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생명의 윤리적 의미에 대한 연구: 몰트만과 함석헌을 중심으로

        성신형 ( Seong Shin Hyung ) 한국기독교사회윤리학회 2019 기독교사회윤리 Vol.44 No.-

        본 연구는 4차산업 혁명 시대의 인간 기술에 대한 신학적 윤리적 성찰을 위해서 기획되었다. 인간은 사이보그, 로봇, 인공지능, 바이오 나노 기술, 복제 등의 기술들이 발전함에 따라서 인간은 이러한 기술들을 두려움과 경이로움으로 받아들이고 있다. 과연 이러한 기술들은 인간에게 어떤 미래를 가져다 줄 것인가? 본 연구는 이러한 질문에 대한 신학적이고 윤리적인 대답을 찾기 위해서 몰트만과 함석헌의 생명 사상에 주목하고 있다. 몰트만은 그의 고통의 신학, 희망의 신학, 창조의 질서, 성령과 종말의 신학 전반에 걸쳐서 생명의 중요성에 대해서 강조하고 있다. 또한 함석헌은 한국 역사에 주목하면서 고통받는 씨알로서의 민중과 그 생명력, 그리고 생명의 완성과 하나됨에 주목하고 있다. 이와 같이 두사상가는 삶을 살리는 신학과 윤리를 발전시켜 나가고 있다. This research delves into the ethical meaning of life in order to deal with the issue of technology such as cyborg, robot, artificial intelligence(AI), bio-nano technology, and cloning. Technology overwhelms humanity, making it afraid of it and not free of the power of it. Unless technology exists for the convenience of humanity as it supports life, it might become a tool for the power of death. Humanity has to be aware of the theological and philosophical voices that value life. For this, this research examines two religious thinkers, Jurgen Moltmann and Suk-hun Ham, who experienced sufferings and developed their unique thoughts of life. Moltmann’s works have the consistency of life in that life’ is in God’s suffering, resurrection, creation, immanence, and coming. Suk-hun Ham derives his life thought from the sufferings of Koreans, and he develops his consistent voice for life is not limited to the narrow area of human beings, but it spreads out to the world for the wholeness and oneness for all creatures. Thus, both thinkers argued that giving-life is the main ethical goal for humanity.

      • 3.1운동을 바라본 선교사들의 세 가지 시선

        성신형(Seong, ShinHyung) 혜암신학연구소 2019 신학과교회 Vol.11 No.-

        본 연구의 목표는 3.1운동에 대한 선교사들의 시선들을 고찰하는 것이다. 많은 선교사들이 3.1운동에 직 ‧ 간접적으로 참여하면서 3.1운동 기간 동안에 한국에서 벌어진 일들을 소상히 다루고 있다. 또한 그들이할 수 있는 노력을 다해서 일본을 설득하기도 하고, 또 국제 사회에 당시의 상황을 알렸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노력들을 세 명의 선교사의 시선으로 바라보았다. 3.1운동에 직접 참여하면서 3.1운동의 실상을 알린 스코필드 선교사, 한국 역사에 대한 깊은 이해를 바탕으로 3.1운동을 바라본 게일 선교사 그리고 여성의 시각으로 3.1운동의 세세한 내용을 일기로 알린 노블 선교사가 바로 그들이다. 이들은 같은 사건을 각기 다른 시각으로 바라보면서 3.1운동에 대해서 이야기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이야기들을 직접 들여다봄으로 당시 3.1운동을 대했던 선교사들의 태도와 기여들을 살펴보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issionaries views on the Samil Movement. Many missionaries have been directly or indirectly involved in the Samil Movement, dealing with what has happened in Korea on 1919. They also tried to persuade Japan society and to inform the situation at that time to the international community. This study looks at these efforts with the eyes of three missionaries: Schofield, Gale and Noble. Scofield directly participated in the Samil Movement and informed the truth of the Samil Movement to the world; Gale, who had a deep knowledge of Korean history, tried to interpret its meaning; and Noble informed the details of the Samil Movement as a woman missionary. As they experienced the same historical event, they reported this event from different perspectives. Thus, this study examines the attitudes and contributions of missionaries who were involved in the Samil movement.

