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한약재의 식중독균에 대한 항균효과

        손동화,이석일,정영건 한국위생과학회 2001 한국위생과학회지 Vol.7 No.2

        선별된 한약재의 타 식중독에 대한 항균성을 paper disc젖으로 조사한 결과 황백, 황련, 정향 모두 시험한 대부분의 식중독균에 대해 강한 항균력을 가졌으며, 특히 가장 발생빈도가 높은 Escherichia coli와 Staphylococcus aureus 에 대해 높은 항균력을 보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황백, 황련 및 정향의 추출물은 식중돗균에 대해서 강한 항균력을 보이는 것으로 인정되어 식품보존제로서의 이용 가능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Water extracts of medicinal plants were prepared to investigate antibacterial activity on pathogenic bacteria, Water extracts of phellodendron amurense Ruprcht, Coptis chinensis Franch. and syzygium aromaticum (L.) Merr. et perry were exhibited excellent growth inhibiting activities for the most of tested pathogenic bacteria. The results suggest that extracts of phellodendron amurense Ruprcht, Coptis chinensis Franch. and syzygium aromaticum (L.) Merr. et perry couid play a good role for antimimicrobial agents food.

      • Biotechnology에 의한 우유생산

        손동화,Son, Dong-Hwa 한국식품연구원 1995 食品技術 Vol.8 No.2

        본고는 미국 농무성(USDA.,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1994년 발행 "Food Review"지 (Vol.17, Issue 2)에 게재된 식품의 안전성에 관한 기사를 중심으로 우리나라의 생산자나 소비자도 관심이 높은 우유와 biotecnology에 관한 기사를 요약한 것이다.

