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광 리소그라피를 이용한 다중 위상 홀로그램의 제작

        강봉균,서호형,이덕희,김남,Kang, Bong-Gyun,Suh, Ho-Hyung,Lee, Duck-Hee,Kim, Nam 한국통신학회 1998 韓國通信學會論文誌 Vol.23 No.4

        광정보처리와 광연결에 널리 사용되는 위상홀로그램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정확한 위상을 갖게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광 리소그래피 방식에 의한 위상 홀로그램의 제작 시 요구되는 위상을 얻기 위한 방법으로 회절빔의 0차 세기와 홀로그램의 위상과의 관계를 도입하였고, 이를 이용하여 위상이 각각 $\pi$와 $\pi$/2인 이진 위상 홀로그램을 제작하였다. 이 두 홀로그램을 결합하여 다중 위상 홀로그램을 구현함으로서 이진 위상 홀로그램에서 재생되는 불필요한 영상을 제거할 수 있었다. It is very crucial to make the phase holograms have the exact phase difference in the fabrication process. We have developed a fabrication criterion of obtaining the exact phase difference of the holograms by using the relation between the zeroth order intensity of diffected beam and the relative phsse difference of the fabricaated holograms. We have fabricated holograms having phaes of .pi. and .pi./2, respectively, and we could get multi-phase holograms by combining these two binary thase holograms.

      • 위상 홀로그램 어레이와 LC-SLM를 이용한 문자 디스플레이 장치

        강봉균,서호형,김남,Kang, Bong-Gyun,Suh, Ho-Hyung,Kim, Nam 대한전자공학회 1998 電子工學會論文誌, D Vol.d35 No.9

        액정 공간 광 변조기와 회절효율이 높은 위상 홀로그램 어레이를 이용하는 새로운 방식의 문자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안하고, 이를 이용해 다양한 문자 디스플레이를 하는 광학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즉, LC-SLM의 장점인 능동적인 특성과 광 리소그라피 방식으로 제작된 위상 홀로그램 어레이의 높은 효율 및 정확도의 특성을 결합시켜 빠르고 정확한 문자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현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문자 디스플레이 장치는 빛을 이용하여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는 중요한 의미를 가지며 광 정보처리 및 광통신 분야에서 응용할 수 있다. We demonstrated the character display unit using a binary phase hologram array and a liquid crystal-spatial light modulator (LC-SLM). It combines the dynamic property of the LC-SLM with the high-efficiency property of the phase hologram fabricated by photolithography. Experimental results of the proposed unit are presented. The character display unit proposed in this paper has a fundamental and important meaning as new method displaying images by using light, and it will be used in optical information processing and optical communications fields.

      • KCI등재

        공간광변조기를 이용한 실시간 자유공간 광연결 구현

        이득주,강봉균,김남,서호형,Lee, Deug-Ju,Kang, Bong-Gyun,Kim, Nam,Suh, Ho-Hyung 한국통신학회 1997 韓國通信學會論文誌 Vol.22 No.5

        단일 스테이지 스위칭 구조를 갖는 홀로그래픽 크로스바에 의한 동적인 자유공간 광연결을 실험하였다. 동적인 동작을 위해 전기적인 주소지정방식의 액정 공간광변조기와 회절격자가 매트릭스-매트릭스 크로스바에서의 고정적인 홀로그램을 대신하여 사용되었다. 회절격자는 규칙적인 셀들로 이루어졌으며 각 셀마다 서로 다른 위상지연 정도를 갖는다. 이러한 화소형 위상격자 배열을 공간광변조기에 띄어 입력빔의 방향으로 편향시키거나 여러 빔으로 분리한 후 원하는 위치로 빔의 방향을 조종한다. 이러한 실험결과 컴퓨터와 공간광변조기, 위상형 회절격자를 이용하여 자유공간 광연결이 동적으로 수행됨을 보였다. Dynamic free-space optical interconnection system is experimented by a holographic crossbar with single-state switching architecture. For dynamic operation, electrically addressed liquid-crystal spatial light modulator and diffraction gratings are used in place of passive holograms of matrix-matrix crossbar. Diffraction gratings are consisted of regular cells which have different phase delays. This pixelated phase grating array displayed on SLM(Spatial Light modulator) deflects an input beam toward a wanted direction or splits an input beam into many beams and then steers them to desired positions. Through the experimental results, free-space optical interconnection is dynamically perfomed using a computer, SLM and phase diffraction gratings.

