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아기 어머니의 양육목표 및 양육피드백이 양육플로우 경험을 매개로 양육 효능감과 양육 만족에 미치는 영향

        성지현,백지희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013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Vol.26 No.1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amine roles of parenting goals and feedback as conditions for flow experiences in parenting, investigate the effects of mothers’ flow experiences on parenting self-efficacy and satisfaction, and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flow experiences. Data were collected from 651 mothers with children aged 3 to 5 years. Mothers completed self-report questionnaires consisting of four scales. Path analyses showed that both parenting goals and feedback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mothers’ flow experiences. Parenting goals and feedback were also directly associated with parenting self-efficacy. Parenting goals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parenting satisfaction; however, parenting feedback did not have a direct effect on satisfaction. In the association among parenting goals, feedback, efficacy, and satisfaction, flow experiences mediated the relationships through their indirect effects on parenting efficacy and satisfaction. These findings confirm that parenting goals and feedback are conditions for flow experience in parenting. Parents may be able to develop or increase the number of their flow experiences, which can enhance their self-efficacy and satisfaction in daily parenting, by fulfilling the conditions associated with these experiences. 본 연구는 부모의 양육이 긍정적인 경험이 되기 위한 방안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플로우(flow) 이론을 바탕으로 양육에서 부모가 가지는 양육목표와 양육피드백이 양육플로우 경험의 조건이 되는가를 확인하고 양육플로우 경험은 양육 효능감과 양육 만족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를 살펴보았다. 또한 양육플로우 경험이 변인 간을 매개하는 모형을 가정하고 경로를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 및 경기도에 거주하고 만 3-5세 유아를 둔 어머니 651명이었다. 연구에 사용된 측정도구는 1)양육목표 및 양육피드백, 2)양육플로우 경험, 3)양육 효능감, 4)양육 만족 척도로 총 4가지의 자기보고식 질문지로 수집된 자료는 연구 문제에 따라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설정된 연구모형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양육목표, 양육피드백은 양육플로우 경험을 설명하는 예측변인이었다. 둘째, 양육목표는 양육 효능감과 양육 만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변인이었으며, 양육피드백은 양육 효능감에만 직접적인 영향을 보였다. 셋째, 양육플로우 경험은 양육 효능감과 양육 만족에 유의미한 영향을 나타냈다. 넷째, 양육목표와 양육피드백은 양육플로우 경험을 매개로 하여 양육 효능감과 역할 만족도에도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하여 양육에서 플로우 경험이 가지는 중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양육목표와 양육피드백이 양육플로우 경험을 형성하는 조건으로 작용한다는 점에서 부모 스스로가 능동적으로 양육에서 플로우를 느낄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의의를 가진다.

      • KCI등재

        유아교육기관 안전환경 평가지표 개발 연구

        성지현,강은진,구자연,황지원,박지현,배윤아,김하진 한국유아교육학회 2023 유아교육연구 Vol.43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evaluation indicators that can be used to review and improve the environment of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for the prospect of preventing child abuse and safety accidents. A case study was conducted for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in the metropolitan area after drafting the safety environment evaluation indicators for child safety environment. The results of the case study were discussed by researchers and expert advice. The final evaluation indicators consisted of 169 items, in categories of ‘basic information and current status of the institution’, ‘recognition of each space of the institution’, ‘evaluation index for child safety environment by space’ and ‘institutional safety and facilities and management of safety education’. This evaluation indicator can evaluate institutional spaces in terms of connectivity of space, safety of internal space, reduction in stress, and safety management.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ignificant in that they can suggest considerations and policies to prevent child abuse and safety accidents in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본 연구는 아동학대 및 안전사고 예방의 관점에서 유치원과 어린이집의 환경 검토와 개선에 활용 가능한 환경지표를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유아교육기관 안전환경 평가 지표안을 구성한 후 수도권 소재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방문하여 사례조사를 실시하였고 사례 조사 결과에 대하여 연구진 논의 및 전문가 자문을 거쳤다. 최종 도출된 평가지표는 총 169문 항으로 ‘기관의 기본 정보 및 현황’, ‘기관의 공간별 인식’, ‘기관의 각 실내·외 공간별 아동안전 환경 평가지표’, ‘기관 안전 및 시설, 교육 관리’의 4가지 영역으로 구성하였다. 기관의 공간을 연결성, 안전성, 스트레스 저감, 안전관리 차원에서 평정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유치원과 어린 이집의 아동학대와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관리와 효율적 방안 및 정책 마련을 위해 고려해야 할 사항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 KCI등재