      • 두유와 우유의 영양 및 생리활성 성분

        손동화 한국콩연구회 1997 韓國콩硏究會誌 Vol.14 No.1

        두유와 우유의 일반성분중, 수분, 탄수화물, 지방, 단백질의 비율은 비슷하다. 두유에는 유방암의 예방암의 예방효과를 주는 비타민E, B6가 많고, 우유에는 비타민A, B2가 비교적 많으며 철분을 제외한 미네랄이 풍부하다. 탄수화물은, 두유의 경우 변비와 대방암에 유효한 가용성 식이섬유와 콩올리고당에 의한 정장효과가 있으나 과량섭취시 고창의 우려가 있다. 우유의 경우 대부분 유당으로 구성되어 정장 및 갈슘흡수촉진 효과가 있지만 일부 사람에게는 유당불내증을 일으키기도 한다. 지질은, 두유의 경우 전체지방중 고도불포화지방이 반이상을 차지하고 심장병예방과 항암효과를 갖는 -3계열의 -linolenic acid 및 인지질과 토코페롤이 함유되어 있다. 우유의 경우 포화지방이 반이상을 차지하고, 저급지방산이 많으며, 콜레스테롤이 소량 존재하여 두유보다 열등하다. 단백질은, 콩의 경우11S globulin이 주요 구성단백질이며, Bowman-Birk trypsin 저해제는 대장암치료 및 유방암과 구강암의 억제활성을 갖는다. 콩 단백질은 골다공증의 예방, 담석증의 예방, 신기능 이상증상의 개선 등의 효과가 있다. 우유의 경우casein이 가장 많고 인산칼슘과 함께 micelle을 형성하고 있으며, 유청단백질중 lactoferrin은 철 흡수촉진, 항균활성 등이 있다. 두유 및 우유 단백질의 필수 제한아미노산은 두 경우 다methionine이다. 11S globulin과 32kDa항원, Kunitz trypsin저해제 등과 casein, -lactoglobulin 등은 사라마에 따라 각기 콩 및 우유 알레르기의 원인물질로 작용할 수 있다. 단백질 유래의 생리활성 펩타이드중에는 콜레스테롤의 저하, 혈압강하, 면역부활, 혈소판응집저해 등의 활성을 갖는 콩펩타이드가 있으며, 칼슘습수촉진, 간장질환완화, 항출치, 아편상, 항혈전, 혈압강하, 항암, 면역부활 등의 활성을 갖는 우유펩타이드가 있다. 무기질은, 콩의 경우 인의 상당부분이 K, Ca, Mg과의 phytate로 존재한다. 우유의 경우 Ca, Mg, 인산, 구연산은 콜로이드 상태로, 주로 casein micelle에 존재함으로써 이용성을 높인다. 특히 우유는 Ca의 함량 및 흡수율이 매우 높아 골다공증 예방, 혈압강하, 충치예방 등의 효과가 있다. 두유의 식물성분인 genistein, daidzein 등의 isoflavone류는 항산화효과를 갖고 있으며, 유방암과 난소암을 억제하는 등의 효과가 있다. Insitol과 phytate도 항암효과가 있다. Saponin은 비만억제, 혈중콜레스테롤의 감소, 항암, HIV증식억제, 노화방지 등의 작용을 가진다. 그 외에도 콩 성분은 피부암, 방광암, 폐암, 결장암, 췌장암, 식도암, 전립선암, 간암, 위암 등에도 유효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Soy milk and cow's milk are simliar in their nutritional composition of moisture, carbohydrate, lipid, protein. Soy milk contains much vitamin E and B6 which have protective activity of breast cancer, whereas cow's milk contains much vitamin A and B2, ad plenty of minerals except iron. Carbohydrates in soy milk consist of soluble dietary fiber and soy oligosaccharides etc., whereas most carbohydrate in cow's milk is lactose. In soy milk more than half of lipids consist of polyunsaturated fat, and there are also some phospholipid, tocopherol, α-linolenic acid (ω-3) that has activities of anticancer and prevention of cardiovascular disease. Qn the other hand, in cow's milk mare than half of lipids consist of saturated fat, and there are some cholesterol and fatty acids of relatively short chain. In soy milk major proteins are 11S and 7S globulin, and there are Bowman-Birk trypsin inhibitor that has activities against cancer of colon, breast, and mouth: Soy proteins have activities of antiosteoporosis, anticholelithiasis, and antinephropathy. On the other hand; in cow's milk major proteins are caseins and whey proteins; The former and calcium phosphate form micelles in milk. Lactoferrin, one of the latter, has activities of iron absorption and antibiosis etc. Essential amino acid of both soy milk and cow's milk is methionine. Soy proteins such as 11S globulin, 32kDa antigen, and Kunitz trypsin inhibitor, and cow's milk proteins such as casein and -lactoglobulin can be food allergens. Many kinds of potent bioactive peptides can be derived from proteins of soy milk and cow's milk. There are soy peptides that have activities such as anticholesteremia, antihypertension, immunostimulation, antithrombosis, etc., wheras there are peptides of cow's milk that have activities such as calcium sbsorptian, improvement of hepatic function, prevention of dental caries, opioid-like, antithrombosis, antihypertension, anticancer, immunostimulation, etc. Phosphor of soy milk exists in farms of phytate of K, Ca, and Mg. In cow's milk Ca, Mg, phosphate, and citrate exist in colloidal state of casein micelle, which improve their utilization in but. Much amount and high absorptivity of Ca in cow's milk have an effect an the activities of antiasteopoross, antihypertension, prevention of dental caries, etc. A group of phytochemicals of say, isoflavones such as genistein and daidzein have activities of antioxidation, anticancer of breast and ovary. Inositol and phytate have also anticancer activity. Saponin has activities of antiobesity, anticholesteremia, anticancer, antprotiperlation of HIV, and antiaging. Other phytochemicals and/or whole soy have activity against various kinds of cancers.

