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패러디 그림책 관련 활동이 유아의 편견감소와 비판적 사고력에 미치는 영향

        서현,고옥향,박미자 한국유아교육학회 2018 정기학술대회 논문집 Vol.2018 No.-

        본 연구는 패러디 그림책 관련활동이 유아 편견 감소와 비판적 사고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K시에 소재한 L유치원 5세반 2개 학급 총 40명으로, 실험집단 20명, 비교집단 20명을 배정한다. 실험집단에는 패러디 그림책 관련 활동인 이야기 회상하기, 패러디 그림책 읽어주고 토의하기, 인물 단평하기, 등장인물들에게 편지쓰기, 패러디 그림책 구성하기 등의 활동을 실시한다. 비교집단에는 누리과정의 생활주제별 그림책을 읽어주고 느낌을 이야기 하는 활동을 실시하며, 1주에 3회씩 총 15회기 진행한다. 유아의 편견 감소 반응을 측정하기 위한 연구도구는 양미현(2000)이 개발하고 서현(2003)이 수정·보완하여 사용한 도구를 홍현이(2009)가 다시 수정. 보완한 도구를 사용하고, 비판적 사고력을 측정하기 위한 연구도구는 김현경(2002)이 ‘유아를 위한 비판적 사고 교수 모형의 구성 및 그 적용 효과에 관한 연구’에서 제작한 것을 사용한다. 연구결과 패러디 그림책 관련 활동을 경험한 실험집단은 비교집단에 비해 편견 감소와 비판적 사고력에 긍정적이 효과가 있을 것이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는 패러디 그림책 관련 활동을 유아교육현장에 적용했을 때, 유아의 편견감소와 비판적 사고력에 효과적인 교수·학습 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고, 나아가 능동적 독자로서의 유아의 능력을 살펴 볼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을 시사한다.

      • 퍼포먼스 미술활동이 유아의 행복감과 자기 표현력에 미치는 효과

        서현,박인자,박미자 한국유아교육학회 2017 정기학술대회 논문집 Vol.2017 No.-

        본 연구는 퍼포먼스 미술활동을 활용한 유아의 행복감과 자기 표현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G시에 소재하고 있는 만 5세 유아 40명으로, Y유치원 만 5세 유아 20명(남아12명, 여아8명)을 실험집단으로 통제집단은 I유치원 A학급의 만5세 유아 20명(남아14명, 여아6명)을 통제집단으로 하였다. 실험집단에는 퍼포먼스 미술활동을 적용하였고 통제집단에는 생활주제에 따른 미술활동을 적용하였다. 연구도구는 이은주(2010)가 개발한 행복척도와 Rocks와 Schroeder(1979)가 개발한 자기표현 평정척도를 김성희(1980)가 우리 문화 수준에 맞게 번한한 것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퍼포먼스 미술활동을 경험한 실험집단이 비교집단에 비해 유아의 행복감과 자기 표현력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는 퍼포먼스 미술활동을 유아교육 현장에 적용했을 때 효과적인 교수·학습 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

        선택적 레이저 섬유주성형술의 녹내장수술로의 진행 예방에 대한 성공인자 분석

        서현,박혜영 대한안과학회 2023 대한안과학회지 Vol.64 No.3

        Purpose: To investigate the factors predicting successful selective laser trabeculoplasty (SLT) to prevent glaucoma progression to surgery in patients whose intraocular pressure (IOP) is not controlled with medications. Methods: This retrospective chart review included 102 eyes of 92 glaucoma patients who underwent SLT between 2018 and 2020. Success was defined as the prevention of glaucoma surgery for at least 1 year with an IOP less than 21 mmHg or no progression of retinal nerve fiber layer thinning. Kaplan-Meier survival analysis and the Cox proportional hazard model were used for the analysis. Results: A low pretreatment IOP, good visual acuity, and a smaller visual field defect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success. When the other eye underwent glaucoma surgery or its SLT treatment failed, the success rate of SLT was lower. As the pretreatment IOP increased by 1 mmHg, the SLT failure rate increased by 1,376 times and when the SLT for the other eye failed, it increased by 19,577 times. When the mean deviation of the visual field increased by 1 decibel (dB), the SLT failure rate decreased by 0.928 times (p < 0.05). Conclusions: SLT is more effective in early glaucoma patients with an IOP lower than 25 mmHg, smaller visual field defect, and good visual acuity to prevent glaucoma progression to surgery. 목적: 약물 치료로는 안압이 조절되지 않는 녹내장 환자에서 선택적 레이저 섬유주성형술(selective laser trabeculoplasty, SLT)을통해 녹내장수술로의 진행을 예방할 수 있는 성공인자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2018년부터 2020년까지 SLT를 시행받고 추적 관찰을 시행한 92명의 102안을 대상으로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1년 이상 안압이 21 mmHg 이하로 조절되어 녹내장수술을 시행하지 않고 경과 관찰 중인 환자를 SLT 성공군, 1년 이내에 녹내장수술을 시행한 경우를 SLT 실패군으로 정의하였다. Kaplan-Meier 생존 분석 및 Cox proportional hazard model을 이용하여 성공률을 산출하고 성공예측인자를 분석하였다. 결과: 시술 전 안압이 낮을수록, 교정시력이 좋을수록, 시야결손이 적을수록 SLT 시술의 성공률이 더 높았다. 반대안이 녹내장수술을받은 경우나 SLT 시술이 실패한 경우 SLT 시술의 성공률은 더 낮았다. 특히 시술 전 측정한 안압이 1 mmHg 증가할수록, 반대안SLT 시술이 실패하였을 경우 SLT 시술이 실패할 확률이 각 1.376배, 19.577배 증가하였으며, 시야결손의 mean deviation값이 1 dB 증가할수록 SLT 시술이 실패할 확률이 0.928배 감소하였다(p<0.05). 결론: 약물 치료로 안압이 조절되지 않는 환자 중 안압이 25 mmHg 이하이고 시력저하나 시야결손이 비교적 덜 진행된 초기 녹내장일때 SLT 시술을 시행하는 것이 녹내장수술로의 진행을 예방하는 데 유리하다.