        強い意志を表す「してみせる」について

        成知炫 한국일본언어문화학회 2016 일본언어문화 Vol.34 No.-

        This paper presents lexical, morphological, syntactic and contextual factors that allow “te-miseru” to express the strong will of the speaker. First, regarding the lexical factor, we have showed that “te-miseru” expresses the strong will of the speaker when it combines with the verb implying (i) the realization of a goal or a dream as in “win” or “succeed”, (ii) the change in societal position as in “become a teacher”, (iii) the change in physiological status as in “heal” or “recover”, and (iv) the activity related to creation as in “make” or “write”. Importantly, the verbs preceding “te-miseru” express the actions that the speaker is proud of; therefore, “te-miseru” is rarely used with the verbs expressing undesirable actions to convey the meaning explained above. Secondly, we have morphologically compared “te-miseru” and “suru”, which can similarly convey the will of the speaker. In addition, “te-miseru” can take the form of “te miseyo” and “te miseteyaru” as well as “te-miseruyo” and “te-miseru.” Thirdly, we have showed that the sentence adopting te-miseru to express the strong will of the speaker has the following structure: 「Xガ(ga) Yニ(ni)[Xガ(ga)・・・V]テミセル(te-miseru)」. When “te-miseru” is used to convey the meaning of demonstration or showing off, Y is specified. However, when it is used to express the strong will of the speaker, Y can be a specific group of people or unspecified people. Finally, we have showed that “te-miseru” is accompanied by an adverb expressing the strong will of the speaker to realize her goal or dream.

      • KCI등재

        발달에 적합한 유아기 컴퓨팅 교육의 방향에 대한 탐색

        성지현,이지영,박지영 한국유아교육학회 2019 유아교육연구 Vol.39 No.5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concept of computational thinking and the goals, contents, methods, and evaluations of developmentally appropriate computing education, and to explore the applicability to early childhood education based on domestic and foreign literature. The concept of early childhood computational thinking is to think analytically about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nd problems, to reconstruct or try to solve problems, to fix them, and to share their solutions and the results. Considering children’s developmental level and developmentally appropriat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tangible computing education' or 'unplugged computing education' may be appropriate, and this method is implemented primarily in domestic and foreign countries. Through these early-stage computing education, computing-related concepts and technologies can be taught, along with cognitive thinking skills such as executive function, meta cognition, problem solving, reasoning ability, and positive social and emotional experiences such as competence, confidence, cooperation, consideration, and emotional support. The evaluation of children’s computing education can be authentic when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ssessments are combined, and the positive social and emotional attitudes and skills that children gain in the course of this activity should also be evaluated. Based on this, this study provides implications for the government policies, academia, and field to help develop and support computational thinking in early childhood by comparing domestic and overseas status. 본 연구는 국내·외 문헌들을 바탕으로 컴퓨팅 사고력에 대한 개념과 유아기 발달에 적합한 컴퓨팅 교육의 목표와 내용, 방법, 평가에 대해 알아보고, 유아교육 현장에의 적용 가능성을 탐색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유아기 컴퓨팅 사고력의 개념은 주변 환경과 문제들을 분석적으로 사고하고,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재구성하거나 시도해보고, 수정해보고, 그 해결책과 결과를 공유할 수 있는 능력이라 할 수 있다. 유아의 발달적 수준과 발달에 적합한 교수학습방법을 고려했을 때 ‘체험할 수 있는 컴퓨팅 교육’ 또는 ‘언플러그드 컴퓨팅 교육’이 적절한 형태라 할 수 있으며, 이는 국내·외에서 주로 시행되고 있는 방법이다. 다양한 놀이유형에 적용하고, 미술, 음악, 언어 등 다른 영역의 활동까지 통합하여 컴퓨팅 교육을 제공한다면 컴퓨팅 관련 개념과 기술뿐만 아니라 실행기능, 상위인지, 문제해결, 추론 능력과 같은 인지적 사고력과 유능감, 자신감, 협동, 배려, 정서적 지지와 같은 긍정적인 사회·정서적 경험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유아의 컴퓨팅 교육의 평가는 양적·질적인 평가가 같이 병행될 때 진정한 평가가 가능하며, 활동 과정에서 유아가 얻는 긍정적 사회·정서적 태도와 기술도 함께 평가되어야 한다. 이를 바탕으로 국·내외의 현황을 비교하며 유아기 컴퓨팅 사고력 발달을 돕기 위한 정책과 학계, 현장에의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 KCI등재

        Association of Immune Status with Recurrent Anal Condylomata in Human Immunodeficiency Virus-Positive Patients

        성지현,Eun Jung Ahn,오흥권,Sei Hyeog Park 대한대장항문학회 2012 Annals of Coloproctolgy Vol.28 No.6

        Purpose: An anal condyloma is a proliferative disease of the genital epithelium caused by the human papillomavirus. This condition is most commonly seen in male homosexuals and is frequently recurrent. Some reports have suggested that immunosuppression is a risk factor for recurrence of a condyloma. Thus, we investigated the risk factors for a recurrent anal condyloma in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HIV)-positive patients. Methods: We retrospectively analyzed 85 consecutive patients who were diagnosed with and underwent surgery for an anal condyloma from January 2007 to December 2011. Outcomes were analyzed based clinical and immunologic data. Results: Recurrent anal condylomata were found in 25 patients (29.4%). Ten cases (40.0%) were within postoperative 3months. At postoperative 6 months, the CD4 lymphocyte count in the recurrent group was lower than it was in the nonrecurrent group (P = 0.023). Conclusion: CD4-mediated immunosuppression is a risk factor for recurrent anal condylomata in HIV-positive patients.

