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Varieties of Politically Moderate Groups in South Korea: Social Identity, Morality, and Political Attitude

        석승혜,장안식,김두환 서울대학교 사회발전연구소 2019 Journal of Asian Sociology Vol.48 No.1

        Morality is an appraisal of what is right and what is not. Sociological perspective sees such morality as a product of group identity. In this regard, morality is a useful tool for identifying groups that share different beliefs about right and wrong. Recent studies have found that the root cause of social conflict is based on moral differences related to political attitudes and behaviors. This study focuses on the political moderates that previous studies regarded as lacking ideological or political orientation. However, we found that they are multiple groups composed of groups based on different moral values. We also clarified the differences in political positions according to morality. First, we classified the morality groups in South Korea into five latent groups. In addition to traditional liberals (altruistic individuals) and conservatives (paternalistic), moderates are divided into three moral groups: moral idealists, selfish individuals, and amoral individuals. The moral idealists group emphasizes both moral values that are important to conservatives and liberals. The selfish individuals group is weak in most moral values, and the amoral individuals group does not care about any moral value. In contrast to liberals and conservatives who are consistently aligned left and right in their political positions, the moral qualities of moderates have been found to be complex and dualistic. The fact that moderates are pluralistic in terms of grouping and moral values complicates the conflicts of social and political issues rather than the mere confrontation between conservatism and liberalism.