      • KCI등재

        유아교사의 직무만족도와 조직몰입 관계에서 유아교육공동체 실현역량의 병렬다중매개효과

        서현,차화연,박미자 한국유아교육학회 2023 유아교육연구 Vol.43 No.6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직무만족도와 조직몰입의 관계에서 유아교육공동체 실현역량의 병렬다중매개효과를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G시 및 J도 지역의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근무중인 유아교사이고, 설문지 218부를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6.0과 PROCESS macro 4.3 버전을 사용하였고, 다음과 같은 연구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유아교사의 직무만족도는 조직몰입에 정적 영향을 미쳤다. 그리고 유아교사의 직무만족도는 동반자역할 수행을 위한 심리적 역량과 가치공유를 위한 사회적 역량에 정적 영향을 미쳤다. 또한, 동반자역할 수행을 위한 심리적 역량은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가치공유를 위한 사회적 역량은 조직몰입에 정적 영향을미쳤다. 둘째, 유아교사의 직무만족도와 조직몰입의 관계에서 동반자역할 수행을 위한 심리적 역량은 매개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가치공유를 위한 사회적 역량에서는 정적 매개효과가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유아교사의 조직몰입을 높이기 위해서는 유아교사의 가치공유를 위한 사회적 역량을 높여주는 것이 우선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analyze the mediating effect of competence to realize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commun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s research subjects, 218 kindergarten and daycare center teachers located in G-si and J-do were selected. Using the SPSS program and PROCESS Macro Model 4,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o observe Pearson’s correlation and parallel multimedia effec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early childhood education community realization competence. Seco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psychological competencies did not affect the parallel multi-mediated effect according to the sub-factor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community realization competence, and only social competencies had a mediating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se findings confirm that early childhood teachers’ job satisfaction is an important variable in influencing organizational commitment. Furthermore, this study suggests that social competencies are necessary to a greater extent than psychological competencies to increase organizational commitment.

      • KCI등재후보

        국내 중규모 이상 공연문화시설 공간구조분석

        서현,김선영,김석태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 2011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논문집 Vol.- No.34

        According to Korea social, economic growth after 1970’s, the quality of life of the citizens changed and the cultural level improved greatly. Upon the effect, the demand expends about performing art of the citizen. Also performance cultural facility is extending rapidly. Recently domestic performance cultural facility is mixed to add the function to the inside, and the size of building is expanded because of adding various function of space. According to add the function, special layout of facility also is changing complicatedly. Therefore, the visitors are hard to understand recognizing a space to use facility. As composing elements of space increasing, many problems which relate with a space perception will more increase. But the research which graps the quality of space was overlooked relatively. The research was focused on 8 performing cultural facilities which were erected after 1970’s in domestic. These in the objects, this study analyzed spatial configuration then grasped the feature of space by analyzing by Space Syntax. The research result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center of spaces is performing art facilities still while this phenomenon will continue. 2) Performing art facilities were divided into three types: types characteristics were investigated. 3) The performing art center's managers use the space, the separation of space and the audience concluded that a well placed. 4) The number of seats are help the user's space perception easy. According to Korea social, economic growth after 1970’s, the quality of life of the citizens changed and the cultural level improved greatly. Upon the effect, the demand expends about performing art of the citizen. Also performance cultural facility is extending rapidly. Recently domestic performance cultural facility is mixed to add the function to the inside, and the size of building is expanded because of adding various function of space. According to add the function, special layout of facility also is changing complicatedly. Therefore, the visitors are hard to understand recognizing a space to use facility. As composing elements of space increasing, many problems which relate with a space perception will more increase. But the research which graps the quality of space was overlooked relatively. The research was focused on 8 performing cultural facilities which were erected after 1970’s in domestic. These in the objects, this study analyzed spatial configuration then grasped the feature of space by analyzing by Space Syntax. The research result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center of spaces is performing art facilities still while this phenomenon will continue. 2) Performing art facilities were divided into three types: types characteristics were investigated. 3) The performing art center's managers use the space, the separation of space and the audience concluded that a well placed. 4) The number of seats are help the user's space perception eas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