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취업모의 양육스트레스와 양육효능감의 관계에서 어린이집 만족도의 매개 및 조절효과 연구

        서소정,김현정,김상겸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19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20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orrelations among working mothers’ levels of parenting stress, maternal parenting efficacy, and those of satisfaction with their use of child care centers. The study subjects were 234 working mothers whose children attended child care centers in Seoul and Gyenggi-do area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among the levels of working mothers’ parenting stress, maternal efficacy, and those of satisfactions with their use of child care centers. Furthermore, the levels of maternal satisfactions with their use of child care centers both mediated and moderated the relation between maternal parenting stress and maternal self-efficacy. Along with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implications for research and policy are discussed. 본 연구는 취업모의 양육스트레스와 양육효능감의 관계에서 어린이집 만족도가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매개 및 조절효과에 대한 두 가지 가설모형을 설정하고 이를 검증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연구대상은 서울과 경기지역 어린이집에 재원중인 자녀를 둔 취업모 23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취업모의 양육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양육효능감과 어린이집 만족도는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취업모의 어린이집 만족도가 높을수록 양육효능감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취업모의 어린이집 만족도는 양육스트레스와 양육효능감의 관계를 매개 및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취업모의 양육효능감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양육 스트레스를 낮추기 위한 지원방안과 아울러 어린이집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논의 하였다는 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 KCI등재

        한국의 보육지원체계

        서소정,오선진,하지영 한국보육지원학회 2013 한국보육지원학회지 Vol.9 No.4

        Over the past decade, there has been considerable policy development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in Korea. The focus is now shifting from the federal government to grassroots initiatives or efforts in local communities in order to provide information or programs for all eligible families with young children. There is a strong need for more integrative and comprehensive parenting support programs(titled Child Care Information Center, Young Plaza in Korea) for families with young children to meet their diverse needs of child rearing. This paper overviews the current status and trends on the support system in which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and parenting support centers are embedded in Korea as well as those of developed counties. Also, the issues of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more effective parenting support programs are key themes throughout this paper.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research, practice, and policy development in the future were provided.

      • KCI등재

        영아보육교사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현직교사교육 프로그램의 현황, 효과검증 및 향후 과제

        서소정,오선진 한국보육지원학회 2012 한국보육지원학회지 Vol.8 No.6

        본 연구에서는 보육교사의 전문성과 자질을 향상시켜야 한다는 시대·사회적인 필요성에 입각하여 현재 우리나라에서 보건복지령에서 정하는 전문기관에서 위탁하여 실시되고 있는 영아보육교사 교사교육의 현주소를 파악해 보고자 하였다. 또한 지난 몇 년간 “영아기의 발달적 특수성, 보살핌과 가르침의 통합성, 영아보육에서의 포괄적 서비스제공의 필요성”에 기초하여 “영아전문가과정(Infant Care Specialist Program)"을 개설하여 성공적으로 운영하고 있는 국내 한 영아전문가 과정의 실제를 소개하고, 본 과정의 효과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본 영아전문가 과정에 참여한 교사들의 사후 교사효능감과 영아발달지식수준이 사전에 비해 유의한 변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향후 영아교사 현직 교육프로그램의 내실화 방안을 마련하는데 있어 정책적, 제도적 제언을 제공하였다.

      • KCI등재

        유아교사의 2019 개정 누리과정 인식과 실행수준 간의 관계에서 교사효능감과 교사민감성의 조절된 매개효과

        서소정,정회정,하지영 한국유아교육학회 2022 유아교육연구 Vol.42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teachers’ efficacy and sensitiv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perceptions of the 2019 Nuri curriculum and their practice level. The subjects were 241 teachers of children aged 3 to 5 in kindergartens and child care centers in the metropolitan area. Teachers filled out questionnaires about their perceptions and practice level of the 2019 Nuri curriculum and teacher efficacy scale, and fellow teachers rated the teacher sensitivity scale. The SPSS 23.0 program and the Process Macro 4.0 program were used for the analysis of data. The main research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teachers’ practice level of the revised Nuri curriculum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perception of the curriculum, teacher efficacy, and teacher sensitivity. Second, there was a partial mediating effect of teacher 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perception of the curriculum and the level of operation. Third, the moderating effect of teacher sensitivity was fou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efficacy and the practice level of the curriculum. Finally, the mediating effect of teacher 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perceptions of the curriculum and the practice level was moderated by the teacher’s sensitivity level.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sed as data to support teachers to efficiently operate the revised Nuri curriculum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본 연구는 교사의 2019 개정 누리과정 에 대한 인식과 실행수준 간의 관계에서 교사효능감과 교사민감성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수도권 지역유치원과 어린이집의 만 3~5세 유아 담당 교사 241명이다. 연구대상 교사가 2019 개정 누리과정 에 대한 인식과 실행수준, 교사효능감에 대한 설문지를 작성하였으며, 동료교사가 연구대상 교사의 민감성을 평정하였다. 자료의 분석을 위해 SPSS 23.0 프로그램과 Process Macro 4.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의 개정 누리과정 실행수준은 개정 누리과정 인식과 교사효능감, 교사민감성과 유의한 정적 상관을 나타내었다. 둘째, 교사의 개정 누리과정 인식과 실행수준 간의 관계에서 교사효능감의 부분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셋째, 교사효능감과 개정 누리과정 실행수준 간의 관계에서 교사민감성의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교사의 개정 누리과정에 대한 인식과 실행수준 간의 관계에서 교사효능감의 매개효과는 교사민감성에 의해 조절되었다. 본 연구는 교사들이 개정누리과정을 효율적으로 실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영아를 둔 어머니의 어린이집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관한 연구

