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덴마크, 스웨덴, 핀란드의 민주시민교육과 시사점

        서공주,박찬호,정일환 한국비교교육학회 2019 比較敎育硏究 Vol.29 No.1

        Democratic civic education is responsible for maintaining diversified communities and leading social development. Korea has a high interest in democratic civic education and its institutional improvement, but due to the transitional situation, there are many points that need to be supplemented in the implementation of democratic civic education. People in the Nordic countries such as Denmark, Sweden, and Finland are known to maintain a high level of citizenship due to the well- established civic education. Examining these countries’ democratic civic education will provide useful implications to that of Korea due to their similarities of socio-cultural situation, purpose of education, democratic civic education being treated as an integrated subject.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in Denmark, Sweden, and Finland is unique in that it has autonomy at the level of local self-governing bodies and unit schools on the basis of decentralized education system, and that the citizens’ participation is secured. Some implications are suggested for democratic civic education in Korea by reviewing the practices of these Nordic countries. 민주시민교육은 다원화되어가는 공동체를 유지하고 사회 발전을 주도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한국은 민주시민교육과 이를 위한 제도적 정비에 높은 관심을 가지고 있으나, 과도기적인 상황으로 인해 민주시민교육의 실제적인 측면에서 아직 보완해야 할 점이 많다. 북유럽 국가인 덴마크. 스웨덴, 핀란드는 일찍부터 실시된 시민교육을 기반으로 높은 시민의식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들 국가의 사회 문화적 상황과 교육이 추구하는 목표가 유사하다는 점, 민주시민교육을 융합교과 주제로 다루고 있다는 점 등으로 인해 이들의 민주시민교육을 고찰함으로써 한국의 민주시민교육에 유용한 시사점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덴마크, 스웨덴, 핀란드의 민주시민교육은 분권화된 교육체제를 바탕으로 지방자치단체, 단위학교 수준에서 자율성을 지니고 있으며, 시민들의 참여 경로가 확보되어 있다는 특징을 지닌다. 이들 북유럽 국가의 민주시민교육 실천 영역을 검토함으로써 우리나라 민주시민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얻고자 한다.

      • KCI등재

        핀란드 고등학교 선택형 교육과정 운영 특징 분석

        서공주(Suh, Kong-ju),박찬호(Park, Chanho) 한국비교교육학회 2019 比較敎育硏究 Vol.29 No.6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핀란드 일반계 고등학교의 선택적 교육과정 운영 사례 분석을 통하여 우리나라 고교학점제 운영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핀란드의 국가교육과정을 살펴보고 핀란드 수도인 헬싱키시와 인근 도시 에스푸시의 학교교육과정을 분석하여 핀란드의 선택형 교육과정이 어떻게 운영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핀란드 고등학교 최소 졸업 요건은 3년간 최소 75개 과정을 이수하고 합격 등급을 부여받는 것이다. 국가교육 과정은 필수 과정과 심화 과정으로 구성되어 있고, 학교교육과정인 응용 과정은 학교별 특색에 맞게 개설‧운영되고 있다. 무학년제를 기본으로 하는 핀란드 고등 학교 교육과정은 학교교육과정 자율성이 높은 반면 필수 과정 비중이 상당히 높은 것이 특징으로 필수 과정의 비율이 최소 47개로 졸업 이수 기준의 60% 이상을 차지한다. 둘째, 헬싱키시의 경우 학생들의 교과선택권을 확보하면서 단위 학교의 부담을 낮추어주기 위해 시가 운영하는 11개 공립고등학교를 3개의 캠퍼스로 묶어 공동교육과정을 운영하며, 헬싱키시 전체가 시간표의 일부를 공통된 시간에 운영하여 단위 학교에서 개설하지 않는 과정은 인근 학교 또는 시내 다른 학교에서 이수할 수 있는 인프라와 사전 수강 신청과 사후 수정‧보완을 통해 학생이 자신이 듣고 싶은 과정을 선택할 수 있는 환경을 구축하고 있다. 셋째, 이수/ 재이수 절차를 법적으로 규정하여 불합격이 된 경우나 성적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경우 성적에 대한 이의신청 및 재시험 절차를 거쳐, 판별보다는 성장에 중점을 두고 있다. [결론] 연구 결과에 근거하여 우리나라 고교학점제 성공적 운영을 위해 ‘필수 이수 단위의 확보’, ‘공동 교육과정의 운영’, ‘이수/재이수 제도의 유연성’ 등을 제안 하였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Finnish high school curriculum and to find out its implication for Korean high school credit system. [Methods] For this goal, Finland’s curriculum documents, policy documents, and information on web-sites operated by the Finnish National Board of Education and schools of Helsinki and Espoo were analyzed. [Results] This study found that Finland’s high school curriculum requires students to complete minimum 75 courses while making sure students to take 47 or 51 compulsory courses. The compulsory courses account for more than 60%, which secures students to focus on major subjects such as mathematics and mother language. Finnish high schools are given freedom of school curriculum, which made each school’s curriculum different from each other. Helsinki city government helped to build up cooperative environment for high schools with relating public schools into 3 campuses. The city government also helped to build up on-line co-curriculum for all the students of Helsinki city. The Finnish national curriculum gives students chances to recover their failed grades, focusing growth than screening. [Conclusion] Some implications are suggested for Korea’s high school credit system including

