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만 5세 유아의 ‘친구 사귀기’ 과정에서 긍정적 친구관계 유지를 위한 교사 전략 탐색

        서향희(Seo Hyanghee)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16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20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만 5세 유아의 친구 사귀기 과정에서 긍정적 친구관계 유지를 위한 교사 전략이 무엇인지 자유선택활동을 중심으로 질적 연구방법으로 탐색하여 유치원 현장에서 친구관계 중재 프로그램 개발에 필요한 실질적인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한 연구 참여자는 서울특별시 공립 S유 치원 슬기반 담임 박교사 1명과 보조교사 김교사 1명, 슬기반 만 5세 유아(남: 10명, 여: 9명) 총 19명 이며, 2015년 3월부터 2015년 6월까지 참여관찰과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교사는 유아들의 긍정적 친구관계 유지를 위해 고립 유아의 중재를 위한 ‘형성하 기’(shaping)의 전략을 사용하였으며, 형성하기는 교사가 유아들에게 사회적 보상을 사용하여 친구관계 에서 바람직한 행동을 계속하게 하거나 한 번에 조금씩 하도록 하는 전략을 의미하였다. 또한 교사는 친 구를 잘 사귀는 유아와 친구를 잘 사귀지 못하는 유아들의 ‘또래 짝짓기’를 통해 무시 유아의 사회적 기 술과 지위를 향상하였으며, 짝짓기 과정에서 또래 유아들 간의 유사성을 발견하고 긍정적 관계를 발달시킬 수 있도록 도와 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였다. 그리고 다른 유아들이 우호적인 의도로 접근한다는 것을 파악하여 상황을 새롭게 보는 시각을 제공하였으며, 유아들이 자신의 행동이 친구관계 유지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를 인식하도록 돕는 것도 중요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만 5세 유아들의 원만한 친구관계 유지와 건강한 심리사회적 발달을 위한 구체적인 친구관계 유지 방법을 교사의 관점에서 지속 적인 탐색이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explore teachers’ strategies for positive friendship maintenance in five-year-old children’s friend making process focusing on free choice activities using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ies, and to provide basic practical information for developing friendship intervention programs applicable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class teacher Park, assistant teacher Kim, and 19 five-year-old children (10 boys and 9 girls) from the Wisdom Class of S Kindergarten, a public kindergarten in Seoul, and participant observation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during the period from March to June in 2015.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teachers used the ‘shaping’ strategy as an intervention for isolated children’s positive friendship maintenance. The shaping strategy meant that the teachers used social compensations for the children so that the children might continue desirable behaviors or try them a little at a time. In addition, the teachers improved neglected children’s social skills and status through ‘peer pairing’ between a child good at friend making and another poor, and through the pairing process, they provided children with opportunities to find similarities between the children and to develop a positive relationship. Through ‘peer pairing,’ what is more, they helped the children recognize that others were approaching with a friendly intention and have a new view of situations. Furthermore, it was important to guide young children to be aware of how their behavior would influence friendship maintenance.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e necessity of continuous inquiry from teachers’ viewpoint into specific friendship maintenance strategies for five-year-old children’s desirable friendship maintenance and healthy psychosocial development.

