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Predictive Factors of Ectopic Eruption of the Maxillary First Permanent Molar

        선지민,남옥형,김미선,이효설,최성철 大韓小兒齒科學會 2016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43 No.3

        In order to provide a diagnostic basis for predicting the possibility of the self-correction of ectopic first permanent molars, differences among normal eruption, reversible and irreversible ectopic eruption of maxillary first permanent molars were retrospectively analyzed. The angles of the long axes and the occlusal lines between the maxillary first permanent molar and the adjacent tooth were measured by panoramic radiographs. The occlusal relationship of second primary molars was also investigated. There i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ectopic eruption group and normal group (p < 0.05), but not between the reversible and irreversible ectopic eruption groups (p > 0.05). The angles between the second primary molar and the first permanent molar, the second primary molar and the second permanent molar in ectopic groups showed a smaller degree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Mesial step was found more frequently in the ectopic eruption group than the normal group. In conclusion, the angulation of the first permanent molar and tooth germ of the maxillary second permanent molar showed close relation with ectopic eruption of the maxillary first permanent molar and ectopic first permanent molar is likely to occur in class Ⅲ patients with maxillary deficiency. 본 연구는 이소맹출한 상악 제1대구치의 자율적 수정 가능성을 예측할 수 있는 진단적 기초를 제공하기 위하여 정상군과가역성과 비가역성 이소맹출의 차이점을 비교 평가하고자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상악 제1대구치와 인접치아 간의 장축과교합평면간의 각도를 파노라마상에서 측정하였고, 제2유구치의 교합관계도 조사하였다. 이소맹출군과 정상군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지만(p < 0.05), 가역성과 비가역성 이소맹출군 간에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 > 0.05). 제2유구치와 제1대구치 그리고 제2대구치 치배 간의 각도는 정상군에 비해 이소맹출 군에서 작은 값을 보였으며, 근심 계단형이 이소맹출군에서 더 높은 빈도로 관찰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상악 제1대구치의 이소맹출은 상악 제1대구치와 제2대구치 치배의 각도와 관련이 있으며, 이소맹출한 상악 제1대구치는 상악 저성장의 3급 부정교합 환자에서 보다 빈번하게 나타나는 경향이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