      • KCI등재

        세대적 피해의식과 젠더 갈등: 귀인양식과 인접집단 차별의 동역학

        석승혜 동양사회사상학회 2023 사회사상과 문화 Vol.26 No.2

        This study aimed to diagnose the problem of inequality surrounding the problem of social opportunity in relation to the attribution style and to clarify the relationship with hatred to out-groups. In particular, we tried to compare the difference between men and women in relation to victim recognition in gender conflict, which has emerged as the forefront of hatred. Accordingly, a total of 1,018 response data collected through an online survey targeting adult males and females across the country were analyz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the higher the internal attribution for failure from social opportunity, the higher the discrimination against other groups, and the higher the external attribution, such as social structure or situation, the higher the hatred against other groups. Second, in order to find out which groups are specifically attributed to the cause of inequality, neighboring groups (male/female, elderly/young people), vested interests(privileged conservatives/386 progressives), minority (basic livelihood recipients, foreign workers, North Korean defectors, As a result of classifying them into categories such as the disabled and homosexuals, the higher the internal attribution, the lower the hatred against these groups. However, no significant relationship was found between external attribution, vested interest, and minority, but the higher the external attribution, the higher the hatred against neighboring groups. In particular,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relationship with hatred to neighboring groups by subdividing the attribution style into dimensions of ripple and repetitiveness, the higher the attribution ripple and repeatability are recognized, the higher the degree of hatred against men and women increases significantly, resulting in the sharpest gender conflict in the future. It was predicted that it would transform into a conflict terrain. Third, the differences between men and women were compared in relation to the 'victim consciousness', which is the trigger for attribution, and hatred against men centered on the female victim consciousness that women's own gender is suffering a loss compared to men from social opportunities or distribution. confirmed that this is happening. On the other hand, men's perception of male victimization was not found to be significantly related to hatred against women. In addition, it is confirmed that, unlike women, men's sense of generational victimization is an important factor in hatred against women, which means that men's discrimination against women is expressed in a form in which generational victimization is bypassed. The results above indicate that conflict between groups in our society is not ignorance of social structural causes, but that the higher the degree of attribution, the more intensified the conflict.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the degree of external attribution, the higher the neighboring group, especially gender conflict. However, since the sense of victimization in gender conflict is different between men and women, it will be said that different conflict solutions are needed. 본 연구는 사회적 기회의 문제를 둘러싼 불평등의 문제를 귀인양식과의 관계에서 진단하고 외집단 혐오와의 관련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특히차별의 최전선으로 부상한 젠더 갈등에 있어서 피해 인식과 관련하여남녀 사이에 차이를 비교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전국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로 수집된 총 1,018명의 응답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사회적 기회로부터 실패에 대한 내부 귀인이 높을수록타집단 차별은 유의미하게 감소하였으며, 사회구조나 상황과 같은 외부귀인이 높을수록 타집단 차별은 유의미하게 증가했다. 둘째, 구체적으로불평등의 원인으로 귀인하는 집단이 누구인지를 알아보기 위해 인접집단(남성/여성, 노인/청년), 기득권(보수 특권층/386 운동권), 소수자(기초생활수급자, 외국인노동자, 새터민/난민, 장애인, 동성애자)로 구분하여 살펴본 결과, 내부귀인이 높을수록 모든 집단에 대한 차별은 유의미하게감소하였다. 반면 외부귀인과 기득권 및 소수자 집단에 대한 혐오와는유의미한 관련성이 발견되지 않았지만, 외부귀인이 높을수록 인접집단에대한 차별은 유의미하게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귀인양식을 파급성과 반복성의 차원으로 세분화하여 인접집단 혐오와의 관계를 알아본 결과, 귀인 파급성과 반복성이 높다고 인식할수록 남성과 여성에 대한 혐오 정도가 유의미하게 높아지면서, 향후 젠더갈등이 가장 첨예한갈등 지형으로 변모할 것임을 예고했다. 셋째, 귀인이 촉발되는 단초인‘피해의식’과 관련해서 남녀 사이의 차이를 비교한 결과, 여성의 경우 자신의 성별이 사회적 기회나 분배로부터 남성에 비해 손해를 입고 있다는 여성피해의식을 중심으로 남성 혐오가 이루어지고 있음을 확인했다. 반면 남성의 경우, 남성이 여성에 비해 피해를 입고 있다는 남성피해의식은 여성차별과 유의미한 관련성이 발견되지 않았고, 여성이 우리사회에서 피해를 받고 있다는 여성피해의식이 오히려 여성혐오를 강화하는것으로 나타났다. 게다가 남성은 다른 세대에 비해 자신이 손해를 보고있다는 세대적 피해의식이 여성혐오의 중요한 원인이 되고 있었으며, 결국남성의 여성혐오는 세대적 피해의식의 우회된 표출이라고 해석 할 수 있다. 이상의 결과는 우리사회에서 집단 간 갈등이 사회구조적 원인에 대한무지가 아니라 사회구조로 귀인정도가 높을수록 갈등은 더욱 심화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외부귀인의 정도가 높을수록 인접집단, 특히 젠더갈등이 가장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젠더 갈등 속에 녹아있는 피해의식이 남녀가 서로 다르다는 점에서 갈등해법 방안도 상이한접근이 요구된다.

      • KCI등재

        배려의 대상은 어떻게 무임승차자가 되는가?: 공정성 인식이 배려와 사회적 이슈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석승혜 ( Seok Seunghye ) 동양사회사상학회 2020 사회사상과 문화 Vol.23 No.4