      • KCI등재

        유치원 만 5세 유아들의 친구관계에 대한 교사의 걱정

        서향희(Seo, HyangH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6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만 5세 유아들의 친구관계에 대한 교사의 걱정이 무엇인지를 유치원 자유선택활동 시간을 중심으로 질적 연구방법으로 탐색하여 만 5세 유아들의 친구관계 이해에 대한 실질적인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한 연구 참여자는 서울특별시 B대학교 부속유치원 이슬반 담임 유교사 1명과 보조교사 신교사 1명, 이슬반 만 5세 유아(남: 8명, 여: 7명) 총 15명이며, 2015년 3월부터 2015년 7월까지 참여관찰과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교사는 유아 또래 간 불평등한 친구관계에서 발생하는 친구선택의 문제를 걱정하였으며, 유아들이 친구관계를 형성해 가는 동안 교사는 다른 유아에게 자신의 변화하는 욕구를 표현하도록, 그리고 새로운 친구관계를 탐색하도록 도울 수 있어야 함을 의미하였다. 또한 유아들의 사회적 지평이 확장되면서 자신의 가치와 다르더라도 또래 집단이 만든 규칙과 규범을 수용하고자 하는 또래 압력을 교사는 걱정하였으며, 특히 정직과 같은 특정한 행동 신념에 관해서 유아들이 분별할 수 있도록 교사의 지원이 필요하였다. 교사는 또래 친구들로부터 무시되어 따돌림의 대상이 되는 유아들을 걱정하였으며, 따돌림의 대상이 되는 유아들은 자신이 무시될 것이라고 예상하고 긍정적인 사회적 기술을 배울 수 있는 경험의 기회를 놓치게 되어 결국 고립되는 악순환이 반복되고 있음을 의미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만 5세 유아들의 긍정적인 친구관계 지원에 대한 교사의 관점에서 지속적인 지원과 탐색이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teachers’ worries about friend relationships among five‐year‐old children through qualitative analysis, focusing on kindergarten free choice activity hours, and ultimately to provide basic practical information for understanding five‐year‐old children’s friend relationship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the class teacher and an assistant teacher of Iseul (Dew) Class and 15 five‐year‐old children of the class (8 boys and 7 girls) at the kindergarten affiliated to B University in Seoul, and participant observations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during the period from March to July in 2015.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teachers worried about the problem of friend selection arising from unequal friend relationship among the young children. This means that, while young children are forming friend relationships, their teacher should help them express their changing desires to other children and explore their new friend relationships. In addition, the teachers worried about peer pressure that, along with the expansion of their social horizon, forces young children to accept rules and norms created by the peer group even if the rules and norms conflict with their values. Thus, the teacher’s support is essential for young children to have discernment for specific behavioral beliefs such as honesty. The teachers also worried about young children who were neglected and bullied by the peers. Bullied children anticipate being neglected, and as a result, they lose opportunities to learn and experience positive social skills, and this aggravates their isolation further. In this way, the vicious cycle is repeated.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continuous support and research from the teacher’s viewpoint are necessary for providing young children with guidance for their positive friend relationships.

      • KCI등재

        유아들의 또래 괴롭힘 상황에서 피해 유아의 특성에 관한 연구 : 자유선택활동 시간을 중심으로

        서향희(Seo, HyangH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24

        본 연구는 슬기반 만 5세 유아들의 또래 괴롭힘 상황에서 피해 유아의 특성을 참여관찰의 질적 연구 관점으로 탐색함으로써, 유아들의 또래 괴롭힘 지원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한 연구 참여자는 서울특별시 G구에 소재한 사립유치원 슬기반 담임 박교사 1명과 슬기반 만 5세 유아(남: 6명, 여: 8명) 총 14명이며, 2019년 3월 4일부터 2019년 6월 28일까지 17주 동안 30회기에 걸쳐 참여관찰과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피해 유아들은 수줍음이 많은 유아들로 타인과의 사회적 상호작용 기회를 좀 더 제한되게 하며, 제한된 사회적 접촉은 사회적 상호작용에서 더욱더 인정되지 못하는 사회적 관계의 어려움을 의미하는 것이었다. 친밀감이 낮은 교사와의 관계로 인해 또래들에게 배척되고 무시되는 경향이 높아져 또래 유아들에게 함께 놀이하고 싶지 않은 상대가 됨을 의미하였다. 사회적 단서에 대한 부정확한 인식으로 인해 공격적인 행동과 비공격적인 행동에서 차이가 있는 사회적 단서를 정확하게 해석하지 못하고 이를 통해 피해자에서 가해자가 되는 과정을 의미하는 것이었다. 가해유아들에게 괴롭힘을 당하면서도 가해 유아의 권위에 복종하며 함께 놀이하고자하는 것은 피해 유아가 자신의 불이익을 감수하면서도 가해 유아에게 복종해야만 놀이상대가 될 수 있다는 지배형 괴롭힘을 의미하는 것이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또래 괴롭힘 피해와 같은 또래관계 어려움의 중재 및 예방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교사역할의 중요성을 시사하고 있다. This study attempted to explore the traits of victimized children in the peer bullying situation of Seulgi class 5 years old children in the qualitative research perspective of participation observation to present basic data for supporting peer bullying of children.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teacher Park in Seulgi class, a kindergarten teacher in G -gu, Seoul, and 14 children in Seulgi class (5 males and 8 females), and participant observations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for 17 weeks from March 4, 2019 to June 28, 2019. As a result, victimized children are shier, limiting their chances of social interaction with others, and the limited social contact meant the difficulty of social relations, which is even less recognized in social interaction. more likely to be rejected and ignored by their peers because of the relationships with their less intimate teacher, which meant being an early childhood partner with whom peers didn t want to play together. Not accurately interpret social clues that differ between aggressive and non-aggressive behavior because of inaccurate perceptions of social cues, such as the behavior of others, voice tones, and facial expressions, which meant the process of becoming the perpetrator from a victim. the reason why the victimized children obey bullying children’s authority and play together with them while they are being bullied by the perpetrating peers was because it meant a dominant bullying, in which the victimized children would be able to play if he/she had to obey the perpetrating children while at his/her own risk. Based on an understanding of the traits of these victimized children, this suggests the importance of the teacher s role in preparing intervention and preventing measures for difficulties of peer relations such as peer bullying damages.

