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대학생의 젠더혐오표현에 대한 암묵적 태도 측정-암묵적 연합 검사(IAT)를 중심으로-

        성나경,김성희,김사라,임광현,김성현,성현준,이수정 한국여성심리학회 2019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Vol.24 No.3

        본 연구의 젠더혐오표현에 대한 암묵적인 태도를 측정하고자 암묵적 연합검사(Implicit Association 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는 경기도 소재 종합대학에서 교양수업을 수강하는 244명(남성=71명, 여성=173명)이 참여하였다. 혐오단어 구성을 위하여 일간베스트와 워마드를 분석한 선행연구에서 남성혐오단어 25개, 여성혐오단어 25개, 중립단어 50개를 추출하여 IAT실험 프로그램(Pyscopy 3.6.7, 32bit, Python 3.6.7기반)을 구성하였다. 남녀의 혐오단어에 따른 반응시간을 D(Effect Size)로 산출하여 SPSS 18을 통해 t-test와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를 통해 집단 간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참여자들은 남성혐오자극단어에 대해 암묵적 연합이 강하게 나타나지 않았으나, 여성혐오자극단어에 대해서는 암묵적으로 연합이 강하게 나타났다(남성 M=0.47, 여성 M=-0.19).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젠더혐오표현에 대한 대학생들의 인식을 살펴보았고, 젠더혐오표현을 심층적으로 알아보기 위한 후속연구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청소년의 일상적 스트레스와 자해행동: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조절효과

        성나경,강이영 한국상담심리학회 2016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28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whether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affect the relationship between daily stress and self-harm behavior. Data from a total of 238 male and 240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was collected. Hierarchical regression was used to verify the effect of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daily stress and self-harm behavior. The results indicated that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were important moderator variables that protect adolescents from self-harm behaviors. 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acceptance, planning, rethinking, having a balanced perspective, positive perspective making, positive reappraisal)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daily stress and self-harm behavior. From the results, implications for guidance and counseling self-harming adolescents were discussed and information on helping these students with school adjustment and mental health recovery was given. In addition, limitations of this study was discussed.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이 활용하는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에 따라 일상적 스트레스가 청소년의 자해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에 거주하는 남자 중학생 238명, 여자 중학생 240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한 자료를 위계적 회귀분석을 활용하여 청소년이 지각한 일상적 스트레스와 자해행동에 있어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영향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일상적 스트레스와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이 청소년의 자해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수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일상적 스트레스 상황에서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수용, 해결중심사고, 균형 있게 바라보기, 긍정적 재초점, 긍정적 재평가)은 자해행동으로부터 청소년을 보호하는 중요한 조절변인임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일상적 스트레스 상황에서 자해행동을 경험하는 청소년들에 대한 생활지도 및 상담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였으며, 자해 청소년들의 학교적응 및 정신건강 회복을 위한 다양한 노력에 기여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였다. 또한 본 연구의 제한점과 추후연구의 방향에 대하여 상세히 논의하였다.

