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국어 현재 시제의 형태론적 실현

        서형국 민족어문학회 2002 어문논집 Vol.45 No.-

        A study on the morphological realizationof present tense in Modern Korean 이 글은 문장 종결형을 대상으로 국어에 현재 시제가 존재한다는 형태론적 근거를 어형변화표를 통해 확인하고 그 의의를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국어 문장 종결형의 문법 범주는 선어말어미로만 발현되는 것이 아니며, 어형변화표 내에서 형태론적 실현 양상이 공고하게 유지함으로써 실현될 수 있다. 국어의 현재 시제는 선어말어미를 통해 발현된다기보다 어형변화표 내에서 현재를 표현하는 어형들을 형태론적으로 공고히 유지함으로써 실현된다.이와 같은 논의를 통하여 국어에도 굴절어적인 어형변화표를 이루는 범주가 존재한다는 점을 분명히 하고, 국어에서 하나의 범주가 하나의 형태소로 일대일 대응하는 관계를 보이는 교착어적 성격에만 국한된 특성을 보이지 않음도 아울러 살펴본다.<주요 어휘>현재 시제, 어형변화표, 선어말어미, 굴절어적 특성

      • KCI우수등재

        구성성분을 형성하는 구성체의 형식 유형에 대하여

        서형국 국어국문학회 2019 국어국문학 Vol.0 No.189

        This paper aims at surveying the syntactic patterns which contribute to conforming syntactic constituents in Korean. Besides case markers and transfunctionalizing endings, there are a lot of constructions which is come up with lexical units whether it is bound with another grammatical morphemes or not. I here collected syntactic patterns from the dictionary descriptions. The patterns can be categorized according to form classes, syntactic functions, and semantic properties. In this paper, I focused on the function of syntactic constituent, which can be used for explaining the principles of syn- and diachronic sentence formation. So in this paper the syntactic patterns categorized on the criteria of function expressing forms and syntactic functioning. On the basis of the constituent pattern, it can be researched about the principles of pattern formation, and the functional distribution and pattern change which includes functional and formal change. I expect the results of this survey can contribute to the research on grammaticalization of Korean. 본고에서는 체언이나 용언에 형식적 고정성을 갖춘 복합적인 구성체가 개입하여 구성성분을 형성하는 경우를 대상으로 하여, 이들 구성체를 이루고 있는 형식 단위에 따라 유형별로 분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고는 한국어의 문법적 기능 단위를 형성하는 절차로 문법 형태소가 참여하는 경우 외에도 어휘적 구성이나 그 확장형인 구성체들이 참여하여서도 성분을 형성한다는 점을 감안하고, 이들을 총괄하여 기술하는 것으로 기능적 단위의 형성 과정과 작동 원리를 설명할 수 있다고 본다. 한국어 기능 단위의 문법적 기능이 주로 조사와 어미가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되어 왔음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기능 단위가 일정한 기능을 부여받는 데 조사나 어미 같은 단일한 문법 형태소만이 관여하는 것은 아니다. 때로는 어휘가 성분 형성의 기능을 하기도 하고, 여러 형태가 복합적으로 구성을 이루어서 성분을 형성하는 기능을 수행하기도 한다. 본고에서는 이런 기능을 수행하는 역할을 갖게 되는 고정적 패턴을 총괄하여 살펴보는 것으로 한국어 통사론의 기초적 탐구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 본고에서는 기존에 조사와 어미 외에도, 조사의 기능을 획득한 어휘 부류, 자립 명사나 의존 명사를 중심으로 때로는 격조사와 통합한 명사류, 용언이나 체언을 성분을 갖는 부사류, 용언의 활용형이 논항을 취한 형식으로 성분을 이루는 경우, 특정 어휘가 일정한 조사나 어미와만 어울려 성분을 이루는 경우를 기술적(記述的)으로 정리하였다. 이런 구성체의 형식 유형은 문장 안에서 기능 단위로 사용되는데, 이상의 기술 사항을 문장 안에서의 쓰임에 따라 기능적 유형으로 정리하면서 문장 성분과도 비교하여 정리하였다.

