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저널리즘 및 미디어・커뮤니케이션 분야 윤리 연구 동향 분석 - 해외 주요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

        상윤모,박소영 언론중재위원회 2023 미디어와 인격권 Vol.9 No.1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trends and characteristics of ethics-related research from 2013 to 2022 by examining major overseas journals in the fields of journalism and media communication. Among the journals listed in Web of Science or Scopus, search criteria were utilized to select the 20 most relevant journals, and after extracting 782 research papers from the selected journals, content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m. The results show that in 2013, the journals published 33 research papers, while 143 were published in 2022. In addition, the quantitative growth of research was connected to the expansion of research topics. The study results demonstrate that ethics-related research has been actively conducted on increasingly diverse topics in 15 areas classified in the study. Moreover, the study highlights key research trends in classical journalism and media communication, such as journalism ethics, communication ethics, advertising and public relations ethics, internet ethics, ethics related to future technology, ethics related to popular culture and traditional media, and ethics education. Emerging trends in ethics research reflected in topics such as moral panic, social movements, ethical theory and philosophy, and research ethics were also identified. In addition to the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of ethics research brought about by emerging technologies, this study emphasized the need to consider how to connect the lessons and implications accumulated through ethics-related research to media education. Regarding the research methods, most studies (72%) used qualitative methods, followed by quantitative methods (20%) and a mix of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methods (8%). In particular, the use of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showed an increasing trend over time over the 10-year study period, confirming the predominance of conducting ethics-related research in journalism and media communications. This study also presented its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본 연구는 2013년 이후 2022년까지 지난 10년간 저널리즘 및 미디어・ 커뮤니케이션 분야 해외 주요 학술지에 실린 윤리 관련 연구 경향과 특성을 탐색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Web of Science와 Scopus에 등재된저널 중 검색기준에 따라 상위 20개 저널을 선정하여 추출된 782편의 연구논문들을 대상으로 내용분석을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2013년에는 33 건에 머무른 윤리 관련 연구가 2022년에는 143건 발표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의 양적 성장은 연구 주제의 확장과도 연결되었다. 본 연구는 저널리즘 윤리, 커뮤니케이션 윤리, 광고・PR 윤리, 인터넷 윤리, 미래 기술관련 윤리, 대중문화와 전통 미디어 관련 윤리, 윤리 교육 등 저널리즘과미디어 커뮤니케이션학의 세부 영역에서 제기되는 윤리적 이슈를 다룬연구들 외에도 윤리적 혼돈(moral panic), 사회운동, 윤리 이론과 철학, 연구 윤리 등 윤리학적 논의나 사회 현상이 새로운 연구 흐름을 형성하는 등 점차 다양한 주제들을 대상으로 윤리 관련 연구가 활발히 이뤄지고 있음을 확인하여 이와 같은 윤리 연구 경향을 총 15개 영역으로 정리하였다. 이를 중심으로, 신기술이 윤리 연구에 가져온 기회와 도전 뿐 아니라 연구에서 축적된 윤리적 자산을 미디어 교육 현장에 적용해야 할필요성을 논하였다. 윤리 관련 연구들에서 사용된 연구 방법론을 살펴보면, 본 연구에서 분석된 윤리 관련 연구의 72%가량이 질적 연구 방법을활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질적 연구 방법의 흐름은 시간이 지남에따라 증가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음이 관찰되며 질적 접근법이 윤리 연구에서 주류를 차지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반면 양적 연구 방법은 20%, 양적・질적 접근 방식이 모두 활용된 혼합 접근 방법은 8%를 차지하였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시사점 및 한계점 그리고 향후 연구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국내 OTT 시청 및 광고 데이터의 신뢰성 확보를 위한 탐색적 연구: 전문가 심층 인터뷰를 중심으로