      • KCI등재

        학교폭력 피해를 경험했던 범죄 피의자의 특성: 판결문을 사용한 지시적 내용분석

        성나경,성현준,이지혜 한국교정상담심리학회 2022 교정상담학연구 Vol.7 No.2

        연구의 목적은 학교폭력 피해 경험이 범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학교폭력피해경험이 있는 범죄 피의자와 그들이 행한 범죄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연구자료는 2013년~2021년까지 학교폭력 피해경험이 있는 범죄 피의자에 대한 13건의 1심 판결문과 항소심 판결문으로 판결서인터넷 열람제도를 활용하여 수집하였다. 수집된 판결문을 FBI 범죄분류매뉴얼과 경찰청 범죄통계분류기준을 적용하여 범죄명 및 형량, 인구통계학적 특징, 공범/재범여부, 정신병력, 범죄 피해자와의관계 및 범죄 유형으로 분류하여 지시적 내용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학교폭력 피해 경험이 있는범죄 피의자들의 69.2%가 남성이었고, 여성은 30.8%였다. 또한, 이들은 단일 범죄보다는 다수의 범죄를저질렀고, 형량도 다양하였다. 대부분 초범이었으며, 재범인 경우는 단 2건에 불과했다. 공범의 수는평균 1.5명으로 대부분 단독범행을 저질렀다. 정신질환이 있는 피의자는 전체의 61.5%이며, 정신질환이 없는 피의자는 전체의 38.5%였다. 정신질환이 있는 피의자는 의료인 또는 모르는 타인을 범죄의대상으로 삼았고, 정신질환 발병으로 병역법을 위반한 피의자도 있었다. 반면, 정신질환이 없는 피의자는 대체로 선·후배, 동창 등 지인을 공격하였다. 학교폭력 피해 경험을 가진 범죄 피의자의 유형은가해행동 모방형, 정신질환 가해형, 부적응 가해형, 정신질환 병역위반형, 가해폭로형으로 분류되었다. 본 연구는 학교폭력 피해경험이 범죄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는 연구로서 의의가 있으며, 연구의 한계와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언급하였다.

      • KCI등재

        비행 초기 단계 청소년의 재범예방을 위한 인지치료 기반 선도프로그램 개발

        성나경,성현준,박기영,이지혜 한국소년정책학회 2023 少年保護硏究 Vol.36 No.1

        In this study, a cognitive therapy based guidance program was developed to prevent the recidivism of early-stage juvenile delinquents. The program was designed based on cognitive techniques such as REBT and MBCT. Recidivism-related scales, including measures of negative emotions (depression and anxiety), self-regulation, and mindfulness, were administered before and after implementing the program. The experimental group consisted of 18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police guidance program, while the control group consisted of 15 students who had violated school rules. Initially, descriptive statistics and the pre-test scores were compared to ensure the homogeneity and equal variance of the two groups, and subsequent comparisons were made between the pre-test and post-test results within each group. The study found that the experimental group exhibited decreased levels of depression and anxiety, as well as increased levels of self-regulation and mindfulness. However,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were observed in the control group.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discussed the implications on using guidance programs for recidivism prevention in both judicial and educational institutions.

      • KCI등재

        앱(App)기반 마음챙김 호흡 프로그램의 적용효과 : 중학생의 불안과 마음챙김 주의 및 알아차림을 중심으로

        성나경,이우경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3 교육문화연구 Vol.29 No.2

        This study seeks to verify the difference in effectiveness and application method of the mindfulness breathing program developed to reduce anxiety among adolescents among modules of the mindfulness meditation app developed to improve mental health. Participants included 60 students in Grades 1~3 at a middle school in Seoul. They were categorized into a contact experiment group (n=20) that performed the program contact with the therapist, an untact experiment group (n=20) that performed the program not being in contact a therapist, and a control group (n=20). Before the experiment, state-trait anxiety X-scale and mindfulness attention awareness scale were administered, and homogeneity between groups was confirmed through one-way ANOVA. A post-test was conducted after the experimental treatment. The pre- and post-tests were analyzed through repeated measures ANOVA. The results showed that first, the anxiety of research participants reduced significantly compared to before the program, and mindfulness attention awareness significantly increased. Seco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with regard to changes in anxiety and mindfulness attention awareness between the contact and untact experiment groups. The study demonstrated that the App-based mindful breathing program had a significant effect on reducing middle school students' anxiety and improving mindful attention awareness; and the effect of untact application was also as significant as the contact application 본 연구는 청소년 정신건강 증진을 위해 개발된 마음챙김 명상앱의 모듈 중 청소년의 불안 감소를 위해 개발된마음챙김 호흡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불안과 마음챙김 주의 및 알아차림에 미치는 효과와 적용 방식에 따른 효과차이를 검증하고자 수행되었다. 실험 참가자는 서울 A 중학교 1∼3학년 60명으로, 치료자와 대면하여 프로그램을수행한 대면 실험집단(20명), 치료자와 비대면으로 프로그램을 수행한 비대면 실험집단(20명), 그리고 통제집단(20명)으로 분류하였다. 실험 전, 상태-특성 불안 X척도와 마음챙김 주의 및 알아차림 척도를 실시하였고, 일원배치 분산분석을통해 집단 간 동질성을 확인하였다. 실험 처치 후,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반복측정 분산분석(Repeated measures ANOVA)을 통해 사전-사후 검사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연구 참여자의 불안은 프로그램 실시 전에 비해유의미하게 감소하였고, 마음챙김 주의 및 알아차림은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 둘째, 대면 실험집단과 비대면 실험집단의불안과 마음챙김 주의 및 알아차림의 변화를 살펴본 결과,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즉, 앱(App)기반 마음챙김호흡 프로그램은 중학생의 불안을 감소시키고, 마음챙김 주의 및 알아차림을 향상하는데 유의미한 효과가 있으며, 비대면 적용 효과가 대면 적용 효과만큼 유의미한 효과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 KCI등재