      • KCI우수등재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감염 취약시설의 진단

        손동화,이예진 대한건축학회 2023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39 No.4

        The COVID-19 virus has undergone several mutations, and the disease has continued to affect people's daily lives since the outbreak inDecember 2019. Korea has been globally acknowledged as an exemplary country for its general response to pandemics, with immediate andeffective quarantine conditions, such as preemptive diagnostic tests and social distancing. However, reflecting on the COVID-19 quarantineexperience over the past two years, there have been problems such as unexpected outbreaks involving large number of confirmed cases. Inaddition to the limitations of the physical environment, vulnerabilities have arisen in the sociocultural relationships of these spaces withquarantine policies and issue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vulnerable infectious space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for thetwo-year period of the outbreak and examine the causes and countermeasures of vulnerabilities based on a sociocultural relationship review. After collecting daily data on COVID-19 infections in Seoul for two years, the number of confirmed cases according to major facilities andsociocultural issues are presented. We attempt to diagnose space vulnerabilities through sociocultural relationships. This study examines theirrelationship by addressing quarantine policies, behavioral and psychological problems, and social issues. Sociocultural factors are reviewedconsidering the government's COVID-19 quarantine policy, media information collection, and keyword analyse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vulnerable COVID-19 spaces are closely related to the density and overlap owing to various programs andspaces in the facility. With respect to sociocultural characteristics, changes from old customs to short-term popular cultures might developunpredictable situations, resulting in greater or fewer confirmed cases than expected. The study concludes that vulnerable COVID-19 spacesare affected by physical characteristics and sociocultural influences. Therefore, social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should be considered in theevent of a similar epidemic. 코로나-19는 2019년 12월 발병 후 3년이 지난 현재까지 일상생활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유행초기 선제적 검사와 사회적 거리두기 등의 모범적인 방역으로 대응하였으나, 지난 3년의 시간을 돌이켜보면 예기치 못한 공간과 상황에서 확진자가 다수 발생하는 방역정책의 한계가 드러났다. 특히, 집단 및 다중이용시설에서 확진자가 다수 발생하여 감염 위험시설에 대한 업종별 준수 사항을 제시하기도 하였으나, 확진자 억제하기 위한 근본적 해결 방안은 제시하지 못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발병 이후 2년간 코로나 상황에서 나타난 추정 감염 공간을 살펴보고 사회문화, 행태적 관계성 검토를 통해 취약점을 진단하고 고찰하고자 한다. 먼저, 2년간의 코로나-19 관련 데이터를 수집하고 주요 시설별 확진자 수 그래프와 주요 키워드를 작성하였다. 다음으로 주요 취약시설에 대한 물리적 공간구조와 사회문화, 행태적 관계성 검토, 마지막으로 문제점 진단 및 개선방안 제시가 이루어진다. 분석 결과, 주요 시설의 공간의 규모나 밀도, 공간의 연결, 체류시간, 동선의 중첩 등 물리적 환경과 시기별 이슈를 알 수 있는 키워드 그리고 시기별 방역정책의 사회문화 환경과 행태와의 관계성을 통해 취약점을 진단하였다.

      • SCOPUSKCI등재

        수입곡물 중의 Aflatoxin B_1 검출을 위한 효소면역측정법의 평가

        손동화,박애란,이인원 한국산업미생물학회 1992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Vol.20 No.3

        곡물 중의 aflatoxin B_1(AFB_1)을 검출하는 방법으로서 효소면역측정법(ELISA)의 활용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ELISA 분석치를 인위적인 오염치 및 자연오염된 시료의 HPLC 분석치와 비교하였다. 분석대상 시료로는 외국산 면실박(19점), 채종박(11점), 대두박(9점), 옥수수(3점) 등의 수입곡물을 사용하였다. 각 곡물별로 작성한 표준곡선으로부터 실제 곡물시료 중 대체로 1∼100ng/g 농도의 AFB_1이 분석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이를 기준으로 하여 표준 AFB_1을 인위적으로 오염시킨 시료를 ELISA로 분석하였을 때, 1 ng/g의 저농도에서는 그 회수율이 높았으나(평균 268%) 3 ng/g 이상의 농도에서는 평균 138%(68∼193%)이었으며, 각 분석치의 상대적인 분산도(C.V.)는 평균 7.0%(0∼22%)로 매우 양호하였다. 한편 자연오염된 시료의 ELISA 분석치를 HPLC 분석치와 비교하였을 때, 10 ng/g 이하의 시료에서는 특히 채종박의 경우 두 분석치 간에 차이가 다소 크게 나타났으나, 그 이상의 오염시료에서는 몇몇 예외를 제외하고는 비교적 근사한 수치를 나타내었다. 특히 오염도가 심각한 면실박의 경우 HPLC분석치에 대한 ELISA 분석치의 비율이 평균 153%로 양호하였다. 따라서 본 효소면역측정법은 10 ng/g 이상의 AFB_1이 오염된 곡물시료의 분석에 실용화가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In order to evaluate an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ELISA) for practical use in detecting aflatoxin B_1(AFB_1) from cereals, we compared AFB_1 concentrations of samples contaminated artificially or naturally that were quantitated by the ELISA with those spiked or quantitated by HPLC. Cotton seed meals(19 items), rape seed meals(11), soybean meals(9), and corns(3) imported from foreign countries were used as sample cereals. The standard curves of each cereal class showed that 1∼100 ng/g of AFB_1 from cereals could be assayed by the ELISA. When artificially contaminated cereals were assayed by ELISA, the average recovery of AFB_1 from samples spiked to 3 ng/g and more was 138%(68∼193%), although that spiked to 1 ng/g was somewhat high(268%). The average C.V. of recovery was 7.O%(O∼22.2%). When naturally contaminated cereals were assayed, the concentrations of AFB_1 below 10 ng/g especially from rape seed meals quantitated by ELISA were much lower than those determined by HPLC. However, the concentrations of 10 ng/g and more from samples, except a few extraordinary samples, quantitated by ELISA were similar to those determined by HPLC, especially in case of cotton seed meals whose average recovery (ELISA/HPLC) was 153%. In conclusion, the ELISA was elucidated such as a practical tool to detect AFB_1 of 10 ng/g and more from cereals.