        본 연구의 목적은 공정성이 옳고 그름을 따지는 핵심 사안으로 부상함에 따라 대중이 인식하는 공정성의 의미가 무엇인지 밝히고자 하는데 있다. 특히 공정성이 공동체 도덕의 또 다른 한 축이었던 배려와 어떠한 관계에 있으며, 나아가 사회규범과 정책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새로운 공정성에 함축된 요구와 한계를 규명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전국 단위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1008명의 응답 자료를 분석했다. 그 결과는 첫째, 대중이 인식하는 공정성은 크게 ‘다원적 공정성(pluralistic fairness)’과 ‘도구적 공정성(instrumental fairness)’으로 구분되었다. 다원적 공정성은 개인의 차이에 대한 인정에 기초해 있는데 반해, 도구적 공정성은 모든 차이를 인정하지 않고 오직 게임 규칙의 동등성을 강조하는 것이다. 둘째, 배려의 도덕과의 관계에서 다원적 공정성은 배려에 정적인 영향을, 도구적 공정성은 배려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 규범에 미치는 영향에서 다원적 공정성은 배려 기반 규범(장애인 안내, 자리 양보 등)을 본래 의미대로 배려라고 보는 반면, 공정성에 반하는 규범(신분차별, 성과가로채기 등)을 특혜라고 인식했다. 그러나 도구적 공정성은 배려 기반을 규범을 일부 대상을 위한 특혜라고 보는 반면, 공정성에 반하는 규범을 배려라고 보고 있었다. 또 노동정책(실업급여, 기본소득제 등)과 여성정책(육아휴직, 여성할 당제 등)에 대해서 다원적 공정성은 배려의 차원에서, 도구적 공정성은 특혜의 차원에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도구적 공정성이 강조될수록 배려의 대상은 무임승차자로 비난의 대상이 되며, 협소한 집단의 이익을 옹호하는 방식이 두드러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최근 안정적인 정체성을 제공해 줄 공동체의 부재로 인한 탈도덕화 현상과 관련지어 볼 때 도구적 공정성의 목소리는 더욱 커지는 동시에 기존에 합의를 이루고 있었던 사회 규범과 정책마저도 갈등 이슈로 부상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aims to clarify what the public perceives fairness as fairness has recently emerged as a key issue to judge right and wrong. In particular, by examining the effect of fairness on social norms and policies, it was suggested to present practical demands and directions in social conflict.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the response data of 1008 people collected through the nationwide online survey, and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fairness perceived by the public was largely divided into ‘pluralistic fairness’ and ‘instrumental fairness’. While pluralistic fairness is based on recognition of individual differences, instrumental fairness disapproves of all differences and only emphasizes the equality of game rules. Seco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 and morality, it was found that pluralistic fairness had a positive effect on care, and instrumental fairness had a negative effect on care. This means that as instrumental fairness is emphasized, the object of care is becoming the object of criticism as a free rider. Third, in the impact of fairness on conflict issues, pluralistic fairness and instrumental fairness showed contradictory results. While pluralistic fairness regarded caring-based norms (disabled person guidance, seat concessions, etc.) as caring in its original meaning, norms contrary to fairness (discrimination of status, performance pricing, etc.) were recognized as preferential treatment. However, instrumental fairness regarded the basis of care as a preference for some subjects, while the norms contrary to fairness were viewed as care. Furthermore, it was found that pluralistic fairness was recognized as a consideration for labor policy (unemployment benefit, basic income system, etc.) and women’s policy (parental leave, women’s quota system, etc.), and instrumental fairness was recognized as a preference. As a result, instrumental fairness can be said to be a moral assigned to the interests of selfish and narrow groups.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 more difficult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consultation through harmony with them in the current social conflict.