      • KCI등재

        포스트휴먼 시대를 위한 사회정의론: 임마누엘 레비나스의 정의론을 중심으로

        성신형 ( Seong Shin-hyung ) 한국윤리학회(구 한국국민윤리학회) 2018 倫理硏究 Vol.118 No.1

        본 연구는 포스트휴먼 시대에 직면하게 될 사회정의의 문제에 대해서 살피면서, 그 대답을 찾기 위해서 임마누엘 레비나스의 정의론을 살펴보고 있다. 이를 위 해서 먼저 포스트휴먼(트랜스휴먼), 트랜스휴머니즘과 포스트휴머니즘의 쟁점들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포스트휴먼이란 포스트휴먼 시대에 인간과 공존하게 될 새로운 존재를 말하는 것이고, 트랜스휴머니즘은 이러한 존재들이 인간에게 가져다 줄 유익에 대해서 낙관론적인 시각으로 바라보는 관점이고, 포스트휴머니즘은 포스트휴먼 시대의 철학적인 과제들에 대해서 다루는 것이다. 이어서 포스트휴먼 시대의 직면하게 될 사회 정의의 문제를 조명해보았다. 사회제도와 법적인 차원에서제기될 ‘로봇권(포스트휴먼권)’에 대해서 살펴보았으며, 아울러서 포스트휴먼과 인 간이 공존하는 과정에서 벌어지게 될 사회정의의 문제들도 고찰하였다. 끝으로 포스트휴먼 시대의 정의의 문제에 대해서 레비나스의 정의론의 관점에서 접근을 시 도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타자와의 관계성에 기초한 윤리적 주체성을 바탕으로 만들어내는 정의로운 공동체가 포스트휴먼 시대의 새로운 존재(인간과 포스트휴먼을 모두 포함)가 살아갈 정의로운 사회를 지향할 수 있는 하나의 길이 될 수 있음을 논증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the issue of social justice that humanity will face in the post-human era and tries to find appropriate answers based on Immanuel Levinas' justice theory. First, this study explains several terms of post-humanity such as post-human, trans-human, trans-humanism and post-humanism. Second, this research highlights the issue of social justice as one of the challenges that the post-human era will face as it examines the possibility of raising the "robot rights" (or, post-human rights), and also figures out the issues of social justice that will happen in the process of coexistence of post-human and human. Finally, in order to deal with these issues, this paper approaches Levinas in terms of the theory of justice as it focuses on the meaning of human relationship and a community which is hospitable of others including both human and post-human for a just post-human era.