        상윤모,유승철,성윤택,변혜민,Diana Piscarac,이기환 한국방송학회 2024 방송통신연구 Vol.- No.125

        급변하는 방송 미디어 시장에서 이용자 데이터의 중요성은 날로 커지고 있다. 본 연구는 OTT 미디어시장에서 광고 단가를 결정하는 교환 기준으로 기능하는 시청 데이터의 신뢰성에 대해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OTT 시청 및 광고 데이터 인·검증 제도 도입 및 운영 방향에 대해 살펴보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에서 ‘OTT 시청 및 광고 데이터’는 광고를 수익 기반으로 하는 OTT 미디어에서 광고비 산정을 위해 측정하는 콘텐츠 이용자의 미디어 이용 행태를 기반으로 생성된 데이터로 정의하였다. 미국 Media Rating Council(MRC)을 비롯한 주요 해외 기관들은 급성장하고 있는 OTT 미디어의이용자 데이터 인·검증 기준 마련을 위해 지속해서 노력해 왔다. 이에 반해 국내에는 OTT 시청 및 광고 데이터 인·검증 기구가 부재하며 최소한의 업계 기준 또한 없는 상태다. 기존 실시간 텔레비전 시청을 중심으로 측정되던 시청률 측정 방식은 방송·통신 융합 환경하에서 이용자의 다양한 시청 행태를 반영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한편, 광고비 산정을 위해 측정하는 OTT 시청 및 광고 데이터와 관련하여 디지털 광고 사기 및 브랜드 안전에 대한 우려 또한 커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의식하에, 본 탐색적 연구는 OTT 미디어 전문가 심층 인터뷰를 통해 그들이 OTT 시청 및 광고 데이터의 신뢰성에 대해 가진 인식을 살펴보고 향후 OTT 시청 및 광고 데이터 인·검증 기구 설립 및 운영에 대한 정책 방향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인공지능의 뉴스 콘텐츠 학습과 뉴스 저작권에 대한 고찰

        상윤모(Yoonmo Sang) 한국저작권위원회 2024 계간 저작권 Vol.145 No.-

        뉴스는 미디어 조직이 시간과 자원을 들여 생산한 상품(commodity)임과 동시에 민주주의 사회에서 여론을 형성하고 정보의 흐름을 주도하는 공공재(public good)로서의성격을 모두 갖는다. 뉴스 콘텐츠는 사실 검증을 거치고 데이터로서의 정형성이 일정 수준 보장된다는 점에서 볼 때, 인공지능의 학습에 좋은 재료가 된다. 이에 인공지능 시대에 뉴스 저작권을 둘러싼 논쟁이 그 중요성을 더해가고 있다. 본 연구는 인공지능의 학습에 유용한 양질의 재료를 제공해주는 뉴스 콘텐츠를 둘러싼 저작권 논의를 뉴스 저작물의 특수성을 중심으로 검토하였다. 구체적으로 이 연구는 “인공지능의 데이터 학습에활용된 뉴스 콘텐츠를 둘러싼 저작권 침해 이슈는 어떻게 다루어져야 하는가?”라는 규범적 질문에 집중한다. 먼저, 인공지능의 데이터 학습 과정에서의 저작권 침해와 제한에대해 살펴본다. 구체적으로, 인공지능의 데이터 수집 및 이용을 위한 저작권 제한의 필요성 논의를 텍스트 및 데이터 마이닝(TDM) 예외와 공정이용 법리 차원에서 살펴본다. 다음으로, 앞의 논의가 인공지능의 뉴스 저작물 학습에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지 검토한다. 이때 다른 창작물과 구별되는 뉴스 저작물의 특수성이 함께 고찰된다.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인공지능의 뉴스 저작물 무단 이용을 호주의 「뉴스미디어 및디지털 플랫폼 강제 협상법(News Media and Digital Platforms Mandatory Bargaining Code)」에서처럼 공정경쟁 환경 조성 차원에서 접근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한다. 인공지능의 뉴스 콘텐츠 학습의 경우 공정이용 조항의 적용에 의존하기보다 저작권법 개정 시 TDM 예외조항을 추가하는 것이 필요하고, 뉴스 저작물의 특성을 고려하여 인공지능 기업과 언론사 간 계약관계에 따라 뉴스 콘텐츠 이용에 대한 정당한 대가지급이 이루어지도록 정책을 마련하는 것이 요구된다. News is both a commodity produced with time and resources by media organizations, and a public good that helps shape public opinion and drives the flow of information in democratic societies. Given its fact-checked nature and structured data, news content becomes a valuable resource for AI data training. Consequently, the debate surrounding news copyright gains prominence in the era of AI. This study examines the copyright discourse surrounding news content, particularly focusing on its unique characteristics. The central question it addresses is, “How should copyright infringement issues related to the utilization of news content for AI data training be handled?”. Examining copyright infringement and restrictions during the AI data training process, this study explores the need for copyright restrictions in terms of the Text and Data Mining (TDM) exemption and the fair use doctrine. Subsequently, it reviews both domestic and international debates on applying these concepts to AI’s learning of news works, considering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news compared to other creative works. Building upon this discussion, this study argues for approaching the unauthorized use of news works by AI from the perspective of creating a fair competition environment, drawing parallels with Australia’s News Media and Digital Platforms Mandatory Bargaining Code. The article concludes with policy recommendations to address these complex issues.

