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일반연제(구연) : O-7 ; MTB PCR에서 M. bovis BCG의 감별검출방법과 그 필요성

        정영훈,성기형,장호은,전선희,김소연,송상훈,박경운,송정한 대한임상병리사협회 2008 임상미생물검사학회 발표자료집 Vol.2008 No.-

        배경 : BCG는 현재 결핵예방접종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대부분의 경우 접종 부위에 가벼운 자국이 남는 정도이나 드물게 화농성 림프선염, 케로이드, 심상루프스 및 골수염과 같은 부반응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이런 증상이 결핵균 감염에 의한 것인지 BCG 접종에 의한 부반응 인지에 대한 감별이 필요하다. 현재의 PCR 검사법으로는 M. tuberculosis(이하 TB)와 M. bovis BCG를 구별하는데 어려움이 있으므로 이들을 구분할 수 있는 감별 방법이 필요하다. 저자들은 새로운 검사 방법을 도입하여 M. bovis BCG 사례들을 경험하였고, TB와 M. bovis BCG strain를 구별할 수 있었다. 방법 : 환자의 검체와 결핵균 배지에서 증식된 colony에서 DNA를 추출하였다. M.tuberculosis genome의 senX3-regX3 유전자와 IS6110 유전자에 각각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시발체와 소식자를 사용하여 real-time PCR로 선별검사를 실시하였다. RD1, 8, 14 유전자를 대상으로 multiplex PCR을 실시하여 M. bovis BCG 유무를 확인하였고, 추가적으로 M. bovis BCG를 확인할 수 있는 Seegene TB kit를 사용하여 확인하였다. 결과 : Real-time PCR검사에서 senX3-regX3 유전자에서는 TB는 검출이 되고 M.bovis BCG는 검출이 되지 않았지만, IS6110 유전자에서는 TB와 M. bovis BCG 모두 검출되었다. RD1, 8, 14 유전자를 대상으로 하는 multiplex PCR의 경우 146 bp, 196 bp, 252 bp, 472 bp의 PCR product가 형성되는 양상에 따라 TB와 M. bovisBCG strains의 Pasteur, Tokyo strain을 구별할 수 있었다. Seegene TB kit에서는 TB는 208 bp에서 M. bovis BCG는 364 bp에서 PCR product를 형성하였다. 고찰 : 현재 많은 검사실에서 MTB PCR을 시행하고 있으나 TB와 M. bovis BCG를 감별 검출하고 있는 경우는 미미하다. 현재의 검사방법으로는 M. bovis BCG와 TB를 감별하기 어려워 M. bovis BCG가 TB로 보고 되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M. bovisBCG와 TB를 감별 검출할 수 있는 이러한 검사방법이 임상에서 정확한 진료와 치료를 하는데 도움을 주고, 검사의 질적 수준을 높이는 유용한 방법이 되리라 사료된다.

      • KCI등재

        실시간-염기순서기반증폭(Real-Time Nucleic Acid Sequence-based Amplification)을 통한 장바이러스 검출

        박경운,전선희,성기형,송상훈,김홍빈,송정한,최은화,박성섭,김의종 대한임상미생물학회 2010 Annals of clinical microbiology Vol.13 No.2

        Background: Enteroviruses are the most frequent etiologic agents of aseptic meningitis and are estimated to be the cause of 70% to 90% of viral meningitis cases. Enterovirus diagnosis can be difficult because clinical features vary according to patient immunity and ag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the real-time nucleic acid sequence-based amplification (NASBA) assay compared to that of the real-time nested RT-PCR assay for enterovirus detection. Methods: This study was performed on 96 patients suspected of aseptic meningitis based on clinical features. RNA was extracted using NucliSENS EasyMAG and real-time NASBA assay was performed using NucliSENS EasyQ Enterovirus and NucliSENS EasyQ Basic 2. We also executed in-house real-time nested RT-PCR assay for RNA extracted via QIAamp Viral RNA Mini. Results: The positive rate of real-time NASBA assay was 45.8% for enterovirus detection. The positive rate of first real-time reverse transcription PCR was 22.9% and the second real-time PCR was 57.3%. The concordant rate of the real-time NASBA assay and first real-time reverse transcription PCR was 75.0%. The concordant rate of the real-time NASBA assay and second real-time PCR was 86.5%. Conclusion: The detection of enteroviruses using the real-time NASBA assay is less prone to cross-contamination and is simple, without the need for reverse transcription. We conclude that the NASBA assay is an effective method for the rapid diagnosis of aseptic meningitis. (Korean J Clin Microbiol 2010;13:53-58)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