      • KCI등재

        함일돈(Floyd E. Hamilton)선교사의 교육선교와 복음주의신학

        성신형 ( Shin Hyung Seong ) 한국복음주의선교신학회 2016 복음과 선교 Vol.33 No.-

        본 논문은 함일돈 선교사의 교육선교와 복음주의신학사상을 살펴보고 그의 사역과 신학사상이 오늘 우리들에게 주는 교훈을 살펴보기 위해서 쓰여졌다. 함일돈은 일제시대를 거쳐서 해방 후 격동의 한국의 역사와 함께 하면서 한국 보수정통주의 신학의 토대를 마련하고자 노력했던 선교사였다. 그는 미국북장로교 선교의 중심지였던 평양에서 선교사역을 하면서 숭실과 평양신학교에서 학생들을 가르쳤다. 일제하 극심했던 탄압과 신사참배의 요구를 거부하고, 신사참배 반대 운동에 참여해서 일제로부터 본국으로 추방당했던 선교사중에 한 사람이었다. 해방이후 한국에 돌아와서 한국 보수신학의 중심지 중에 하나인 고려신학교에서 교편을 잡으면서 보수신학에 기초를 놓기 위해서 애를 많이 썼다. 그의 신학은 칼빈주의에 입각한 정통보수주의였다. 그러나 그는 오늘날 보수근본주의 신학이 가지고 있는 맹점인 막혀있는 보수가 아니라, 건강한 다른 신앙의 길도 인정하지만, 자신의 신학과 신앙을 지키기 위해서 칼빈주의에 입각한 보수주의 신앙을 지켰던 사람이었다. 함일돈의 이와 같은 사역과 신학의 발자취를 살펴봄으로, 오늘을 살아가는 신앙인들에게 신앙의 의미가 무엇이며 선교와 교회의 길이 무엇인지 생각할 수 있도록 해 주는 것이 이 논문의 가장 큰 의의이다. This research paper delves into Ham-il-don(Floyd E. Hamil ton)’s theological ideas and his missionary works in order to demonstrate his influence to Korea. Ham-il-don came first to Korea during the period of Japanese colonization and he finished his missionary works until the end of 1950’s as he had tried to build the foundation of Korean conservative orthodox protestant theology. He taught at Soong-sil and Pyungyang Theological Seminary under the Japanese colonization period and he joined in the anti-shrine-worship movement. Unfortunately, he was expelled by Japan because of this at 1940, but he came back to Korea at 1948 after Korea was liberated by Japanese colonization. When he came back to Korea, he joined Korea Theological Seminary at Pusan as one of the epicenters for Korean conservative theology. In addition, he had endeavored to formulate Korean conservative orthodox protestant theology as he apologized Christian faith based on the idea of biblical authority and Calvinism against liberalism from his early missionary period to the end of his mission. His theological rhetoric, however, was not extremely exclusive as much as today’s fundamentalists. Instead, his main goal was to protect the conservative Christianity rather than to exclude those who have different ideas in Christian faith. Thus, this research shows us the sound sense of conservatism and mission through the missionary works of Ham-il-don.

      • KCI등재

        한국적 신사회위험에 대응하는 기독교 사회복지 실천방안 연구

        성신형(Shin Hyung Seong),김성호(Seong Ho Kim) 장로회신학대학교 세계선교연구원 2016 선교와 신학 Vol.39 No.-

        본 연구의 목표는 한국사회의 신사회위험에 대응하는 한국기독교의 사회복지 실천 방안에 관한 모색을 하는 것이다. 신사회는 1970년대 이후 후기자본주의가 시작되면서 시작되었으며, 경제체계의 변화와 사회인구적인 변화로 인한 인간의 삶의 모습이 총체적인 위기의 상황으로 몰고 갔다. 신사회의 위험은 실업과 빈곤을 동반한 극단적인 양극화, 전통적인 가정의 붕괴, 주거의 문제와 환경의 파괴 등의 여러 가지 위기의 상황을 만들어내고 있다. 한국사회는 급속한 경제발전으로 인해서 서구사회가 경험한 복지국가로의 이행을 경험하지 못하고 경제위기를 경험함으로 구사회위험과 신사회위험의 요소를 모두 가지고 있다. 이런 상황 속에서 사회복지는 여러 가지가 복합된 모델로 발전하고 있다. 한국의 현대사 속에서 한국기독교는 한국사회를 위한 사회복지 실천에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한국기독교의 사회복지 실천의 방향은 디아코니아 신학을 중심으로 한국사회가 만들어낸 그늘진 모습들을 돕고 봉사하는 것이었다. 이러한 실천의 방향은 신사회위험에 직면하게 된 오늘날의 상황에서는 패러다임의 전환을 요구하고 있다. 기존의 디아코니아 신학을 바탕으로 봉사와 섬김이 중심이 되었다면, 이제는 공동체의 회복에 초점을 맞추어서 선교적 교회론에 바탕을 둔 기독교사회복지 실천의 방향을 만들어 갈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공유경제 개념을 바탕으로 한 경제공동체 만들기, 느슨한 가족공동체를 형성과 사회서비스를 실천, 타인과 공감하는 영성이 바탕이 된 건강한 영성공동체를 제안하고 있다. 이러한 실천은 앞으로 한국기독교의 미래를 결정짓는 중요한 토대가 될 것이다. The goal of this research is to seek a way of Christian social work practice in order to respond to New Social Risks of the Korean society. New society has been prevailing since the post-capitalism started about the 1970"s, and many social changes has occurred such as socio-economic crises and demographic crises. For instance, it caused the issue of unemployment and poverty related to the issue of extreme polarization, the collapse of the traditional homes, the housing problems and the destruction of the environment. It also changes the direction of social welfare system from the traditional social welfare models like public relief and social security to the model of the social services. Interestingly, the South Korean society has experienced the social dynamics of both the Old and New social risks because of the rapid economic development and the occurrence of the economic crisis. In the midst of this situation, the social welfare system has developed and the Korean Christian society has been joining in this social welfare services. Traditionally, the direction of the social practice of Korean Christian has based on the theology of Diakonia which focuses on sharing and serving for those who are in need. This direction has to be changed into the missional community building paradigm in order to endure and overcome the crises of this New Social Risks. The new paradigm is to build a new missional community, based on the concept of a sharing economic community, a loose family community to formulate the social services, and the spiritual community. This practice will be an important foundation of Korean Christian social welfare practice for the future.