      • KCI등재

        고효율 스폿 배열 발생을 위한 줄무늬형 2차원 회절격자

        이득주,윤병호,김남,서호형,Lee, Deug-Ju,Yoon, Byeong-Ho,Kim, Nam,Suh, Ho-Hyung 한국광학회 1995 한국광학회지 Vol.6 No.2

        규칙적인 간격이 $M\timesN$ 이차원패턴과 임의 모양 빔 스폿을 발생시키기 위해 일반적인 이차원 Dammann 격자보다 재구성 에러가 작고, 높은 효율을 보이는 줄무늬형 격자를 설계하였다. 회절효율은 일반적인 이차원 Dammann 격자의 효율보다 평균 15-20% 정도 높은 60% 이상을 얻었다. 설계된 격자는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해 회절특성을 확인하였으며 우수한 패턴 발생 결과가 확인되었다. $3\times3에서 11\times11$까지의 규칙적인 스폿 배열과 문자열에 대한 효율, 계산 시간 및 표준편차를 비교분석하였다.

      • 유전자 알고리즘을 사용한 이진 위상 홀로그램 설계

        이창용(Chang-Yong Lee),송윤선(Yoonseon Song),서호형(Ho Hyung Suh) 한국정보과학회 1999 정보과학회논문지(B) Vol.26 No.2

        In this paper, we have developed a combinatorial optimization method, using the genetic algorithms, for the design of computer-generated binary phase holograms. The design of binary phase holograms renders to an optimization problem in which the phase of each cell on the hologram is to be determined in such a way as to yield the desired image in the output field. In order to apply effectively the genetic algorithms to the design of binary phase holograms, we utilized two dimensional representation of the chromosome and the crossover operator with periodicity. As a result, we could perform two dimensional Fourier transform required in the problem in a natural and an effective way. The obtained optimal phase configurations were used to reconstruct their corresponding optical images through the spatial light modulator(SLM) and we found that the optical images agreed well with the desired ones. 본 논문에서는 컴퓨터를 사용한 이진 위상 홀로그램의 설계시 요구되는 조합 최적화 문제(combinatorial optimization problem)를 유전자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해결하고자 한다. 이진 위상 홀로그램의 설계는 출력 면에 원하는 이미지를 생성하기 위하여 홀로그램의 각 셀에 이진 위상을 결정하는 것으로 최적화 문제로 귀착된다. 유전자 알고리즘을 이진 위상 홀로그램 설계에 효율적으로 적용하기 위하여 이차원 염색체 부호화 및 주기성을 고려한 교차 연산자 등을 사용하면, 그 결과 홀로그램 설계시 요구되는 이차원 퓨리에 변환(Fourier transform)을 자연스럽고 효율적인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 유전자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구한 최적의 이진 위상 배열로 공간 빛 변조기(spatial light modulator, SLM)를 이용하여 광학적으로 이미지를 재생하고, 재생된 광학 이미지는 원하는 이미지와 거의 일치함을 보인다.

      • KCI등재

        Z-scan 방법에 의한 비정질 As₂S₃ 박막의 비선형 굴절률 측정

        김성규(Seong Gyu Kim),이영락(Yeung Lak Lee),곽종훈(Chong Hoon Kwak),최옥식(Ok Shik Choe),이윤우(Yun Woo Lee),송재봉(Jae Bong Song),서호형(Ho Hyung Suh),이일항(El-Hang Lee) 한국광학회 1998 한국광학회지 Vol.9 No.5

        비선형 Kerr 매질을 통과하는 Gaussian 빔에 대해 aberration-free approximation과 Huygens-Fresnel 회절 이론을 적용하여 Z-scan 투과율에 대한 해석해를 유도하였다. 비정질 As₂S₃ 박막에 대해 Z-scan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이론과 비교하여 잘 일치함을 알았다. 633㎚ 파장에서 측정된 비선형 굴절률 γ의 크기와 기호는 +8.65×10^(-6)㎠/W이며, 또한 먼 영역(far-field)에서 빔 세기분포를 측정하여 자기 집광(self-focusing) 효과를 가시적으로 확인하였다. We present a theoretical analysis of Gaussian beam propagation in nonlinear Kerr media by using aberration-free approximation and Huygens-Fresnel diffraction integral and obtain a simple analytic formular for Z-scan characteristics. Z-scan experiments are carried out on amorphous As₂S₃ thin film and compared with the theory developed, showing good agreement. The sign and the value of γ have been measured at 633 ㎚ to be +8.65×10^(-6)㎠/W. We also measured the far-field intensity profiles, which confirm again self-focusing effec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