      • KCI등재

        변혁적 리더십이 일반직 공무원의 직무태도에 미치는 영향 : 긍정적.부정적 정서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서향희(Seo, HyangH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5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변혁적 리더십이 직무태도에 미치는 영향과정을 분석하고 아울러 양자 사이에 긍정적⋅부정적 정서가 매개역할을 하는가를 살펴보기 위하여 최근 들어 우리 사회에서 가장 큰 변혁의 시기를 겪고 있는 국내 대학들의 행정직원들을 대상으로 검증하는 데 있다. 방법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는 전국 11개 국립대학교의 과장급이하의 일반직원(공무원) 700명을 대상으로 직접 또는 우편방식에 의한 설문지를 배포하였고 회수된 설문지 중 유효한 484부를 통계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결과 분석 결과 변혁적 리더십이 긍정적⋅부정적 정서에 영향을 미침은 물론이고 긍정적⋅부정적 정서 또한 대체로 행정직원의 직무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아울러 긍정적⋅부정적 정서는 변혁적 리더십이 직무태도에 미치는 정의 관계에서 대부분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이론적, 실천적 함의를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Objectives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job attitudes, and the mediating effect of positive⋅negative a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job attitudes. Methods For this study, we conducted a survey on 700 administrative staffs (public servants) under middle managers in 11 national universities nationwide. A total of 484 questionnaires were used to test the hypotheses,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Results First, transformational leadership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positive⋅negative affect of administrative staffs. Second, positive⋅negative affect also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job attitudes of administrative employees except for the negative affect on job commitment. Third, positive⋅negative affects were found to largel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job attitudes. Conclusions Finally, based on the empirical results we further discussed and suggested several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 KCI등재

        하늘반 만 5세 유아의 쌓기놀이 갈등해결에서 나타난 교사 개입의 양상

        서향희(Seo, HyangH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4 No.12

        본 연구는 하늘반 만 5세 유아들의 쌓기놀이 갈등해결에서 나타난 교사 개입의 양상이 어떠한지를 참여관찰의 질적 연구 관점으로 탐색함으로써, 쌓기놀이 갈등해결에 대한 교사 개입의 바람직한 지원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한 연구 참여자는 서울특별시 D구에 소재한 사립유치원 하늘반 담임 최교사 1명과 하늘반 만 5세 유아(남: 9명, 여: 10명) 총 19명이며, 2013년 3월부터 2013년 8월까지 참여관찰과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만 5세 유아들의 쌓기놀이 갈등해결에서 나타난 교사 개입의 양상은 유아들의 갈등 문제를 정의하는 중재자의 역할을 맡는 것으로써 개입 과정의 시작을 의미하였으며, 유아들에 대한 주관적 평가하기를 자제하고 중립을 유지함으로써 신뢰의 메시지를 전달하였다. 또한 유아들이 갈등 상황에서 다양한 대안 제시를 통하여 해결책을 찾을 수 있도록 함으로서 자발적인 문제해결의 기회를 제공하였으며, 유아들 상호간의 유익한 해결책을 찾아낸 과정에 대한 강화를 통해 해결책에 도달 하는 과정이 중요함을 제시하였다. 교사는 유아들이 문제해결 방법을 동의한 대로 실행하도록 지원하여 비폭력적인 해결의 결과 경험을 통해 유아의 발달을 도모 하였다. 이러한 교사 개입의 양상은 발달적으로 적합한 접근을 통해 유아들로 하여금 갈등 상황에서 스스로 갈등 해결을 할 수 있도록 하기위한 교사의 쌓기놀이 갈등 개입에 대한 교육적 노력이 지속적으로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explore the pattern of teacher intervention for conflict resolution in the block play of five-year-old children in the Haneul Class from the viewpoint of qualitative research thorough participant observation and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giving desirable support to teacher intervention for conflict resolution in block play.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a teacher in charge of Haneul Class of a private kindergarten at D District in Seoul and 19 five-year-old children (9 boys and 10 girls) in the class, and participant observation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during the period from March to August, 2013.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pattern of teacher intervention for conflict resolution in the block play of five-year-old children was that the teacher plays the role of a mediator defining young children’s conflict problems, and it meant the beginning of an intervention and communicated messages of trust by abstaining from subjective evaluation of the children and maintaining neutrality. In addition, it provided opportunities for voluntary problem solving by suggesting various alternatives to the children and letting them to find a solution, and suggested the importance of the process for reaching a solution by reinforcing the process for the children to find a mutually profitable solution. The teacher also supported the children to apply a problem solving method as they had agreed upon, and by doing so, promoted the children’s development through experiencing non-violent solving. These patterns of teacher intervention suggest the necessity of continuous educational efforts for teachers’ conflict intervention in block play through a developmentally adequate approach so that young children may be able to resolve conflicts by themselves in a conflict situation.