      • KCI등재

        세계 기아 문제에 대한 기독교 윤리적 대답: 세계교회협의회(WCC) AGAPE문서의 사랑윤리를 중심으로

        성신형(Shin Hyung Seong) 장로회신학대학교 세계선교연구원 2019 선교와 신학 Vol.49 No.-

        본 연구는 기아문제로 인해서 식량권을 보장받지 못하고 살아가고 있는 사람들에 대해서 살피면서 이 문제에 대한 윤리적 분석과 함께 기독교 윤리적 대안에 관해서 연구하고 있다. 본 연구는 크게 세 가지 관점에서 진행된다. 첫째는 기아문제의 원인 분석이다. 이를 위해서 2000년부터 2008년까지 유엔 인권위원회 식량특별조사관으로 일한 스위스의 사회학자 장지글러의 분석을 토대로 크게 세 가지 유형으로 원인을 분석하고 있다. 둘째는 기아 문제에 대한 윤리적인 접근이다. 이를 위해서 본 연구는 기아 문제의 윤리적 의미에 대해서 살피면서 그 해결을 위한 지구윤리(global ethics)의 필요성에 대해서 고찰한다. 끝으로 본 연구는 지구윤리와 연결선상에서 기독교윤리적인 접근을 시도한다. 이를 위해서 본 연구는 세계교회협의회(WCC)에서는 2006년에 발표한 ‘Alternative Globalization Addressing People and the Earth(AGAPE)’문서를 분석한다. 이 문서는 세계가 직면한 가장 큰 문제인 빈곤과 기아, 환경 문제에 대한 기독교 윤리적인 대안이 소상하게 설명하고 있다. 이를 통해서 본 연구는 인류의 기아문제를 분석하고 그 대안으로 지구윤리와 연결하여 기독교윤리적인 접근을 모색하고 있다. This study examines those who are not guaranteed food rights due to starvation and studies a Christian ethical response on this issue. This study has three foci: the cause of this issue; an ethical analysis of it; and an Christian ethical response on it. Frist, this study analyzes the causes of starvation. To that end, three major types of causes are analyzed based on analysis by Swiss sociologist Jean Ziegler, who had worked as a special food investigator for the U.N. Human Rights Commission from 2000 to 2008. Second, this study explores the ethical meaning of this issue as it examines the need for global ethics to solve it. Finally, this research attempts a Christian ethical approach on this issue in terms of the idea of global ethics. For this purpose, this research delves into the ethical implication of the "Alternative Globalization Addressing People and the Earth" document which was published by the World Council of Churches (WCC) in 2006. Thus, this study analyzes the issue of starvation and seeks a Christian ethical approach by linking it with global ethics.