      • KCI등재

        극우주의의 프레임과 감정 정치: 언어네트워크방법론을 통한 일베커뮤니티 분석

        석승혜 ( Seok Seung-hye ),장안식 ( Chang Ansik ) 고려대학교 한국사회연구소 2017 한국사회 Vol.18 No.1

        본 논문은 한국사회에서 젊은 극우 집단으로 지칭되는 일베를 통해 타자에 대한 분노와 혐오의 감정이 확산되는 과정을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일베가 등장하는 맥락에 대해 알아보고, 불평등한 현실 속에서 수치심을 이유 있는 분노로 전환하기 위한 프레임의 생산, 그리고 다양한 사회적 위치의 사람들을 동원하기 위한 프레임의 재편성에 대해 살펴본다. 이는 극우 집단이 어떠한 논리도 없는 비이성적인 군중이 아니라 사회적으로 통용되는 도덕을 활용하여 감정들을 틀 짓고 그것에 공적인 목소리를 부여하는 집단이라는 논의와 연결된다. 일베 커뮤니티의 게시물을 언어네트워크 방법을 통해 분석한 결과, 이들은 박정희를 통해 자신의 집단의 도덕적 가치를 `충성(loyalty)`으로, 진보세력을 종북과 등치시키며 `배신(betrayal)`으로 프레이밍하며 타자화한다. 나아가 일베는 자신들의 사회운동을 확장하기 위해 남녀 간대결구도로 프레임을 재편성하는데, 자신들을 사회적 변동 과정에서 생성된 피해자인 반면 여성들은 무임승차하고 특권을 누려온 집단으로 묘사함으로써 배려(care)와 공정성(fairness)의 도덕을 동원한다. 전통과 영광된 과거의 재건을 열망하는 이들의 도덕 프레임은 기득권의 지배 질서에 동화되어 타자에 대한 분노와 혐오를 생산한다는 점에서 왜곡된 반발의 형식임은 분명하다. 그럼에도 유동적인 근대의 불안과 불평등에서 무력감과 그로 인한 수치심을 내재한 집단들이 증가하는 현실은 일베의 도덕 프레임에 공명하며 사회적 갈등과 분열이 확산되고 증폭될 위험성을 갖는다. This paper studies the process in which the feelings of disgust and separation of others are justified through `Ilbe`, which is a young extreme group in Korean society. To this end, we will examine the context in which Ilbe emerges, the production of frames to transform shame into reasoned anger in unequal reality, and the reorganization of frames to mobilize people of various social positions. Through this process, it is revealed that the extreme right group is not an irrational crowd without any logic, but a group that frames emotions with a clear moral frame and gives it a public voice.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publications of the Ilbe community through the language network method, they categorize their groups as loyal to moral values through Park Chung Hee. On the other hand, those who confront their own conflicting positions such as progress. In addition, Ilbe emphasizes that it is a victim of victimization in the process of democratization and gender equality, while women insist that they are free-ride and privileged in this process. The moral frame of Ilbe is a form of distorted repulsion where the emotions of various people with similar frames are mobilized and spread, but eventually become assimilated to the vested interests. This paper, which identifies Ilbe as a kind of social movement and analyzes their moral frames in a comprehensive way, can contribute to understanding the coherent behavior and emotional logic of the extreme right groups such as the Parental Union and the Rightist Christian Union.

      • KCI등재후보

        게임콘텐츠 분석 방법론 개발을 위한 선험적 연구

        석승혜(Seung Hye Suk),이지영(Ji Young Lee),조성남(Sung Nam Cho)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사회과학원 2009 사회과학연구논총 Vol.21 No.-

        본 연구는 커뮤니케이션 이론과 게임디자인 분석을 결합하여 게임을 분석하는 ``새로운 방법론 모델``에 대한 제시이다. 지금까지 게임 분석은 기존 내러티브 전통에서 이루어짐에 따라, 게임의 상호작용적 특성을 고려하지 못한 채 게임콘텐츠와 게임 이용 수준을 점차 분리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어 왔다. 이에 대해 본 연구는 게임콘텐츠 분석에서 게임과 게임플레이를 포함한 분석의 필요성을 제안한다. 그리고 게임 디자인분석에서 기본적 요소로부터 미적 경험에 이르는 과정을 층위(Layer)와 영역(Sector)로 구성되는 ``게임구조분석 모델``을 제시함으로써, 해당 게임의 특성과 게임 간의 차이를 해석할 수 있는 방법이 될 것으로 전망한다. 본 연구에서는 게임구조분석 모델을 제한적인 사례에 적용해 봄으로써, 향후 그 활용가능성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This study aims to suggest a ``new methodological model`` for analyzing games by combining communication theory with game design analysis. To date, game analyses have been done within given narrative traditions. These approaches fail to consider the interactive characteristics of games. Therefore, game contents and level of game play have increasingly grown apart. This study suggests that analysis including game and game play is required in game contents analysis. Furthermore, in order to analyze from basic factors to aesthetic experiences in game design analysis, this study suggests a ``game structure analysis model`` consisting of layers and sectors. This study assumes that this model can serve to construct the differences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a given game and the game being analyzed. By applying the game structure analysis model to limited cases,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usability of this model.

