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키네틱 타이포그래피(Kinetic Typography)에 관한 연구
성민경,이진영 동서대학교부설연구센터 2001 연구센터논문집 Vol.4 No.1
The text and the image has developed from the static form to the dynamic form in digital communication. Kinetic Typography is transition of the dynamic form with time and interaction from the traditional and the static typography. There are enough abilities about virtual communication and expression of emotion, but there are lack of understanding about visual design in kinetic typography. Thus we need to understand about kinetic typography as an efficient tool with transmission of contents and an emotion on digital communication.
영아교사의 구성주의신념이 수학지도적극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놀이교수효능감의 매개효과
성민경(Sung, Minkyung),김지현(Kim, Jihyun) 한국인간발달학회 2018 人間發達硏究 Vol.25 No.3
본 연구에서는 영아교사의 수학지도적극성이 구성주의신념, 놀이교수효능감과 유의한 상관이 있는지 밝히고, 더 나아가 영아교사의 구성주의 신념이 수학지도적극성에 미치는 영향력을 놀이교수효능감이 매개하는지를 검증하였다. 영아교사의 수학지도적극성에 대한 구성주의신념, 놀이교수효능감의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서울, 경기에 위치한 어린이집에 재직 중인 만 1, 2세반 담임교사 210명을 임의표집하여 질문지를 통한 연구를 실시하였다. 자료분석을 위해 IBM SPSS 21.0 프로그램으로 빈도분석, 기술통계, Pearson 적률상관분석, 회귀분석을 활용한 매개효과 분석 및 Sobel test를 실시했으며,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아교사의 구성주의신념, 놀이교수효능감은 수학지도적극성과 정적 상관이 있다. 둘째, 영아교사의 구성주의신념이 수학지도적극성을 예측하는 관계를 놀이교수효능감이 부분적으로 매개한다. 본 연구는 기존에 유아교사를 대상으로 진행된 수학지도적극성에 대한 연구를 영아교사를 대상으로 진행함으로써 영아교사의 수학지도적극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변인을 밝히고, 영아교사의 놀이교수효능감이 수학지도적극성을 예측하는데 있어 매개역할을 한다는 점을 밝혀 영아교사의 수학지도적극성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 자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This research carefully selects variables that would affect child care teachers’ mathematical teaching initiative as constructivist belief and play teaching efficacy. specifically, this research verifies whether child care teacher’s mathematical teaching initiative relates to constructivist belief and play teaching efficacy. Furthermore, we examine infant teachers play teaching efficacy might mediate the influence of constructivist belief on mathematical teaching initiative. In order to solve our research problems,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through a random-sampling method that was sent to 210 teachers-in-charge who belonged to childcare centers located in both Seoul and Gyeonggi province in South Korea. For data analysis, IBM SPSS 21.0 was used to analyze the frequency, descriptive statistic,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main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fant teachers’ constructivist belief, play teaching efficacy ha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mathematical teaching initiative. Second, infant teachers’ play teaching efficacy mediated the influence of constructivist belief on mathematical teaching initiative. This means that infant teachers’ constructivist belief predicts mathematical teaching initiatives directly and indirectly through play teaching efficacy. This study provides implication for teacher education program development.
시각-언어 사전 학습 모델 기반 개방 어휘 세분화 최신 연구 동향
성민경(Minkyung Sung),이상혁(Sanghyuck Lee),이재성(Jaesung Lee) 대한전자공학회 2024 대한전자공학회 학술대회 Vol.2024 No.6
In the domain of visual scene understanding, deep neural networks have significantly advanced core tasks such as segmentation, tracking, and detection. However, these approaches typically operate under a closed-set assumption, restricting the model to recognizing only those categories present within the training dataset. Recent advancements in visionlanguage pre-training have driven a shift towards open vocabulary settings, aiming to identify and categorize objects beyond the predefined label space in the training data. A survey paper is necessary to systematically organize the main studies in the field of open vocabulary segmentation and to suggest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This paper investigates open vocabulary semantic segmentation, focusing on segmenting objects from arbitrary classes. We first provide a brief overview of the concept of open vocabulary segmentation and then classify its various sub-methodologies. We then examine detailed research directions for each methodology and conclude with a discussion on potential future research directions.
