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유아들의 식습관 개선을 위한 “위험한 먹거리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연구

        서선숙,이주리 한국보육지원학회 2010 한국보육지원학회지 Vol.6 No.1

        본 연구에서는 유아들의 식습관과 식품 선호도에 관한 최근의 실태와 문제점을 살펴보고 각종 조미료와 식품첨가물이 함유된 인스턴트식품과 패스트푸드, 불량식품에 무방비로 노출되고 길들여진 유아들의 식습관을 개선시켜 주고자 실시한 “위험한 먹거리 프로그램”이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한 것이었다. 연구 대상은 연구자가 운영하고 있는 어린이집 만5세 유아들로, 2달 동안 매일 “위험한 먹거리 프로그램”이 실시되었다. 이 프로그램은 먹거리와 건강에 관한 부모의 인식과 유아의 식습관을 파악하기 위한 설문 조사, 유아들을 대상으로 자신들이 먹고 있는 음식에 대한 관심 유도 프로그램, 운동프로그램, 건강식품과 불량식품에 대한 충분한 정보 제공, 인스턴트식품과 패스트푸드가 인체에 미칠 수 있는 악영향에 대한 정보제공 등의 다양한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었다. 또한 본 프로그램은 유아들의 신체 변화에 미친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서 프로그램 실시 전에는 아동의 체내 중금속(독성미네랄) 상태를 측정하기 위한 SH제약의 모발검사와 프로그램 실시 전후로 유아의 체중, 골격근량, 체지방, BMI, 체지방률 등을 측정하기 위한 일산 보건소의 건강검진 진단(INBODY)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위험한 먹거리 프로그램’ 과정에 참여했던 부모의 의식이 바뀌면서 안전하지 않은 음식들이 식단에서 배제되었다. 둘째, 유아 스스로 자료를 찾고 토론하며 식품을 분석. 실험하는 과정을 통해 자신이 먹는 음식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지게 되어 패스트푸드와 인스턴트식품 같은 안전하지 않은 식품에 대한 자제력 향상으로 이어졌다. 셋째, 운동프로그램을 병행하면서 유아들의 체질이 개선되는 결과를 측정할 수 있었다. 넷째, 유아들의 먹거리 습관을 개선시킬 수 있는 다양한 활동들로 구성된 프로그램을 통해 아동들은 야채, 잡곡밥, 과일 등을 골고루 먹는 균형 잡힌 식습관이 형성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위험한 먹거리 프로그램”이 유아의 식습관을 개선시키는 데 효과가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부모의 긍정적/부정적 양육태도가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서선숙 ( Seon-suk Seo ),백진아 ( Jina Paik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0 교육문화연구 Vol.26 No.4

        본 연구는 부모의 긍정적/부정적 양육태도가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과 그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청소년패널(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KCYPS) 6차년도 자료에서 중학교 3학년 1,971명을 연구대상자로 선정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WIN 21.0 및 Amos 21.0 프로그램을 활용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의 긍정적 양육태도가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데 반해, 부정적 양육태도는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보이지 않았다. 둘째, 자아존중감은 부모의 긍정적 양육태도와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 사이에서 부분매개효과를 나타났다. 셋째, 자아존중감은 부모의 부정적 양육태도와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 사이에 완전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를 높이고 자아존중감을 제고하기 위한 실천적 개입과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plain the influence of positive/negative parenting attitudes on adolescent’s satisfaction in life and to verify the mediated effects of self-esteem in the relationship. To that end, 1,971 middle school seniors were selected as the subjects of the study in the sixth year data of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KCYPS). Data analysis utilizes the SPSS WIN 21.0 and Amos 21.0 programs.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while the positive parenting attitude was shown to have a meaningful effect on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adolescents, negative parenting attitudes did not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adolescent’s satisfaction with life. Second, self-esteem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between parents' positive parenting attitude and adolescent satisfaction in life. Third, the effect of negative parenting attitude o n adolescent’s satisfaction in life was completely mediated by self-esteem of adolescent.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e practical programs and engagement to increase the life satisfaction of adolescent and enhance their self-esteem were suggested.

      • KCI등재

        베이비붐 세대의 일자리 특성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임금근로자와 자영업자의 비교분석

        강태석,서선숙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20 직업능력개발연구 Vol.23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the impact of job characteristics on job satisfaction among Baby Boomers wage earners and self-employed people. To this end, the 6th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survey on aging research panels was utilized. 958 wage earners of baby boomers, 629 self-employed people, and a total of 1,587 were studied and analyzed using the SPSS 21 program. The results of a comparative analysis of wage earners and self-employed people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difference in job satisfaction between wage earners and self-employed people, depending on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econd, depending on the regularity and attitude of the job characteristics, the job satisfaction of wage earners and the self-employed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Third, job satisfaction among wage earners and the self-employed was shown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depending on the job requirements of the job characteristics. Fourth, the job satisfaction level of wage earners and the self-employed was confirmed to be significant, depending on the suitability of the job characteristics.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importance of regularity, attitude, work requirements, and suitability of working hours that improve job satisfaction for the wage earners and the self-employed of the baby boomers, and it presented basic data and implications for improving job satisfaction for the wage earners and the self-employed. 본 연구의 목적은 베이비붐 세대의 일자리 특성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임금근로자와 자영업자의 차이를 비교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고용정보원의 제6차 고령화연구패널조사를 활용하였다. 베이비붐 세대 임금근로자 958명, 자영업자 629명, 총1587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으며, SPSS 21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회귀분석을 하였다. 임금근로자와 자영업자의 비교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라 임금근로자와 자영업자의 직무만족도는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일자리 특성의 근로시간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임금근 로자와 자영업자의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일자리 특성의 업무요구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임금근로자와 자영업자의 유의한 차이를 파악하였다. 넷째, 일자리 특성의 적합도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임금근로자와 자영업자의 유의한 차이를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에서 베이비붐 세대의 일자리 특성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임금근로자와 자영업자의 차이를 비교분석한 것은 의의가 있을 것이다. 이에 베이비붐 세대의 일자리 특성에서 근로시간의 규칙성, 업무요구의 내용적 요구, 적합도의 기술수준과 교육수준의 중요성을 파악하였다. 이를 통해 베이비붐 세대 임금근로자와 자영업자의 직무만족도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와 함의를 제시하였다.

      • SCOPUSKCI등재
      • SCOPUSKCI등재
      • SCOPUSKCI등재
      • SCOPUS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