      • KCI등재

        포용적 제도가 경제발전에 미치는 영향 : 한국과 독일의 게임산업 제도화를 중심으로

        석승혜,유승호 한국게임학회 2015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Vol.15 No.5

        본 연구는 일국의 경제 발전에서 포용적 제도가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에 미래 경제성장을 견인할 수 있는 인덱스로 게임산업에 주목하고, 독일과 한국의 게임의 제도화 과정과 제도의 차이가 게임산업 발전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였다. 여기서 한국과 독일의 게임제도를 비교 하는 이유는 양국에서 게임은 국가주도에 의해 육성되기 시작하였지만, 현 시점에서 한국과 독일의 게임제도는 첨예하게 대립되고 있다는 점에서, 이러한 차이가 발생하는 주요 지점으로 제도에 주목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의 결과, 첫째, 게임의 제도화 과정에서 개방적/폐쇄적 연결망은 게임 의 사회적 위상에 영향을 준다. 이로 인해 둘째, 법제도에서 게임 인력은 독일의 경우 아티스트로, 한국의 경우 잠정적으로 중독자(중독생산자)로 분류되며, 인센티브 제도에서도 독일은 게임산업의 수익이 재투자되는 창작자 보호로, 한국은 그 수익이 중독치료를 위한 집단으로 이전되는 징벌적 수탈로 이어지게 된다. 셋째, 이러한 제도적 포용성의 차이는 게임시장 규모의 성장과 창조기업 및 인력의 지역적 유입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이같이 유망 산업인 게임산업에 대한 포용성의 상실 은 한국사회가 경제발전의 기회로부터 멀어지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is the effect of the inclusive institution on a nation's economic development. Therefore, we focused on the gaming industry as an index that can drive the economic growth in the future. The reason to compare the game institution in South Korea and Germany is that both countries began to develop the game by the State, but the game institution in South Korea and Germany at the present time are sharply opposed, because the institutions can focus on the main points that are experiencing this differe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first, open/closed network in institutionalized aspect affects the social status of the game. This second, game workers in the legal institution has been classified as artists in Germany, as addicts in South Korea. And, Germany also has incentives to creators protected profits reinvested in the gaming industry, Korea leads to punitive exploitation is being transferred to the group for addiction treatment that revenue. Third, this exclusive and inclusive institutional system could affect the stable growth of the game market. As a result, South Korea's state institutions will notice that you get a result away from opportunities for economic development due to the loss of inclusiveness.

      • KCI등재

        SNS 이용자들의 유명인 이용 동기와 사회정체성 형성

        석승혜(Seok Seung-Hye),조성남(Cho Sung-Nam)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사회과학원 2016 사회과학연구논총 Vol.32 No.1