      • KCI등재

        한국판 양육 효능감 척도(K-EGSCP)의 타당화 연구: 영역별 양육 효능감과 관련 인지구조 척도

        성지현,백지희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011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Vol.24 No.4

        본 연구는 한국판 양육 효능감 척도(K-EGSCP)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여 척도의 국내 적용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영역별 양육 효능감과 효능감에 관련한 인지구조를 측정하기 위해 개발된 Meunier와 Roskam(2009)의 양육 효능감 척도(EGSCP) 37개 문항을 번안․수정하여 예비조사를 실시하고 3-7세의 유아를 자녀로 둔 어머니 202명을 대상으로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K-EGSCP는 애정, 일상체계 조직, 훈육, 놀이, 교육, 부모의 책임, 결과 통제의 총 29개 항목, 7개 요인구조가 탐색되었으며, 영역별 양육 효능감과 관련 인지구조의 2차 2개 요인으로도 분석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탐색된 요인구조를 바탕으로 1-7세 영유아의 어머니 423명을 대상으로 하여 확인적 요인분석을 시행한 결과, 2차 2개 요인과 1차 7개 요인의 위계적 연구모형이 적합도 지수를 바탕으로 양호한 모델임을 검증하였다. 또한 척도 전체와 각각의 하위요인의 내적 합치도가 적절한 신뢰도를 보였으며, 일반적 양육 효능감과 통제력을 측정하는 준거 관련 척도와의 관계 분석에서도 요인 간의 의미 있는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K-EGSCP는 1세에서 7세 사이의 영유아를 가진 어머니의 영역별 양육 효능감과 관련 인지구조를 측정하기 위한 도구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Echelle Globale du Sentiment de Competence Parentale(EGSCP) scale developed by Meunier and Roskam(2009) to validate its use in Korea. EGSCP assessing five domain-specific self-efficacy beliefs and related cognitive constructs of parents was double-translated and modified to fit Korean subjects(K-EGSCP). The study consisted of two groups of subjects for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es respectively: two hundreds and two mothers of young children in range of three to seven-year-olds and four hundreds and twenty three mothers of toddlers and young children in range of one to seven years of age. Twenty nine items and seven factors including Nurturance, Instrumental Care, Discipline, Play, Teaching, Parental Responsibility, and Parental Control of Outcomes appeared in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s a result of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 hierarchical model consisting of two second-level-factors and seven first–level-factors confirmed its validity. The total factors of K-EGSCP demonstrated proper internal consistency and clear patterns of convergent and discriminant validity. With existing domain-general and task-specific measures of parenting efficacy, the Korean version of the EGSCP adds domain-specific aspects of self-efficacy in parenting and includes other related cognitive construct.

      • KCI등재

        수학영재의 집단창의성 발현에서 나타나는 산출 및 과정 손실 분석

        성지현,이종희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 2017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Vol.21 No.3

        본 연구는 수학영재의 집단창의성 발현 과정과 산출을 분석하여 어떤 특성이 있는지를 확인하고, 집단창의성 발현을 방해하는 과정 손실의 원인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수학영재학급 수업에 집단창의성 발현을 위한 단계를 적용하였고, 수 체계의 성질과 모듈로 산술을 주제로 하여 수업을 진행하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학생들이 보인 반응과 산출의 사례를 질적으로 분석하는 사례연구를 진행하였고, 집단창의성 발현 과정과 산출, 과정 손실의 원인에 대한 선행연구 내용을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집단의 과정에서 창의적 시너지가 나타날 수 있는 상보적, 발생, 긴장 상태와 기여의 결합이 나타나는 방식인 수집, 연결, 선택, 변형, 집단의 창의적 산출의 특성인 집단 유창성, 집단 융통성, 집단 독창성, 집단 정교성이 관련된 것끼리 이어질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집단 수준의 창의적 시너지가 나타날 수 있는 상보적, 발생, 긴장 상태에서 과정 손실의 인지적 원인과 사회・동기적 원인이 나타나는 경우를 확인하였다. 분석 결과를 통해 집단창의성 발현을 위한 수학영재학급 수업 설계 시에 고려해야 할 점에 대해 제안하였다. Although mathematically gifted students have potential and creative productivity, they might not manifest group level creative synergy. To manifest group creativity among them, the manifestation process should be facilitated and the process losses should be minimiz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looking for the method to facilitate the manifestation process of group creativity and minimize the process losses of it. To do this, a case study method was adopted. The products and process losses of the manifestation process of group creativity was analysed. In conclusion, the processes and products of group creativity were concretized and the process losses were analysed by social/motivational and cognitive factors. In addition, the justification and agreement were necessary for the manifestation process of group creativity among mathematically gifted stud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