        청소년의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 사용유형에 따른 일상적 스트레스 반응과 자해행동의 차이: 잠재프로파일분석을 중심으로

        성나경,성현준,이지혜 한국청소년학회 2021 청소년학연구 Vol.28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between daily stress responses and self-harm behaviors according to the types of cognitive emotional control strategies of adolescents. For the study, the researchers collected data from 714 middle school students from three middle schools in Seoul and conducted a latent profile analysis on the use of adolescents' cognitive emotion control strategies. Then, profile differences on the level of daily stress and self-harm behavior was examined by using the Mplus BCH function.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level of the cognitive emotional control strategies of adolescents, the sample was classified into 5 latent groups including the 'strategy-absent group (3.77%)', 'strategy-underuse group (11.72%)', 'adaptive-strategy-use group (11.86%)', 'general-strategy-use group' (57.46%) 'and ‘strategy-overuse group (15.20%)’. Wald chi-square differences derived from Mplus revealed that these 5 groups had significant differences regarding daily stress response and self-harm behavior. Based on the results, implications for lowering self-harm behaviors in educational settings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청소년의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유형에 따른 일상적 스트레스 반응과 자해행동의 차이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소재 3개 중학교에서 717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청소년의 인지정서조절전략 사용에 대한 잠재적 프로파일 분석(latent profile analysis)을 시행하였고, Mplus의 BCH 보조변수를 활용하여 도출된 프로파일에 대한 일상적 스트레스 반응과 자해행동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 표집을 청소년의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수준에 따라 ‘전략부재 집단(3.77%)’, ‘과소전략 집단(11.72%)’, ‘적응전략 집단(11.86%)’, ‘일반전략 집단(57.46%)’, ‘과다전략 집단(15.20%)’의 총 5개의 각기 잠재적 집단으로 구분할 수 있었으며, Mplus의 Wald chi-square 분석결과, 이들 5개 집단은 일상적 스트레스 반응과 자해행동 간의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위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학교현장에서 학생들의 자해행동을 줄이기 위한 노력에 대한 제언을 언급하였다.

      • KCI등재

        앱(App)기반 마음챙김 호흡 프로그램의 적용효과 : 중학생의 불안과 마음챙김 주의 및 알아차림을 중심으로

        성나경 ( Seong Nakyung ),이우경 ( Lee Wookyeong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3 교육문화연구 Vol.29 No.2

