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그림책 그림읽기 활동이 유아의 언어표현력 및 미술성향에 미치는 영향

        손금옥,최미숙 한국유아교육학회 2015 정기학술대회 논문집 Vol.2015 No.1

        본 연구의 목적은 그림책 그림읽기 활동이 유아의 언어표현력과 미술성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G시에 인접한 초등학교 병설유치원의 만 5세 유아 40명으로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을 각각 20명씩 선정하였다. 선행연구 및 문헌 탐색을 통해 그림읽기 내용요소를 추출하고 그림책 그림읽기 활동을 구성한 후, 실험집단에는 그림책 그림읽기 활동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비교집단에는 일반적인 내용중심의 그림책 읽기 활동이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실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Snow(1989)의 VQ쓰기 검사도구를 바탕으로 정남미(1996), 이지연(1999)이 수정한 언어표현력 검사와 윤현숙(2005)이 재구성한 미술성향 검사를 실시하였고, 자료분석은 SPSS WIN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ANCOVA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그림책 그림읽기 활동은 유아의 언어표현력 총점과 하위 영역인 문장 수, 문장길이를 향상시켰으며, 유아의 미술성향 총점과 하위 영역인 미술구성능력, 미술표현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그림책 그림읽기 활동이 유아교육 현장에서 그림책 읽기의 새로운 교수.점 학습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

        다문화가정 유아의 또래관계에 어머니의 양육불안과 아버지의 양육참여가 미치는 영향: 모-자녀 관계와 유아 놀이성의 직렬다중매개효과

        손금옥,김민진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22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23 No.3

        To support infa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to grow into healthy members of our society,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in more detail the factors affecting peer relationships that have an influence on social development. In this study, 209 pairs of multicultural families with children aged 3-5 years and parents enrolled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were examined for the direct effect of parenting characteristics and infant characteristics on infant peer relationships. The results show that parenting anxiety of mother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participation of the fathers’ in parenting did not directly affect the children’s peer relationship, and only double mediation of the mother-child relationship and the children’s playfulness had an effect. This result is different from studies in which parent factors such as mothers’ parenting anxiety and fathers’ parenting participation have been mainly suggested as factors affecting the peer relationship of infa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 KCI등재

        유리: 상처에서 창조적 삶으로

        손금옥(Son, Kum Ok) 한국임상모래놀이치료학회 2020 상징과 모래놀이치료 Vol.11 No.2

        Glass is a material with transparency and sparkling characteristics and is used in various ways in life. Glass is born from sand. It is glass that sand is reborn as an artwork through an alchemy change process. The sand is calcified by strong heat, and it is re-created as a new work of art, glass, experiencing sublimation, corruption and separation through melting and coagulation.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journey of female clients in their late 40s to heal their trauma and find creativity, as in the process of alchemy change that becomes glass in sand.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ymbolism of glass, which shows the process of the client recognizing and healing his inner trauma through sand play therapy and moving toward creative life, from an analytical psychological point of view.

      • KCI등재

        국내외 아동학대 관련법과 처리절차에 반영된 아동 정서학대 및 방임의 정의

        이세화,장미경,손금옥,이여름 대한아동복지학회 2020 아동복지연구 Vol.18 No.1

        This study closely examines how child emotional abuse and neglect are defined not only by international regulations but also in South Korea, the United Kingdom, and the United States. Those of the United Kingdom influenced Korean policies on children, and the child abuse policies of the United States were the prime contributor to the establishment of child abuse prevention policies in Korea. This study seeks to explore how child emotional abuse and neglect are punished and dealt with in those two aforementioned countries and reflected in the specific guidelines for clarifying the definition and understanding of child emotional abuse and neglect in Korea. The research findings show that child emotional abuse and neglect are synonymous with failure in providing responsible care and any act that undermines a child’s healthy emotional development, including infringement of children’s rights and mental exploitation. Thus there is an obvious need for discussions at a social and policy level, with consideration of the following. Laws and regulations regarding the abolishment of child corporal punishment need urgent review, and we must analyze standards of emotional abuse and neglect to draw obvious lines between disciplinary behavior and illegal, abusive behavior towards children. Also, we must state a uniform understanding of definitions and types of emotional abuse and neglect in the most specific ways possible. We must expand the definition of a perpetrator of child abuse not to the parents but to the actual perpetrator, and we must thoroughly study the definitions to avoid legal ambiguity. The subject to legal protection also needs expansion, so that the law requires anyone who provides childcare to report emotional abuse and neglect. .