      • KCI등재

        종단 문항반응이론 혼합모형의 적용을 통한 청소년 자아존중감 변화 유형 탐색

        박찬호,서공주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20 한국청소년연구 Vol.31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longitudinal item response theory mixture model that can be used when analyzing the growth trajectories of different latent classes of adolescent’s self-esteem. Data used for this study was taken from the Korean Child and Youth Panel Study (KCYPS) by the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NYPI). The data harvested from 1,702 students (838 males and 864 females) responses were gathered from the first-year middle school students’ panel. The longitudinal survey lasted seven years, among which the 1st-, 3rd-, 5th- and 7th- years data were analyz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ly, a fairly coherent and predictable picture emerged for the 3 groups of self-esteem trajectories; ‘the decrease after increase group’, ‘the increase after decrease group’, and ‘the majority group.’ As expected, the pattern of self-esteem changed over time, and distinct trajectories of growth were revealed. Secondly, a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indicated that trajectories of gender, study-habits, and parenting styles were significant and served as powerful predictors of latent class differences in self-esteem.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also discussed, based on the limitations of the present study. 본 연구에서는 종단 문항반응이론 혼합 모형을 제안하고 이를 종단자료에 적용하여 청소년 자아존중감의 변화양상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종단 문항반응이론 혼합모형은 문항반응이론에 성장모형을 결합하고 다시 잠재계층에 따라 서로 다른 성장 유형을 탐색하는 모형이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자료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이 수집한 한국아동‧청소년패널(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tudy, KCYPS)의 중1 패널 데이터 1,702명(남학생 838명, 여학생 864명)의 1차년도(중1), 3차년도(중3), 5차년도(고2), 7차년도(대1) 자료이다. 대상 학생의 자아존중감이 중학교 1학년부터 고등학교 졸업까지 7년간 변화하는 궤적과 이에 따른 잠재계층을 탐색하고, 자아존중감의 원점수, 표준점수 및 문항반응점수 차이를 비교하였다. 또한 탐색된 잠재계층에 대하여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잠재계층 분류 관련 영향 요인을 탐색하였다. 분석 결과, 원점수 기반 분석을 실시하면 종단 문항반응이론 혼합모형을 적용할 때와 비교하여 성장이 과대 추정되었고, 문항반응이론으로 얻어진 점수를 사용할 때 결과가 좀 더 정확하게 설명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선행연구들과 달리 자아존중감의 성장에는 2차 성장모형이 적합함을 확인하였다. 성장 유형으로는 ‘증가후감소’, ‘감소후증가’, ‘주류’ 등 3개의 이질적인 계층이 확인되었으며, 이 3개의 잠재계층을 결정하는 예측요인을 확인할 결과 성별, 자기조절학습능력, 부모양육태도, 또래애착이 계층 구분에 영향을 주는 것이 확인되었다. 끝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전국 시ㆍ도교육연수원의 교원연수과정 실태 분석

        정성수,서공주,김경원 한국교원교육학회 2017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4 No.3

        본 연구는 전국의 18개 시ㆍ도 교육연수원에서 최근 3년간 교사를 대상으로 이루어진 교원연수과정 현황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향후 교원연수 개선방향을 탐색해보기 위해 이루어졌다. 분석결과, 원격연수 및 현장맞춤형 연수가 확대되어가는 추세 속에서도 시・도 교육연수원에서 운영한 교원연수과정 수는 매년 양적으로 확대되고 있었다. 연수종별로는 직무연수가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으며, 연수대상별로는 초․중등교사 대상의 연수와 관리자 대상 연수가 많았다. 연수 참석비율은 관리자와 수석교사가 높은 반면 일반 교원은 낮았으며, 연수주제별로는 역할수행교육 관련 연수가 많았다. 한편, 연수과정수가 양적으로 확대되는 추세 속에서도 교수학습 관련 연수는 오히려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었다. 이와 같은 분석결과를 토대로 향후 교원연수과정의 개선방향을 제안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시・도 교육연수원의 책무성 제고 차원에서 소속 교원들의 연수 참여 비율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둘째, 연수과정 및 연수인원이라는 양적 측면에서 시・도 별로 차이가 나타나는 원인에 대한 질적 분석을 토대로 그 차이를 좁히는 노력이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각 시・도 교육연수원에서 이루어지는 연수뿐만 아니라 원격연수, 각종 현장맞춤형 연수 등 모든 교원연수과정을 종합적으로 파악하고, 나아가 타 시도의 교육연수원과 비교․분석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함으로써 각 시․도 교육연수원이 스스로를 점검하고 또 발전할 수 있는 중앙 차원의 지원이 이루어져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verview and analyze the current states of teacher training courses of 18 comprehensive education training institutes for the last 3 years from 2014 to 2016 in order to provide the direction of improvement of teacher development. These comprehensive education training institutes, which belong to 18 municipal education offices, are in charge of in-service training teachers. The analysis shows that the number of teacher training courses is steadily growing every year, despite the current trend of expanding distance education training and customized training. In terms of training category, job performance training occupies the biggest percentage, and in terms of training participants, courses for primar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are most often being operated. When analyzed the percentage of participants versus the total population, managers and chief teachers are participating more often than the ordinary teachers. Role-performing training course ranks the highest in terms of the training topic. One interesting fact is that the proportion of the training for teaching and learning is decreasing despite the total trainig courses are increasing. This study tries to provide some insights on teacher training courses based on the analysis. First, the 18 comprehensive education institutes need to draw up plans for encouraging teachers participation. Second, each comprehensive institutes need to make efforts to narrow the gap between each institutes based on the qualitative analysis on the causes to make the differences. Third, the support from the central government is need to help each comprehensive education institute to compare and analyze their own training practices with other institues and to self-evaluate and seek to improve their practices.

