten. Fifth, a supply of various materials for the differentiated curriculu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