      • KCI등재

        How to strike a balance between competing interests on the Internet: A comparative study of the right of reply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South Korea

        이재진,상윤모 (사)한국언론법학회 2013 언론과 법 Vol.12 No.1

        This study explores, by examining international and comparative perspectives, the applicability of the right of reply to Internet media. The paper tries to identify current legal issues regarding the right of reply, a tool some believe capable of striking a more equitable balance between the freedom of expression and the personal rights within the Internet sphere. Largely focusing on how South Korea and the United States apprehend right of reply, this study attempts to demonstrate that right of reply could help resolve a lurking tension between freedom of expression and personal rights on the Internet.

      • KCI등재

        한국인의 페이스북 중독 결정요인 연구 : 커뮤니케이션 관련 변인을 중심으로

        전범수,이정기,상윤모 한국소통학회 2014 한국소통학보 Vol.23 No.-

        전 세계적으로 페이스북 이용이 활성화되면서 페이스북의 중독적 사용에 대한 우려가 높 아지고 있다. 이에 이 연구는 초고속 인터넷과 스마트폰 등 인터넷 이용이 가장 활성화되어 있는 국가 중 하나인 대한민국에 거주하는 한국인들을 대상으로 페이스북 중독 결정요인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페이스북 중독이 사회적 관계를 유지하고자 하는 인간의 심리 적 욕구가 반영되어 발생한다고 가정하였다. 따라서 심리변인(관계의 질), 페이스북 이용동 기(커뮤니케이션), 사회적 연결(교류자 수) 등 인간의 관계적 특성을 반영하는 독립변인을 활용하여 페이스북 중독을 예측해 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페이스북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페이스북 이용동기(커뮤니케이션), 활용 (페이스북 정보 활용) 등의 변인으로 나타났다. 즉 심리변인(관계의 질)과 사회적 연결(교류 자 수)은 페이스북 중독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다만, 심리변인(관계의 질)은 페 이스북 이용동기(커뮤니케이션)를 통해 간접적으로 페이스북 중독에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 났다. 한편, 페이스북 이용동기는 페이스북 정보 활용과 사회적 연결(교류자 수)에 영향을 미치는 것 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페이스북 중독을 결정하는 것은 사람들과 관계의 질을 향 상하고자 하는 심리적 차원에 있다기보다는 페이스북을 이용하면서 유발되는 커뮤니케이션 동기와 페이스북을 통한 정보 활용 행위, 즉 페이스북 이용 습관이라는 점을 확인하였다. As Facebook usage is surging at global levels, concern is growing over the addictive use of Facebook. This study seeks to explore the factors contributing to Facebook addiction among Koreans, a group living in one of the most wired countries in the world. This study tests the assumption that a person becomes addicted to Facebook due to his or her desire to maintain social relationships. It thus examines such influences on the tendency of Facebook addiction as quality of social relationship, communication motive, and number of Facebook friends. The results show that those who use Facebook for communication and information are more likely to be addicted to Facebook. Another factor influencing one's inclination to Facebook addiction is quality of relationship, which impacts one's motivation to make use of Facebook. The results also show that communication motive influenced both the number of Facebook friends and information-gathering habits via Facebook. The study finds that two determining factors of Facebook addiction are usage pattern of Facebook and communication motive. What does not explain a person's tendency towards Facebook addiction is that person's desire to maintain social relationships.

      • KCI등재

        Enhancing the Reliability of OTT Viewing Data in the Golden Age of Streaming: A Small Sample AHP Analysis and In-Depth Interview

        유승철,성윤택,변혜민,상윤모,Diana Piscarac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2023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smart convergenc Vol.12 No.1

        With the OTT media market growing rapidly, the significance of trustworthy data verification and certification cannot be emphasized enough. This study delves into the crucial need for such measures in South Korea, exploring the steps involved, the technological and policy-related considerations, and the challenges that may arise once these measures are put into place. Drawing on in-depth interviews and the analytical hierarchy process (AHP), this study surveyed various stakeholder groups, both directly and indirectly related to OTT data authentication and certification. By assessing the severity of OTT data-related issues and identifying the requirements for reliability-improvement policies, participants shared their valuable insights and opinions on this pressing matter. The survey results clearly indicate a divided opinion among stakeholders and industry experts on the reliability of OTT data, with some expressing trust while others remain skeptical. However, there was a consensus that advertising-based AVOD is more reliable than SVOD. By analyzing the priorities of authentication and verification, this study paves the way for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a Korean MRC (KMRC), centered on the OTT media industry. The KMRC will serve as a vital platform for ensuring the authenticity and accuracy of OTT data in South Korea, providing businesses and industry players with a reliable source of information for informed decision-making. This study highlights the pressing need for reliable data authentication and certification in the rapidly growing OTT media market, and provides a persuasive case for the establishment of a KMRC in South Korea to meet this critical ne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