      • KCI등재

        다집단 성장모형을 적용한 청소년의 성취변화와 영향요인 분석

        김선미,서공주,박수민,박찬호 계명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22 한국사회과학연구 Vol.41 No.3

        본 연구에서는 중학교 2학년부터 고등학교 2학년까지 학생의 학업성취 변화 유형과 영향요인의 성별에 따른 차이를 분석하였다. 연구를 위해 부산교육종단연구(Busan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BELS) 중학교 2학년 패널의 2017년부터 2020년까지 4년 동안의 국어, 수학 학업성취도 자료를 사용하여 다집단 성장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국어는 이차 성장모형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고 초깃값은 여학생이 높았으나 남녀 간 기울기 유형의 차이가 드러나지 않아 시작점에서 나타난 두 집단의 격차가 지속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수학의 초깃값은 여학생이 높았으나 이차 성장은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해 더 크게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나 고등학교에 진학하면서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더 높은 성취를 보이며 그 차이가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성별 집단에 따른 다양한 변인의 영향력을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수업이해도 등 변인의 영향력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성별로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확인함으로써 궁극적으로 성차를 줄일 수 있는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종단 문항반응이론 혼합모형의 적용을 통한 진로성숙도 성장 유형의 잠재계층 탐색

        김선미 ( Kim Seonmi ),서공주 ( Suh Kongju ),박찬호 ( Park Chanho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1 교육문화연구 Vol.27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종단연구에서 진로성숙도의 성장 유형 잠재계층을 탐색함에 있어 성장혼합모형에 문항반응이론을 결합한 종단 문항반응이론 혼합모형을 제안하고 적용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부산교육종단연구(Busan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BELS) 중학교 1학년 패널의 2016년부터 2019년까지 4년 동안의 진로성숙도 변화 유형이 세 가지 점수 산출 방식(원점수, 표준점수, 문항반응이론 척도점수)에 따라 잠재성장모형과 잠재계층 분류, 잠재계층 분류의 예측 요인에 어떤 차이를 만들어내는지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세 가지 점수 산출 방식에서 모두 선형모형이 선정되었고 잠재계층의 수도 동일하였다. 다만 문항반응이론 척도점수를 이용하였을 때 다른 두 방식의 점수와 달리 잠재계층 분류율에서 차이를 보였으며 모형 적합도가 다소 높게 나타났다. 또한, 잠재계층 분류의 예측 요인을 비교ㆍ분석하였을 때, 원점수와 표준점수에서는 유의하지 않았던 변수가 문항반응이론 척도점수에서 유의한 변수로 확인되어 점수 방식별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예를 들어 교사관계는 문항반응이론 척도점수를 사용하였을 때만 유의한 예측 변수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결과를 실제로 어떻게 이용할 것인지에 대하여 제안하고, 주의점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pose and apply a longitudinal item response theory mixture model, as a combination of an item response theory model and a growth mixture model, usable when exploring different latent classes of career maturity growth trajectories. Data from the Busan Educational Longitudinal Study was utilized for this study. This data, which was collected from 2016 through 2019, was scored using three different methods to analyze middle school student responses on the career maturity scale. This resulted in a linear model for all three scoring types, with the same number of latent classes. However, when item response theory scale scores were used, different results were obtained for the classification rates of latent classes, and the model fit was better, unlike the other two types of scores. In addition, when predictors of latent classes were analyzed and compared, some of the significant predictors for item response theory scale scores were not significant for raw scores and standard scores, indicating a distinct difference by score type.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with the limitations of the present stud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