        본 연구는 SNS의 유명인이 대중들의 집합적 행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SNS에서 대중의 유명인 이용 동기와 사회정체성의 형성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 연구를 위하여 16세에서 60세 사이의 표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SNS에서 유명인 네트워크에 소속된 응답자 384명을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그 결과 첫째, SNS에서 대중들의 유명인 이용 동기는 표현적 동기와 정보적 동기로 구분되었다. 표현적 동기는 구성원들의 사회정체성의 모든 구성요소에 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었지만. 정보적 동기는 동일시와 자기범주화에만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명인 유형을 정책결정자, 오피니언리더, 연예인으로 구분하여 사회정체성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모든 유명인 유형에서 표현적 동기는 사회정체성에 영향을 미치며, 특히 오피니언리더는 정보적 동기가 구성원들의 사회정체성 형성에 유의미한 영향 요소로 나타났다. 이는 SNS에서 대중의 유명인 이용 동기가 일상생활의 상담자나 조언자와 같은 역할로 확장되고 있음을 보여주지만, 오피니언리더 집단에의 소속은 자부심이나 자긍심과 같이 긍정적 정체성 부여와는 아무런 영향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나 지속적인 집단 결속의 유지와 집단적 행위로의 가능성은 한계가 있을 것으로 예측된다. Celebrities on SNS form wide range of network while directly interacting with the masses. In doing so, their effects go beyond the realm of online reaching offlineand even affectvoting or civil participation behaviors. In order to explain the effect celebrities on SNS have on collective behavior of the masses, two aspects are to be dealt with. First, the motivation behind the celebrity use on a new media environment, SNS shall be understood. Second, the formation of social identity promoting individuals to identity with collective beliefs and values instead of individual ones needs to be addressed. On SNS, with the progress in the way celebrities and the masses interacts brought changes in the way celebrities are produced. We are witnessing more cases where an individual with limited offline mass recognition gaining popular fame through SNS. It can be argued that this is where an expansion of mass demand for celebrities occurs. Accordingly, this research seeks to analyze use motivation and the formation of social identity by the type of celebrities. The sample of this research comprises of nationally representative individuals between the age of 16 and 60, and they were surveyed online. 384 out of 789 respondents who have online relationship with celebrities on SNS are analyz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motivations behind the masses using celebrities online are categorized into expressive and informational motivations. Expressive motivation supports previous literatures stressing the social function of celebrities to be providing social belonging and the space where individuals preserve their positive identities. On the other hand, informational motivation refers to using celebrities as a channel for acquiring information of their interest or forming an interest group. Though informational motivation has positive influence on social identity, self-esteem, one of its sub constituents showed no relations. Second, the effect the use motivation for three types of celebrities (policy decision group, opinion leaders, and entertainer group) has on social identity formation is addressed. In all three types, expressive motivation is shown to have significant influence on social identity. However, only among opinion leader group followers, informational motivation had significant effect on the formation of social identity among members. The mass demand for opinion leaders, a new type of celebrities born of the rise in SNS environment, can be argued to be different from that of more traditional celebrities. In short, masses expect the role of life-coaching to these new celebrities. The social identity formed through informational motivation however only affects group identification or categorization while having no significant relation with self-esteem responsible for assigning positive identity to an individual. It can be said that informational motivation has limited influence on the continuous sense of belonging to a group or collective behaviors.

      • KCI등재

        사회집단에의 소속이 도덕성에 미치는 영향

        석승혜(Seok, Seung Hye),장안식(Chang, Ansik)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2016 亞細亞硏究 Vol.59 No.3

        최근 한국사회는 생존경쟁이 격화되고 모든 선택에서 개인의 책임을 강조하는 개인화가 사회집단의 전 영역에 확장됨에 따라 사회적 유대는 무너지고 도덕성이 약화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가족, 직업집단, 종교, 시민단체, 계층과 같은 집단에의 소속이 도덕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특히 문화성향의 매개효과에 대해 확인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한국사회에서 사람들이 다양한 사회적 이슈에 대해 옳고 그름의 기준으로 삼는 도덕성 요소는 공정성(fairness), 순수성(purity), 배려(care)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사회집단 소속이 각각의 도덕성 요소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대부분의 집단 소속은 공정성과 배려에 부정적 영향을, 순수성에 대해서는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사회집단 소속 정도가 높을수록 부정한 행위를 용인하고 사회적 약자에 대한 배려는 낮아지는 동시에 순수성을 중시함으로써 자살, 동성애, 안락사 등의 문제에 대해 폐쇄적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문화성향의 효과를 고려해 봤을 때, 사회집단에의 소속은 전통적 가치관이라고 여겨졌던 집단주의뿐만 아니라 개인주의 역시 강화하는 복합화 경향이 두드러졌다. 그러나 직업집단이나 시민단체에의 참여는 개인의 동등성과 자율에 대한 가치를 존중하는 수평주의 문화성향을 약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집단 소속에 따른 문화성향의 변화 양상은 주로 배려에 대한 인식의 약화와 순수성에의 강조로 나타나고 있다. 이는 사회적 약자에 대한 보살핌과 복지에 대해서는 인색하고 동성애, 안락사, 혼전성관계 등에 대해서는 오염의 대상으로 부정하고자 하는 성향을 강화함으로써 사회적 균열의 단초로 작동할 것으로 예상된다. Recently, the values of outcome driven and competition oriented were expanded to the principles of all the social institutions in Korea. As a result of that, the growing discourse on issues of weakened morality is well-known to everybody.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examine how social groups such as family (with children), occupational group, religion, civic participation, SES influence on the morality as well as the mediation effect of cultural dispositions. The findings of the study as follows. First, in Korea, the components of morality, which can differentiate right from wrong, are composed of Fairness, Purity, and Care dimensions. Second, in terms of the influence of each social groups on the morality, occupational group, religious group, civic participation, and socio economic status negatively influence on the dimension of fairness. On the dimension of purity, family and religious groups positively have a positive effect. However, the greater civic participation results in negative effect on the dimension of purity and it is interpreted as that the greater civic participation make more open to the issues of suicide, homosexuality, and euthanasia. On the dimension of care, religious and SES groups have a negative effect on the level of purity, that is, more religious and higher SES status weakens a case of care toward the welfare for the disadvantaged in the society. Third, in terms of the mediating effect of cultural dispositions, most social groups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vertical collectivism, which is considered as traditional values of Korean society. In addition, civic participation and social status influence on the vertical individualism and the vertical individualism influence negatively on the dimension of purity but positively on the dimension of care. In sum, the levels of fairness and care were greatly expanded by the social groups in the Korean society which was dominated by the collectivism. At the same time, vertical individualism undermines the morality of care and reinforce social cleavages by outcasting homosexuality, euthanasia, premarital sex as social contamination.