      • KCI등재

        아버지의 부모놀이치료 프로그램 참여 효과

        장미경,권영주,손금옥 한국아동심리치료학회 2008 한국아동심리치료학회지 Vol.3 No.1

        현대의 부모들은 자녀양육에 대한 부모의 책임이 증가되고, 부모역할에 대한 요구 수준 또한 높아져 감에 따라 그 어느 때보다 부모들이 갖게 되는 자녀양육스트레스가 높아지고 있다(김기현, 2000; 이정순, 2003; Lamb et al., 2004). 가족제도의 변화로 부모-자녀로 위주의 핵가족이 보편화 되었고, 때문에 부모역할모델이 될 만한 성인이 많지 않은 가정에서 자란 자녀들이 이제 부모가 되는 세대가 되어 부모역할 수행에 어려움을 갖게 된 것 역시 양육스트레스 증가의 원인으로 들 수 있으며(유안진, 김연진, 1992; 장미경, 2004), 맞벌이 가정의 증가, 여성의 사회진출로 인한 자녀양육부담, 자녀수의 감소와 자녀에 대한 과잉기대 등도 부모들에게 많은 스트레스를 주고 있다. 또한 부모들의 역할 수행에 대한 요구에 부응하여 쏟아져 나오고 있는 각종 정보의 홍수는 오히려 부모들에게 당혹감과 혼란을 더욱 가중시키고 있으며(장미경 외, 2007), 이러한 부모들의 혼란은 자녀들의 건강한 성장과 발달에 영향을 미치고, 이런 양육을 경험하며 자란 자녀들의 문제행동 증가, 부정적인 부모-자녀관계 형성 등을 발생시킬 수 있게 된다(Maccoby & Martin, 1983; Maccoby & Mullis, 1990).

      • KCI등재

        아동의 행동문제, 부모의 양육태도 및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놀이치료의 효과

        오현숙 ( Hyun Suk Oh ),손금옥 ( Kum Ok Son ),장미경 ( Mi Kyung Jang ) 대한아동복지학회 2005 아동복지연구 Vol.3 No.2

        아동기 행동문제의 발생률이 증가하고 있고 아동기의 행동문제는 그 이후의 발달에도 지속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아동에게 나타나는 행동문제와 부모의 양육스트레스를 개선시키는데 놀이치료가 효과를 지님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놀이치료는 아동을 대상으로 이루어지지만 부모 상담을 통해 아동의 행동문제 뿐 아니라 부모의 양육태도나 가정의 분위기, 가족관계 등에 관여하게 되기 때문에 부모에 대해서도 영향을 미치게 된다. 본 연구는 다른 치료를 병행하지 않고 놀이치료만을 받은 아동(5-11세)과 부모 17쌍을 대상으로 하여 놀이치료 실시 전 사전검사와 놀이치료 종료 후 사후 검사를 실시하여 결과를 얻었다. 얻어진 사전, 사후검사 자료를 분석하여 놀이치료의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얻어진 결과는 놀이치료가 아동의 행동문제와 부모의 양육태도와 양육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첫째, 아동의 행동문제가 하위 모든 영역, 즉 위축행동과 신체증상, 우울.불안, 과잉행동, 사회적미성숙, 비행, 공격성과 사회성숙도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며 아동의 행동문제가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놀이치료가 부모의 양육태도의 거부, 지배, 보호, 복종, 모순.불일치의 하위유형에서 모두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며 개선된 것으로 변화하였다. 셋째, 부모가 인식하는 양육스트레스 역시 놀이치료 후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놀이치료 실시 전보다 현저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focused on the effects of play therapy on children`s behavioral problems, parenting style and parenting stress. Seventeen mothers and their children(ages 5-11)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children did not experience any therapy except play therapy during research period. The research method was longitudinal and pre and post tests were administered to verify the effects of play therapy. Results indicated a strong effects of play therapy on children`s behavioral problems, parenting style and stress. Children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in all of behavioral problems and their mothers reported that their parenting styles were positively changed. Also, the mothers perceived that their parenting stress was decreased.