      • KCI등재

        학교현장에서 에듀테크(Edu Tech) 활용에 대한 예비교사의 인식 연구 : Focus Group Interview를 중심으로

        서향희(HyangHee Seo),박주희(JuHee Par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23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현장에서 에듀테크(Edu Tech) 활용에 대한 예비교사의 인식을 탐색하는 것이다. 방법 본 연구에서는 학교현장에서 에듀테크 활용에 대한 예비교사의 인식을 알아보고자 포커스 그룹 인터뷰(Focus group Interview)의 질적 연구방법을 진행하였다. 포커스 그룹인터뷰는 2020년 3월 5일부터 2020년 5월 31일까지 진행하였으며 전사 작업, 추가자료 수집과 분석은 2020년 3월 15일부터 2020년 10월 31일까지 진행하였다. 결과 예비교사들은 학교현장에서 에듀테크 활용은 실감형 교육으로서 불편한 수업상황의 개선 도구로 인식하였으며, 에듀테크 활용에 대한 교사들의 낮은 인식의 형성은 에듀테크 활용을 적극적으로 권장하지 않는 학교풍토와 수업시간에 활용할 수 있는 디바이스의 부족, 에듀테크 활용 수업 평가기준의 부재가 에듀테크 활용의 걸림돌로 작용하였음을 말하였다. 학교교육의 목표를 위해 에듀테크에 대한 전문성을 바탕으로 에듀테크 활용과 관리를 지원할 수 있는 전담인력으로서 테크매니저 제도가 필요하며 콘텐츠의 질적 전환을 통해 교육과 기술의 융합, 콘텐츠의 다양화, 역량을 함양하는 교육방법과 교육내용의 혁신을 위한 교육적 에듀테크를 지향해야함을 인식하였다. 결론 에듀테크 활용 교육과 관련하여 예비교사들의 실제적인 인식을 파악함으로써 에듀테크 활용 교육 활성화를 위한 교육적 논의와 지원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erception of pre-service teachers on the use of Edu Tech in school settings. Methods This study conducted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of focus group interview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of pre-service teachers on the use of Edu Tech in school settings.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from March 5, 2020 to May 31, 2020, and the company work, additional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were conducted from March 15, 2020 to October 31, 2020. Results The pre-service teachers perceived the use of Edu Tech in the school settings as a tool for improving the uncomfortable classroom situation as a realistic type education, and the formation of teachers low perception of the use of Edu Tech was from the fact that school climate that does not actively encourage the use of Edu Tech, lack of devices that can be used in class, and the absence of evaluation criteria for Edu Tech utilization class acted as a stumbling block for Edu Tech utilization. For the goals of school education, based on the expertise on the Edu Tech, they perceived that a tech manager system is needed as dedicated manpower that can support the use and management of Edu Tech, and through qualitative transformation of contents, they perceived that convergence of education and technology, diversification of contents, educational methods to develop competencies, and educational Edu Tech should be pursued for innovation of educational contents. Conclusions This study identified the actual perception of pre-service teachers concerning education using Edu Tech, and presented implications for educational discussion and support for vitalizing education using Edu Tech.