      • KCI등재

        인공지능 로봇에 대한 주관적 신념과 가치가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석승혜(SeungHye Seok) 한국콘텐츠학회 2018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8 No.7

        이 논문은 새로운 산업혁명으로 인한 인간의 노동과 직업의 변화에 대한 담론이 확산되는 가운데 직업집단에 따라 인공지능 로봇의 수용이 어떻게 이루어질 것인지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새로운 기술과 제품의 수용에 대해 기존 연구에서는 단기적으로 잘 변화하지 않는 주관적 신념과 가치를 통해 이용 행위를 예측해 왔다. 이에 본 연구는 직종과 고용형태에 따른 인공지능 로봇에 대한 신념과 가치를 비교하고,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인공지능 로봇에 대한 주관적 신념 요인은 합리성(이성)에 대한 믿음과 온정성(감정)에 대한 믿음으로 구분되었고, 가치 요인은 수용 가치(역할수행, 의사소통, 사회비교)와 회피 가치(위험성, 복잡성)로 구분되었다. 직종과 고용형태에 따라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미치는 신념과 가치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노무기능직이 전문직과 관리직에 비해 인공지능 로봇에 대한 신념과 가치에 대한 인식의 수준이 낮았다. 고용형태별로는 자영업이 위험성 가치에 대한 인식이 미약한 것으로 나타나, 이들 직업 내 인공지능 로봇의 수용과 확산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것으로 예측되었다. 이는 인공지능 로봇이 전문직을 중심으로 급속히 확대될 것이라는 기존의 예측과는 달리, 기술 수용의 속도에서도 직업에 따른 격차가 존재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This paper examine how acceptance of AI robots can be achieved according to occupational groups when the discourse on human labor and occupation changes due to the new industrial revolution is spreading steadily. Previous research on the acceptance of new technologies and products has predicted use behavior through subjective beliefs and values that do not change well over the short term. Therefore, this study compares the beliefs, values, and use intention of AI robots according to occupation. As a result, the subjective belief factor for AI robots was classified into belief in rationality(reason) and belief in benevolence(emotion). The value factors were divided into acceptance value(role performance, communication, social comparison) and avoidance value(risk, complexity).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effect of these on the use intention of AI robot by occupation and employment types. This result suggests that there are gaps in the occupation group at the rate of technology acceptance, as opposed to the existing prediction that AI robots will be rapidly expanded by professiona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