      • KCI등재

        교사 - 아동관계증진 프로그램이 예비교사의 공감 및 교육신념에 미치는 영향

        성영혜(Young Hye Sung),손금옥(Kum Ok Son) 한국아동가족복지학회 2000 한국가족복지학 Vol.5 No.2

        This study utilized Filial Therapy(or Kinder Therapy) as a method of intervention with teachers and children relationship and training of student-teachers. This study was conducted by the prior & post controlled group, and the experimental group got divided into 2(two) due to the program hours to be proceeded. Each group was 8 persons for A, 5 persons for B of experimental groups of student- teachers` and each 13 persons for experimental and controlled group each by random sample. It may be summarized as follows; 1. In a Teacher-Child Relationship Enhancement Program, the student teachers in experimental group appeared to be significant difference as compared with the empathy ability of the teachers to the controlled group. Also, by the qualitative analysis of student-teachers` report, when the student-teachers` took part in the program, it appears that the student-teachers` ability to reflect the feelings of child has been improved and more understanding ability on children as well than before participation in program. 2. In a preceding studies via existing educational practice, it appeared that the behavioral professional beliefs showed only unequal difference from others, on the contrary, in a Teacher-Child Relationship Enhancement Program appeared that the mature and interactive professional beliefs has been increased while the behavioral professional beliefs has been reduced.

      • KCI등재
      • KCI등재

        농촌지역 청소년 여가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여가활동 참여실태 및 선호도 조사 연구

        김백연(Kim, baekyeon),문병환(Mun, Byunghwan),손금옥(Son Kumo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24

        본 연구는 농촌지역 청소년 여가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여가활동 참여실태 및 선호도를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은 전국 농촌지역 시군 청소년 664명이며, 자료수집은 2020년 6월 1일부터 8월 21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22.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으며, 만족도와 프로그램 유형은 χ²검증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로는 첫째, 농촌지역 청소년은 기분 전환과 취미생활을 위해 여가활동에 참여하는 반면 미참여 청소년의 경우는 여가 프로그램이 부족해 참여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가장 많이 참여하고 있는 여가활동은 게임활동과 운동이며, 농촌지역 시군 간에 만족도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여가활동 프로그램 선호 유형은 스포츠 활동, 여행활동, 취미오락활동 유형을 선호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농촌지역 청소년의 여가활동 참여는 1회 참여시간은 1시간~2시간미만이며, 월 3회를 가장 선호하였다. 지출비용은 1~2만원미만과 주말과 공휴일에 친구와 함께 1주일 단위 새로운 프로그램 운영을 선호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여가활동 참여를 통해 얻고자 하는 핵심가치는 대인관계 확대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농촌지역 청소년 여가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필요한 기초 자료로 제공하는데 가치가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aims to find out present condition of participation in leisure time activities to develop leisure programs for youth residing in rural areas and preference. Participants in the study are six hundred and sixty four adolescents residing in rural and urban areas in South Korea. Frequency and percentage were calculated for collected data. χ² verification analysis was conducted for satisfaction level and program types.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adolescents residing in rural areas participate in leisure activities for relaxation and pastime while those who did not participate in the activities did so due to the lack of programs. Leisure activities which they participated most are game and exercise. There is a difference in satisfaction level between adolescents residing in rural areas and those in urban areas. Secondly, in case of types preferred by participants with regard to leisure activity programs, sports activities, travel activities and pastime activities are preferred. Thirdly, for participation in leisure activities by adolescents residing in rural areas, it took one to two hours for them to participate in leisure activity. Frequency which they prefer most is three times a month. Expense which they prefer most is ten thousand to two thousand. It was found that they prefer a new program which runs by the week including weekend and holiday. Core value which they want to acquire by participating in leisure activities most is increase in interpersonal relation. Findings of the study imply that they are valuable as basic data to develop leisure programs for adolesc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