        본 연구는 청소년 정신건강 증진을 위해 개발된 마음챙김 명상앱의 모듈 중 청소년의 불안 감소를 위해 개발된 마음챙김 호흡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불안과 마음챙김 주의 및 알아차림에 미치는 효과와 적용 방식에 따른 효과 차이를 검증하고자 수행되었다. 실험 참가자는 서울 A 중학교 1∼3학년 60명으로, 치료자와 대면하여 프로그램을 수행한 대면 실험집단(20명), 치료자와 비대면으로 프로그램을 수행한 비대면 실험집단(20명), 그리고 통제집단(20명)으로 분류하였다. 실험 전, 상태-특성 불안 X척도와 마음챙김 주의 및 알아차림 척도를 실시하였고, 일원배치 분산분석을 통해 집단 간 동질성을 확인하였다. 실험 처치 후,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반복측정 분산분석(Repeated measures ANOVA)을 통해 사전-사후 검사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연구 참여자의 불안은 프로그램 실시 전에 비해 유의미하게 감소하였고, 마음챙김 주의 및 알아차림은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 둘째, 대면 실험집단과 비대면 실험집단의 불안과 마음챙김 주의 및 알아차림의 변화를 살펴본 결과,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즉, 앱(App)기반 마음챙김 호흡 프로그램은 중학생의 불안을 감소시키고, 마음챙김 주의 및 알아차림을 향상하는데 유의미한 효과가 있으며, 비대면 적용 효과가 대면 적용 효과만큼 유의미한 효과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This study seeks to verify the difference in effectiveness and application method of the mindfulness breathing program developed to reduce anxiety among adolescents among modules of the mindfulness meditation app developed to improve mental health. Participants included 60 students in Grades 1~3 at a middle school in Seoul. They were categorized into a contact experiment group (n=20) that performed the program contact with the therapist, an untact experiment group (n=20) that performed the program not being in contact a therapist, and a control group (n=20). Before the experiment, state-trait anxiety X-scale and mindfulness attention awareness scale were administered, and homogeneity between groups was confirmed through one-way ANOVA. A post-test was conducted after the experimental treatment. The pre- and post-tests were analyzed through repeated measures ANOVA. The results showed that first, the anxiety of research participants reduced significantly compared to before the program, and mindfulness attention awareness significantly increased. Seco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with regard to changes in anxiety and mindfulness attention awareness between the contact and untact experiment groups. The study demonstrated that the App-based mindful breathing program had a significant effect on reducing middle school students' anxiety and improving mindful attention awareness; and the effect of untact application was also as significant as the contact application.

      • KCI등재

        초등학생의 학교적응에 관한 모래놀이치료에 대한 탐색적 연구-2010년 이후 국내 연구를 중심으로-

        김진,성나경 사단법인 한국임상모래놀이치료학회 2023 상징과 모래놀이치료 Vol.14 No.3

        This study examines the implementation of Sandplay Therapy in schools and conducts a comprehensive analysis of 25 domestic studies to explore its effects on the school adaptation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Our findings reveal that Sandplay Therapy, when applied to this demographic, primarily comprises semi-structured or unstructured case studies with a strong emphasis on individual counseling. Various assessment methods were employed, including qualitative data such as sandbox pictures, observation logs, and supervision records, as well as objective tools like K-CBCL and projective tools such as HTP and KFD. The results demonstrate that Sandplay Therapy has a positive influence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lf-development, self-esteem enhancement, and the mitigation of maladaptive issues. Moreover, it contributes to the improvement of their social skills, ultimately facilitating a successful adaptation to the school environment. This research provides valuable insights into the potential benefits of Sandplay Therapy for enhancing the well-being and adaptation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 KCI등재