      • KCI등재

        만 5세 쌓기놀이 갈등해결에서 유아 또래 간 친사회적 행동 발생맥락에 관한 문화기술적 연구

        서향희(Seo Hyang H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5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5 No.6

        본 연구는 만 5세 쌓기놀이 갈등해결에서 유아 또래 간 친사회적 행동의 발생맥 락이 무엇인지를 문화기술적 연구방법으로 탐색함으로써, 쌓기놀이 갈등해결에서 유아 또래 간 친사회적 행동 지원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한 연구 참여자는 서울특별시 S구에 소재한 D대학교 부속유치원 지혜반 담임 현 교사 1명과 지혜반 만 5세 유아(남: 12명, 여: 8명) 총 20명이며, 2013년 8월부터 2014년 2 월까지 참여관찰과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만 5세 쌓기놀이 갈등해결에서 유아 또래 간 친사회적 행동의 발생맥 락은 친구관계를 유지하기 위하여 갈등해결에서 또래 간 우정 나누기의 친사회적 행동을 보였으며, 친구관계의 유지는 또래 간 깊은 우정과 애정을 의미하였다. 또한 자신 때문에 생긴 문제해결의 상황은 협동하기의 친사회적 행동을 더욱 촉진하는 맥락이었으며, 협동하기는 어떠한 보상을 바라는 것이 아닌 공동의 목표를 위한 것 이었다. 유아들은 갈등해결에서 자신의 감정에 상처받지 않기 위해 위로하기의 친사 회적 행동을 하였으며, 이는 자신으로 인한 타인의 고통과 어려움에 대한 인식, 동 정, 공감을 의미하는 것으로써 감정 이입 능력과 관련이 있음을 제시하였다. 본 연 구결과는 만 5세 쌓기놀이에서 유아 또래 간 갈등을 통해 친사회적 행동을 실제로 해 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여 자발적인 지식을 습득할 수 있는 교육적 환경과 지 원이 지속적으로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examine the context for occurrence of young children s prosocial behavior among peers in block play conflict resolution using ethnographic methodology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promoting young children s prosocial behavior among peers in five-years-old block play conflict resolution.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the class teacher of the Wisdom Class and 20 five?year?old children of the class (12 boys and 8 girls) at the kindergarten attached to D University at S District in Seoul, and participant observation and in depth interviews were performed during the period from August 2013 to February 2014.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As to the context for the occurrence of young children’s prosocial behavior among peers in five-years-old block play conflict resolution, the children showed the prosocial behavior of friendship sharing in conflict resolution in order to maintain friends relationship, and the maintenance of friends relationship meant close friendship and deep affection. In addition, the situation of solving a problem caused by the self was a context promoting the prosocial behavior of cooperation, and cooperation was not for expecting any reward but for achieving common goals. Young children did the prosocial behavior of comforting in conflict resolution in order to keep their emotion from being hurt, and this meant the awareness of, sympathy with, and empathy with others’ pain and difficulty induced by themselves, suggesting its relationship with empathy.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e necessity of educational environment and support that provide young children with opportunities to practice prosocial behavior through five-years-old block play conflict resolution so that they can acquire knowledge spontaneously.