      • KCI등재

        판소리계 고소설의 담화 요인 분석 방법 – 『열여춘향슈졀가』를 중심으로 –

        서형국 국어사학회 2012 국어사연구 Vol.0 No.15

        이 논문은 완판 84장본 『열여춘향슈졀가』를 대상으로 담화 요인 주석과 형태소 분석을 통하여 국어사 문헌 자료를 종합적으로 검토하는 방법론적 시안을 마련하는 데 연구의 목표가 있다. 본 연구는 국어사 문헌 자료의 질적 특성을 감안한 연구, 전자 주석을 통한 계량적 연구, 방법론적 시안을 마련하기 위한 연구의 특성을 갖는다. 본 연구에서는 크게 다음 네 가지 변인을 검토하고, 이를 연구에 반영하 고자 하였다. (1) 『열여춘향슈졀가』는 구연을 전제한 담화 특성이 잘 반영된 문헌이다. (2) 문헌 텍스트가 반영하는 담화 장면에 따라 ‘서술 담화 여부’, ‘대화 여부’, ‘친소/위계 대화 여부’를 ‘화자/청자’를 반영하여 담화를 분석한다. (3) 계량의 측면은 종합적으로 어절 복잡도와 형태소의 분포를 담화 장면별로 감안하여 분석한다. 이와 같은 연구 방법론을 적용하여 볼 때, 개별 담화 요인은 그 자체로 절대적인 상관관계를 보이지는 않는다. 그러나 담화 요인은 어절 복잡도나 형태소 빈도와 같은 언어 현상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상관관계를 비교적 일관되게 가짐을 확인해 주었다. The aim of this paper is suggesting new methodology focusing in aspects of discourse in historical texts. Aspects of discourse suggested in this paper are 1)whether texts are narratives or not, 2)whether the speech is dialogue or not, 3) to whom and from whom the dialogue is attended, 4)whether the mode of dialogue is friendly speaking or hierarchical. It is selected for the data of analysis Yeollyeo-chunhyang-shyujyeolga, which is the most famous classical korean novel, so can be the representative of that genre. This paper tests this text by four criteria as has been suggested in two methods. Firstly, all the words in the texts are tested from the standpoint of speaker/listener. Secondly, all the morphemes in the texts are tested from two standpoints of discourse elements - that is the degree of word complexity and the frequency of morpheme - by four discourse criteria. As a results, the methodology suggested in this paper can make survey the historical data not with absolute correlation but with relative correlation. Or the historical data can be viewed as linguistically consistent by discourse-focused analytic methodology or by combinatory analytic methodology of discourse element.

      • KCI등재

        역법(曆法)과 천문(天文) 정보로 본 『朴通事』

        서형국 국어사학회 2013 국어사연구 Vol.0 No.17

        이 논문은 朴通事 를 理解하기 위한 方法으로 天文과 曆法 情報를 適用해 보려는 데 目的이 있다. 朴通事 는 14세기 중반의 사실을 바탕으로 舊本{ 朴通事 가 처음 저술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15세기 말에 이 舊本{을 修訂하였다는 기록이 전하고, 언해를 곁들인 刪改本{ 계열의 現傳 {飜譯} 朴通事 는 늦어도 16세기 초까지는 간행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刪改本{ 계열의 朴通事 에는 舊本{의 內容일 것과, 刪改 당시의 狀況일 것이 뒤섞여 있다. 또한 文面 그대로는 事實에 附合하지 않는 部分도 있다. 본 연구에서는 現傳 最古本{인 刪改本{ 계열의 {飜譯} 朴通事 를 이해하기 위하여, 天文과 曆法 정보를 활용하는 방안을 제시하려 한다. 天文과 曆法 정보를 활용하면 朴通事 卷中 73話에 전하는 星占에 대한 올바른 해석이 가능하고, 卷下 97話에 남아 있는 日字 記錄의 正誤도 바로잡아 볼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서 천문과 역법 정보를 이용하여 朴通事 를 좀 더 정확히 이해할 수 있게 되었다. 朴通事 에 담긴 사회・문화적 사실을 다양한 분야의 정보를 이용하여 접근하는 것이 가능하며, 또한 유효하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정보를 이용함으로써 舊本{ 당시의 내용과 刪改된 부분을 정확히 갈라내어 이해할 수 있었다. 刪改 科程에서 一部 誤字와 脫字가 있은 채로 전해지고 있는 部分도 舊本{의 表\現을 復原하여 理解할 수 있게 되었다. 曆法과 關聯되어 있는 內容을 檢討함으로써 이 會話書의 登場人物은 現代 韓國의 文化와 꼭 같은 방식을 따랐음을 確認하였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re-read Bakthongsa from the perspectives of astronomy, calendar, and horoscope. The book Bakthongsa had been published in about 1355 AD, which is not present anymore. But the book has revised edition that was published from 1480 to 1517 AD. Therefore, the book Bakthongsa represent the uncertain time-depth, in some cases 14th century's, and in other cases 15th or 16th century's. In addition to this problem, in some text, there are some error that cannot be read reasonably. So it is needed that the book is reviewed from the perspective of textual criticism. I compared the information of astronomy, calendar, horoscope. That information spans from 14th century to 16th century. As a result, it can be clearly divided the 14th century's contents from the 15th or 16th century's contents.