        서소정,하지영 한국보육지원학회 2014 한국보육지원학회지 Vol.10 No.2

        본 연구는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어린이집 선택과 관련된 다양한 변인의 영향을 체계적으로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어린이집의 대기신청을 통해 최근 6개월 이내 입소한 0~40개월의영아를 둔 어머니 185명과 현재 대기신청 중이며 자녀가 어린이집을 이용하지 않고 있는 어머니5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어머니들은 어린이집 대기신청 시 국공립어린이집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으며, 주된 이유는 보육환경 및 시설의 질적인 우수성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자녀를 어린이집에 보내지 않는 어머니는 주변에 자녀를 보낼 만한 어린이집이 충분하지 않으며질적 수준도 낮은 것으로 평가하였으며, 어린이집을 이용하는 어머니에 비해 지적 성취와 성숙주의를 강조하는 신념을 가지고 있었다. 둘째, 어린이집을 이용하는 어머니들의 경우 자녀의 연령이어릴수록, 취업모인 경우, 대기신청기간이 길수록, 어린이집의 구조적 요인을 중요하게 여길수록민간 또는 가정어린이집을 선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가 어린이집을 선택하는 의사결정 과정에 어떠한 변인들이 우선순위로 작용하는지를 살펴봄으로써 이들의 다양한 보육 욕구를 이해하고, 어린이집의 확충 및 질적 제고를 위한 실효성 있는 정책을 수립하는 데 유용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는 데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서울지역 육아지원센터의이용현황과 관련된 기초 연구 :어머니-영아 상호작용 및 영아발달을 중심으로

        서소정 한국보육학회 2013 한국보육학회지 Vol.13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exclusive parenting support center on mother-infant interaction and infant development over time.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193 mother-infant dyads, and they were divided and assigned into the two subgroups: 1) 93 dyads of mothers and their infants who had been enrolled in the four parenting support centers in a local community, Seoul, Korea as an experimental group; and 2) 100 dyads of infant-mothers were included as a comparison group. The subjects were asked to administer Parenting Stress Index(PSI) and Infant Development(DEP), and mother-infant interaction(NICHD) were observed by trained researcher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frequency analysis, t-tests. and paired t-tests. The primary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parenting stress levels of mothers from an experiment group were more significantly decreased than those of a comparison group. Also, infants' development outcomes were more improved as compared with those of a comparison group. Paired t-tests indicated that the mother-infant interaction was significantly improved over time with an experiment group of mothers. Along with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implications for research and practice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서울시 G구에서 운영하는 육아지원센터의 이용자 93명과 미이용자 100명을 대상으로 센터 이용 현황, 만족도 및 요구도를 조사하였으며, 또한 현재 센터를 이용하는 이용자 및 미이용자의 주 양육자 애착 양육스트레스 수준, 영아 발달을 비교 분석하였다. 나아가 사전 조사 이후 3개월이 경과한 시점에서 육아지원센터 이용자의 어머니-영아 상호작용과 영아 발달의 변화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수집된 자료는 빈도분석, 기술통계, 대응표본 t 검증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은 자유놀이실 이용이 가장 많았으며, 요구도 및 이용하는 이유에서 센터의 접근성과 관련된 응답이 가장 많았다. 둘째, 이용 집단과 미이용 집단 간의 양육 스트레스, 애착, 영아 발달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셋째, 육아지원센터의 이용자는 사전 검사에 비해 사후 검사에서 어머니-영아 상호작용과 영아의 인지 발달에 긍정적인 변화가 나타났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개별 맞춤형 육아지원서비스를 제공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향후 육아지원센터 사업이 지향해야 할 방향을 모색하는데 실증적인 근거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