스마트워크(Smartwork)로 인한 개인생활과 업무 변화 인식에 관한 연구
성민경(Minkyung SUNG),방선희(Bhang Sunhee),권성호(Sungho Kwon)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미래원격교육연구원 2011 평생학습사회 Vol.7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changes due to smartwork and perception of smartwork through narratives of smartwork participants. Smartwork is an alternative way of working that allows employees to work anywhere and anytime with flexibility through network connection. Smartwork has benefits of cost reduction, productivity raise, balance between work and life, realization of Green IT, and more employment opportunities for women and the old. This study investigates what kinds of changes smartwork systems brought to personal and working environment. Furthermore, perception about increased workload due to smartwork and unique features of jobs carried out during smartwork were discussed. Those who currently participate in smartwork joined the study to share their experience of smartwork in terms of changes in parenting, time management and environment, differences in perception about smartwork between self and others, and unique features of smartwork regarding task types and communication. Results show that smartwork participants feel relaxed due to decrease in childrearing costs and commuting time, and increase in time with children. Improved working environment enables them to engage in tasks and get more time for personal development. As for perception of smartwork, face-to-face communication is valued more than communication used in smartwork. Participants also experienced difficulty in communication due to lack of instant feedback and absence of nonverbal communication. Also, smartwork played a positive role in carrying out tasks that do not require intentive communication and collaboration. Overall, smartwork participants feel satisfied with time saving as they spend less time in commuting and more time at home, but uncomfortable with negative perception due to conflicts between the smartwork environment and the existing office environment. Thus, for smartwort to become an alternative work style, thoughtful observation and further research as well as changes in perception of smartwork is needed. There should be a change in perception that smartwork is not a vacation or a system only for women, but another type of working that can achieve productivity raise by working effective and efficient in anytime and anywhere.
Diffprivlib를 이용한 차분프라이버시 적용 학습모델의 분류성능 측정
성민경(Sung Min Kyoung),이진규(Lee Jin Kyu),정성룡(Jeong Seong Ryong),김윤중(Kim Yun Joong),김동례(Kim Dong Rye) 한국통신학회 2022 한국통신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22 No.2
데이터는 중요성은 나날이 커지고 있으며, 이용 범위 및 분야도 점차 다양해지고 있다. 그러나 데이터에 포함된 개인정보로 인해 유통 및 활용에 큰 제약을 받고 있다. 개인정보 처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법 중 하나로 차분프라이버시 기술이 있으며, De-facto 표준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차분프라이버시가 적용된 학습모델의 분류성능을 실험을 통해 측정하여 차분프라이버시 기술의 유용성을 분석한다.
성민경(Sung Min Kyung)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18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Vol.0 No.36
본고는 근대전환기 여훈서에서 모성이 재구성되는 양상과 의미를 탐구하고 있다 그것에 앞서 근대전환기 여훈서의 편찬의식을 살펴보았다 근대전환기 여훈서의 편찬의식은 급속한 시대적 변화에 따른 위기의식과 그에 대한 반동으로서의 전통적 가치의 수호의지 그리고 국가적 위기상황에 대응하기 위한 국가주의 모성에 대한 요청과 그에 따른 여성교육의 필요에 대한 공감이이라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어서 전통 여훈서에 비해 근대전환기 여훈서에서 자녀교육 관련 내용이 양적 질적으로 어떻게 변화되었는지 그리고 그 모성은 어떤 형상의 띄고 있는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근대전환기 여훈서에서는 자녀교육에 관련된 지식이나 예화가 차지하는 비중이 확연히 증가되었다 교육 관련 개별 항목을 둔 것은 어머니를 여성의 정체성 중 하나로 분명히 제시하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모범적 어머니의 형상으로 나열된 사례들은 작가적 배경의 다양성에도 불구하고 모종의 유형을 띠고 있어 고찰이 필요하다 모성의 형상은 엄격한 훈육과 학업의 독려 충의와 공렴의 강조로 요약될 수 있다 두 유형 모두 여훈서가 근대전환기의 시대적 상황을 반영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런데 근대전환기 여훈서의 모성 재구성은 여성의 권한이 보다 확대될 수 있는 근대적 가족 모델에 대한 인식이 결여되어 있으며 유교적 종법사상에 기초한 전통가족제도를 수호하려는 입장을강력하게 천명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강화되는 모성은 전통적으로 유지되어 온 여성의 예속은 그대로 둔 채 새로운 의무를 추가하는 것이 될 수밖에 없다 이렇듯 근대전환기 여훈서의 모성 재구성은 제한적인 의의를 지닐 수밖에 없는 측면이 있다 그러나 국가와 민족의 경계가 일신되는 변혁의 시기에 유학에 기반 한 보수적 지식층에서도 국민의 생산자이자 문화의 재생산자 그리고 집단성의 전달자로서 여성 모성이 갖는 의미를 포착하고 과 이라는 전통적이면서도 근대적 의의를 지닐 수 있는 가치를 통해 여훈서로 재구성한 대응의 실천적 의의는 평가 할 만한 부분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