      • KCI등재

        유아교육 연구에서 Vygotsky 이론의 스캐폴딩(scaffolding)에 관한 국내 연구의 동향고찰

        진영은,서향희 한국교원교육학회 2011 한국교원교육연구 Vol.28 No.4

        본 연구는 유아교육 연구에서 Vygotsky 이론의 스캐폴딩(scaffolding)에 관한 국내 연구동향을 고찰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를 위해 국내 유아교육 분야의 스캐폴딩에 관한 일반대학원의 석・박사 학위논문과 한국학술진흥재단의 등재 학술지 논문 총 68편의 연구물들을 분석하여 연구동향을 포괄적으로 조망하고 향후 과제를 모색하였다. 분석결과, 국내 유아교육 분야에서 스캐폴딩의 개념은 은유적 특성으로 인해 해석과 접근방법이 시대에 따라 다양하게 변화해 왔다. 연구자들마다 다른 기준으로 스캐폴딩의 개념을 정의하고 연구를 수행하고 있으며, 스캐폴딩의 교육 효과를 검증하고 스캐폴딩의 유형을 비교 분석하는 효율적인 방법을 탐색하는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연구들은 유아기에 적합한 호혜적 스캐폴딩(reciprocal scaffolding)의 특성을 직접적으로 해명하기 보다는 몇 가지 도움이나, 지원체계, 교수전략 등으로 단순화시키는데 한계가 있다는 점, 스캐폴딩의 개념을 언어적 유형과 행동적 표현에 제한하여 해석하고 있다는 점, 호혜적 스캐폴딩을 위한 교사의 역할이 명확하게 제시되지 않아 오해의 가능성이 높다는 점이 지적되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향후 과제로는 호혜적 스캐폴딩을 위한 교사의 역할을 명확히 규명하는 연구, 스캐폴딩이 이루어지는 맥락을 다원적 관계에서 해석하는 연구, 질적 연구 방법의 사용 등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purposed to examine the trends of research on Vygotsky’s scaffolding theory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studies in Korea. For this purpose, we analyzed 68 research outcomes including master’s and doctoral theses on scaffolding in the area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published by general graduate schools in Korea and academic dissertations registered at Korea Research Foundation, and through the analysis, reviewed research trends in Korea comprehensively and suggested future research task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analysis, in the domestic area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concept of scaffolding has been changed variously depending on interpretation and approach due to its metaphoric characteristic. Each researcher defined and studied the concept of scaffolding based on different criteria, and more of related studies tested the educational effects of scaffolding and looked for efficient methods through the comparative analysis of scaffolding types. However, these studies had limitations in that they simplified scaffolding into some benefits, support system or teaching strategy rather than explaining directly the characteristics of reciprocal scaffolding suitable for young children, that the concept of scaffolding was limited to verbal types and behavioral expressions, and that teachers’ roles for reciprocal scaffolding were not suggested clearly and therefore they might be misunderstood. For future tasks to solve these problems, this study suggested research for clarifying teachers’ roles for reciprocal scaffolding, for analyzing the context of scaffolding in multi‐dimensional relations, and for the use of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 KCI등재후보

        Advanced Onset of Puberty in High-Fat Diet-fed Immature Female Rats - Activation of KiSS-1 and GnRH Expression in the Hypothalamus -

        이송이,장연석,이용현,서향희,노금희,이성호 한국발생생물학회 2009 발생과 생식 Vol.13 No.3

        In mammals, puberty is a dynamic transition process from infertile immature state to fertile adult state. The neuroendocrine aspect of puberty is started with functional activation of hypothalamus-pituitary-gonadal hormone axis. The timing of puberty can be altered by many factors including hormones and/or hormone-like materials, social cues and metabolic signals. For a long time, attainment of a particular body weight or percentage of body fat has been thought as crucial determinant of puberty onset. However, the precise effect of high-fat (HF) diet on the regulation of hypothalamic GnRH neuron during prepubertal period has not been fully elucidated yet. The present study was undertaken to test the effect of a HF diet on the puberty onset and hypothalamic gene expressions in immature female rats. The HF diet (45% energy from fat, HF group) was applied to female rats from weaning to around puberty onset (postnatal days, PND 22-40). Body weight and vaginal opening (VO) were checked daily during the entire feeding period. In the second experiment, all animals were sacrificed on PND 36 to measure the weights of reproductive tissues. Histological studies were performed to assess the effect of HF diet feeding on the structural alterations in the reproductive tissues. To determine the transcriptional changes of reproductive hormone-related genes in hypothalamus, total RNAs were extracted and applied to the semi-quantitative reverse transcrip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 Body weights of HF group animals tend to be higher than those of control animals between PND 22 and PND 31, and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PND 32, PND 34, PND 35 and PND 36 (p<0.05). Advanced VO was shown in the HF group (PND 32.8±0.37 p<0.001) compared to the control (PND 38.25±0.25). The weight of ovaries (p<0.01) and uteri (p<0.05) from HF group animals significantly increased when compared to those from control animals. Corpora lutea were observed in the ovaries from the HF group animals but not in control ovaries. Similarly, hypertrophy of luminal and glandular uterine epithelia was found only in the HF group animals. In the semi-quantitative RT-PCR studies, the transcriptional activities of KiSS-1 in HF group animal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from the control animals (p<0.001). Likewise, the mRNA levels of GnRH (p<0.05) were significantly elevated in HF group animals. The present study indicated that the feeding HF diet during the post-weaning period activates the upstream modulators of gonadotropin such as GnRH and KiSS-1 in hypothalamus, resulting early onset of puberty in immature female ra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