      • KCI등재

        『한국언어문학』50년의 문법·의미 연구

        서형국 한국언어문학회 2013 한국언어문학 Vol.86 No.-

        The aim of this paper is reviewing all the articles on grammar and on semantics and on some other discipline listed in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of The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Society. The numbers of articles that we review are 324. All of articles are published from 1963 to this year 2013. Research trends of grammar and semantics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are: 1) Average number of articles are upsurging in 1980'. And twice and quarterly publishing policy makes this trend go on or makes it more. 2) Moot of subdiscipline represents similar development in time and amount. Discourse and Pragmatics, unlike morphology, syntax, lexicology and semantics, appear to be late and scarce in development and amount of articles. 3) All the subdiscipline starts from introducing theory of general linguistics and turn the theme over matter of Korean This trend makes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Korean corpus linguistics mere interested, because synthetic research is mere and more needed. So this paper SUggest for the development of research on grammar and semantics subdiscipline to the Society : 1) It is needed the balance between theoretical research and material research, and the Society makes effort and support this trend. 2) For each subdiscipline, the theme of research is scattered evenly, though this trend cannot be driven by anyone. 3) The Society must make opportunity to debate1:etween individual researchers and the journal support this via space.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디지털 언어 지도 시스템 개발과 한국 방언 지도

        서형국,안동언 영주어문학회 2019 영주어문 Vol.42 No.-

        This paper aims at introducing Digital Atlas System for Korean Language(DAS4K) and reviewing the Linguistic map making methods specialized for Korean Dialect. From the start, we review and classify various linguistic informations underlying linguistic data. We check the types and classes of linguistic information needed to visualize onto linguistic atlas. There are linguistic and non-linguistic informations in the sphere of making Korean linguistic atlas. In the course of introducing DAS for Korean Language, especially Korean dialect, we layed non-linguistic information to the inner layer of the system, and for the linguistic information of Korean language we make the information free for the user’s selection. So the user of DAS for Korean Language system can combine the linguistic information onto the map for the sake of themselves freely. It would be the morphological information, inter alia structural information of word-formation that the user of the system can select in the course of map-making procedure. We continue the argument for the future system. That would be real system not the hope of in situ situation. Though the prospect is not sufficient, it is necessary to search for the alternative for Linguistic Atlas. 이 연구에서는 디지털 언어 지도 시스템(2009)을 중심으로 한국 방언 지도 작성의 방법론을 점검하고 그 발전적 전망을 시도하였다. 한국어 방언을 언어적・비언어적 정보의 다양한 차원에 따라 시각적으로 지도에 표시한 결과가 한국 방언 지도이다. 본 연구에서는 방언 자료가 갖는 언어 정보를 체계적이고 개방적인 방식으로 지도에 표시하는 방식을 중심으로 논의하되, 언어 정보가 갖는 형태론적 정보를 근어의 공통성, 단위 결합 단계와 결합 단위의 종류에 따라 체계화하여 보일 수 있는 방안이 수립될 수 있음을 보였다. 해석의 가능성이 방언 지도에 추가될 수 있는 개연성을 모색해 보는 전망적 반성도 계속될 것임을 제시하는 것으로 논의를 마무리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