        혐오표현의 이해 및 특성에 대한 고찰: 해외 혐오표현 규정을 중심으로

        김성희,성나경,성현준,김성현,김민선,이연제,권준성 한국경찰연구학회 2019 한국경찰연구 Vol.18 No.1

        이 연구에서는 국가인권위원회와 혐오표현에 대한 다수의 선행 연구들을 바탕으로, 사람들이 가지고 있는 고정관념이 형성되는 과정과, 혐오와 증오를 어떤 과정에서 느끼게 되며, 이를 어떻게 차별로 표현하는지에 대한 연구를 하였다. 즉, 사회적 논란이 되고 있는 혐오표현의 인지, 정서, 행동적 특성을 심리학적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그리고 혐오표현 규제에 대한 외국 사례를 통해 효과적인 입법과 체계적인 개입 방안을 고찰하였다. 이를 위하여 첫째, 고정관념을 통하여 인간의 사고에서 자동적으로 발생하는 혐오표현의 인지적 과정을 살펴보았다. 둘째 혐오, 경멸, 증오로 이어지는 정서적 과정을 탐색하였다. 셋째, 차별에서 유발된 혐오 정서가 행동에 이르는 행동적 과정을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혐오표현에 대한 외국법률 및 제재, 국제기관의 권고사항 등을 살펴보고, 우리나라에 문화와 사회에 맞는 제도를 제시하였다. In this study, based on the 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and a number of prior studies on the expression of aversion, we will examine the process of forming stereotypes of people, how they feel hate and hate in what process, Respectively. In other words, The issue of hate speech has once again been in the spotlight recently from several legal institutions alike numerous countries. This study examined the cognitive, emotional, and behavioural characteristics of hate speech from a psychological perspective. To explore this area, firs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ognitive process of hate speech which is a spontaneous occurrence in human thought through stereotypes. Secondly, the emotional mechanism of disgust, scorn, and hate was researched. Thirdly, the behavioural process of how hate sentiment caused from discrimination leads to action was studied. Finally, this study scrutinised the Act and the regulations on sanctions for hate speech in other countries, recommendations of an international institution and so forth, and then suggested the systems suitable for Korean culture and society.

      • KCI등재

        한국 영아살해 고찰

        김성희,성현준,성나경 한국교정학회 2021 矯正硏究 Vol.31 No.2

        최근 영아의 생명을 존중하고 보호하기 위하여 형법 제251조 영아살해죄를 삭제하여 영아살해를 일반살인으로 처벌하자는 개정논의가 진행되고 있다. 이에 한국의 영아살해 실태를 파악하고, 법령개정 방향을 제안하고자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를 위하여 국내외 영아살해에 대한 문헌을 고찰하였고, 국내 2013년~2020년 영아살해죄로 선고된 1심 판결문 46건을 바탕으로 한국 영아살해의 현황과 살해동기, 살해방식, 가해자 특성을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 살해동기로는 실질적(경제적)으로 양육이 불가능한 경우로 원하지 않은 임신을 하여 도움을 요청할 수 있는 대상이 부재하였고, 치욕 은폐를 위해 임신과 출산사실을 알리지 않은 특징이 있었다. 살해방식은 자신의 주 거지나 타인의 접근이 어려운 건물에서 출산 후 대부분 영아를 질식 혹은 익사시켜 살해하였다. 가해자의 특성으로는 미혼으로 모두 생물학적 친모였으며, 연령대는 우리나라 평균 출산 연령에 비해 낮았다. 또한 대부분 정신질환과 범죄경력을 가지고 있지 않은 특성을 보였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영아살해에 대한 법률적 제언과 예방책을 제언하였다. Recently, in order to respect and protect the life of infants, there are discussions on the revision of the crime of infanticide by deleting Article 251 of the Criminal Act and punishing the infanticide as general homicide. In the midst of this, this study aims at understanding the current situation of Infanticide in Korea and suggesting a direction for amendment of the Act. For that purpose, we explored the literature on neonaticide/ infanticide at domestic and abroad, and identified the current status of domestic infanticide, the motive for the homicide, killing method,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perpetrator based on 46 written judgments of the first-instance cases adjudicated for infanticide between 2013 and 2020 in Korea.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identified that the motive for the homicide was that where practically (economically) impossible to bring up, and there was no person to ask for help due to an unwanted pregnancy, and the pregnancy and childbirth were not announced in order to avoid disgrace. As for the killing method, killing without any action immediately after childbirth was used so that infants were killed by suffocating or drowning them in their own residence or in a building that was difficult to access by others. The characteristics of the perpetrators were unmarried biological mothers, and their age was lower than the average age of childbirth in Korea. There were also some subjects, who were not aware of the pregnancy, and there were many cases where the identity of the biological father was not known and the biological father did not know the pregnancy as well. Most of the perpetrators had no mental illness or criminal history. Based on these analysis results, legal recommendations and preventive measures for Infanticide were propo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