      • KCI등재

        이 시대를 위한 유토피아론 -지그문트 바우만을 중심으로

        성신형 ( Shinhyung Seong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19 인문사회 21 Vol.10 No.5

        본 연구는 최근 한국사회의 젊은이들이 제기한 공정성의 문제에서 출발한다. 본 연구는 그들이 가리키고 있는 방향성에 대한 비판이 아니라, 그들이 제기한 공정성의 문제에 대한 하나의 대안적인답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본 연구는 지그문트 바우만에 주목하면서 문헌연구를 중심으로 대안을 찾고 있다. 바우만은 폴란드의 유대인 사회학자로 근현대 사회를 유동사회로 설명하면서, 그 불확실성이 오늘의 불공정성을 낳았다고 주장한다. 이것이 현대인들을 불안과 공포에 떨게 만들었다. 이러한 불안과 공포는 마치 지옥을 살아가는 것처럼 인류를 불행하게 만들고 있다. 바우만이 제안한 이에 대한 대안은 유토피아이다. 인류는 이 불확실성을 해소하기 위해서 과거로 회귀하려고 하는 레트로토피아를 꿈꾸지만, 이것으로는 불가능하다. 이를 위해서 새로운 유토피아에 대한 꿈이 필요한데, 그것은 바로 사냥꾼 유토피아가 아닌 정원사 유토피아다. 본 연구는 이러한 바우만의 유토피아론을 탐구하면서, 우리 시대를 위한 공정성에 대한 성찰을 다시 시작할 것을 제안하고 있다. The study is initiated by the issue of justice and fairness, recently raised by young people in Ko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not to criticize the direction they are pointing at, but to provide an alternative answer to the question of fairness they have raised. The research methodology is literature review and analysis, focusing on Zygmunt Bauman. Bauman, a Jewish sociologist in Poland, describes modern society as a liquid society, arguing that the uncertainty has spawned today’s unfairness. This made contemporary people tremble with fear and anxiety. These fears are making humanity unhappy as if living hell. According to Bauman, utopia is the basis that can go beyond the unfairness caused by uncertainty. Humanity dreams of a ‘retrotopia’ trying to return to the past in order to resolve this uncertainty, but it is impossible. To do this, people need a dream of new utopia: the gardener Utopia, not the hunter Utopia. Exploring this Utopian theory of Bauman, this study suggests the reflection on fairness among generations.

      • KCI등재

        생명의 윤리 의미에 한 연구: 몰트만과 함석헌을 중심으로

        성신형(Seong, Shin Hyung) 한국기독교사회윤리학회 2019 기독교사회윤리 Vol.44 No.-

        본 연구는 4차산업 혁명 시대의 인간 기술에 대한 신학적 윤리적 성찰을 위해서 기획되었다. 인간은 사이보그, 로봇, 인공지능, 바이오 나노 기술, 복제 등의 기술들이 발전함에 따라서 인간은 이러한 기술들을 두려움과 경이로움으로 받아들이고 있다. 과연 이러한 기술들은 인간에게 어떤 미래를 가져다 줄 것인가? 본 연구는 이러한 질문에 대한 신학적이고 윤리적인 대답을 찾기 위해서 몰트만과 함석헌의 생명 사상에 주목하고 있다. 몰트만은 그의 고통의 신학, 희망의 신학, 창조의 질서, 성령과 종말의 신학 전반에 걸쳐서 생명의 중요성에 대해서 강조하고 있다. 또한 함석헌은 한국 역사에 주목하면서 고통받는 씨알로서의 민중과 그 생명력, 그리고 생명의 완성과 하나됨에 주목하고 있다. 이와 같이 두 사상가는 삶을 살리는 신학과 윤리를 발전시켜 나가고 있다. This research delves into the ethical meaning of life in order to deal with the issue of technology such as cyborg, robot, artificial intelligence(AI), bio-nano technology, and cloning. Technology overwhelms humanity, making it afraid of it and not free of the power of it. Unless technology exists for the convenience of humanity as it supports life, it might become a tool for the power of death. Humanity has to be aware of the theological and philosophical voices that value life. For this, this research examines two religious thinkers, Jürgen Moltmann and Suk-hun Ham, who experienced sufferings and developed their unique thoughts of life. Moltmann’s works have the consistency of life in that life’ is in God’s suffering, resurrection, creation, immanence, and coming. Suk-hun Ham derives his life thought from the sufferings of Koreans, and he develops his consistent voice for life is not limited to the narrow area of human beings, but it spreads out to the world for the wholeness and oneness for all creatures. Thus, both thinkers argued that giving-life is the main ethical goal for humanity.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