      • SCOPUSKCI등재

        Aflatoxin B_1의 검출을 위한 효소면역측정법의 개발

        손동화,박애란,서병철,김진철,이인원,남영중,허우덕 한국산업미생물학회 1992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Vol.20 No.2

        효소면역측정법에 의한 aflatoxin B_1(AFB_1)의 정량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항체를 생산 정제하여 분석법을 확립하고 직접법과 간접법(direct/indirect competitive ELISA)의 특성 및 문제점을 비교·검토하였다. Bovine serum albumin(BSA)을 carrier protein으로 한 AFB_1-1-(0-carboxymethyl)oxime-BSA를 토끼에 면역하여 항AFB_1항혈청을 생산하였다. 정량 침강반응에 의하여 항혈청으로부터 항BSA항체를 제거하고 황산암모늄 침전법 및 DEAE-Sephadex A-50 이온교환 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하여 순도 높은 IgG항체를 정제하여 항AFB_l항체로 사용하였다. 이 항체는 2×10^6이상의 높은 항체가를 갖고 있었으며, AEB_1의 유사독소인 G_2, B_2, G_1에 대하여는 3∼34%의 낮은 교차반응성을 보여 특이성이 비교적 높았다. 직접법 및 간접법의 분석조건을 확립한 후, AFB_1 표준품에 대하여 작성한 표준곡선으로부터 각 방법에 의한 AFB_1의 검출농도는 각각 0.2∼20 및 1∼10,000 ng/㎖(ppb)로 나타나, 직접법이 간접법보다 검출농도의 범위는 좁으나 감도가 더 높았다. 직접법은 분석의 안정성, 간편성, 신속성 등의 면에서 간접법보다 실용화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In order to develop an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ELISA) for detecting aflatoxin B_1(AFB_1), we produced and purified antibodies, thereafter established and evaluated methods of direct and indirect competitive ELISA. Anti-AFB_1 antisera, produced by immunizing rabbits with AFB_1-1-(0-carboxymethyl)oxime-bovine serum albumin conjugate(AFB_1-BSA), were removed of anti-BSA antibodies by quantitative precipitation reaction and further purified by ammonium sulfate precipitation and DEAE-Sephadex A-50 ion exchange chromatography. Purified IgG fractions were used as anti-AFB_1 antibodies. The antibodies, whose titer was determined extremely high above 2×10^6, showed low cross-reactivity of 3∼34% against AFB_1 analogues such as G2, B2, and Gl. From the standard curves of direct and indirect competitive ELISA for AFB_1, the detection ranges were found 0.2∼20 and 1∼10,000 ng/㎖(ppb) respectively. In their sensitivity, stability, simplicity, and rapidity, the direct method was more suitable than the indirect method for practical us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