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석산개발지 입지유형별 복구 및 활용방안

        사공희,주용준,이상범,최준규,전정의 한국환경연구원 2013 수시연구보고서 Vol.2013 No.-

        석산개발사업은 산을 깎으면서 지형을 평탄화시키거나 대규모 절토사면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자연환경 측면에서 식생 훼손 및 생태축 단절 등으로 생태계 전반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생활 환경 측면에서도 토사유출, 비산 먼지, 소음·진동 등의 영향이 지속적으로 발생하여 지역주민의 생활 환경의 질을 저하시키고 있다. 석산개발은 최소 10여년 이상 장기적으로 개발이 이루어지며 개발이 완료된 이후에도 적절한 복구가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재해 위험성, 지역 경관의 훼손 등과 같은 영향이 지속적으로 미치고 있어 대표적인 민원 사업으로 인식되고 있다. 또한 석산개발지로 훼손된 지역은 토지의 활용도가 낮아 향후 국토 토지자원의 활용 저하가 예상된다. 따라서 석산개발지의 복구 및 활용과 관련된 현안을 진단하고 석산개발지의 효율적 활용을 위한 제도적·정책적 문제점을 개선함으로써 장기적 측면에서 국토 토지자원의 효율성을 높이고, 지역주민과의 협력을 통한 상생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석산개발사업은 전국적으로 540개소에서 운영 중이나 지금까지 환경영향평가를 수행한 곳은 250개소이다. 석산개발사업은 소규모 사업(면적 10만m2 미만)이 약 50%로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며 대부분 기존 사업장을 확장하는 사업으로 20년~30년까지 사업기간이 장기화되는 특성이 있다. 골재 생산용 석산개발은 전국적으로 고루 분포하는 것에 비하여, 석재 자원의 매장은 지질 분포와 밀접한 관련성이 있기 때문에 건축·공예용으로 사용되는 특정 석재의 경우 산지가 제한적이며 관련 지자체 마다 석산의 개발 및 부지의 활용에 있어 정책적 입장이 다르다. 석산개발사업은 복구와 활용성 측면에서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복구 측면에서 첫 번째 채석부지에 대해 복구 기준이 획일적으로 적용되고 있으며 복구 준공이 형식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는 점이다. 둘째 사후환경관리가 미흡하다는 점이다. 복구 준공 기준과 환경영향평가의 사후환경영향조사 시점이 일치하지 않은 한계가 있다. 셋째 채석부지의 복구가 주로 재해 및 경관 측면에서 이루어지고 있으며 생태 복원이 고려되고 있지 않다는 점이다. 석산개발지의 활용 측면에서의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산지관리법에서 석산개발지에 대한 활용 개념이 부재하다는 점이다. 산지관리법에서는 채석이 종료되면 획일적으로 임야로 복구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둘째, 석산개발로 인하여 방치되고 훼손된 지역에 대한 복구 및 활용에 대한 정책이나 계획이 부족하다는 점이다. 셋째, 채석부지를 타용도로 활용하고자 할 때 지역주민의 참여에 있어 법적인 한계가 있다는 점이다. 석산개발지에 대한 복구 및 활용에 대한 국내외 사례를 분석한 결과, 복구설계승인기준에 의거하여 복구한 사업장보다는 절토 사면에 토사를 성토하여 식생 기반을 마련한 사업장에서 식생 복구가 성공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었다. 석산개발지에 대한 활용은 관광지, 체육시설, 시민공원, 연구시설, 신재생에너지 생산시설 등으로 다양한 사례가 있다. 석산개발지는 입지에 따라 산간형, 농경지 인접형, 해안 인접형, 시가지 인접형으로 구분된다. 각 입지유형별로 활용 방향을 정하기 위하여 접근성, 배후수요, 개발 잠재력, 개발 제한 요소를 분석하였다. 석산개발지는 산간형(71%)과 농경지 인접형(20%)이 대부분을 차지한다. 모든 입지 유형에서 대부분 지방도 이상의 도로와 접속하고 있어 접근성 측면에서 양호한 편이며 농경지 인접형의 접근성이 가장 뛰어난 편이다. 각 입지 유형에 있어 개발 규모, 문화 자원의 종류, 개발 제한 요소 등에서 유의미하게 구분되는 특징은 없다. 이로부터 입지유형별로 입지 자체가 가지는 특성과 인접한 배후지의 성격을 고려하는 것이 가장 필요하다. 또한 개발 입지별로 자연 자원 및 문화 자원의 분포와 성격을 고려한 개발이 이루어지는 쪽으로 방향을 설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채석부지의 재활용은 기본 방향을 명확히 하고, 이에 부합하도록 계획을 수립하며 개발 협력 체계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 기본 방향은 첫째, 생태 복원 및 재활용에 대한 명화한 기준을 설정해야 한다. 둘째, 공공성이 확보되어야 한다. 셋째, 지역의 특성 및 고유 문화에 기반하여 개발이 이루어져야 한다. 석산개발지의 재활용을 위한 제도적 기반 마련을 위한 개선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안한다. 석산개발지 복구 측면에서의 개선 방안은 첫째, 부지 특성을 고려하여 생태적 복구기준을 마련하는 것이다. 둘째, 사후환경영향조사의 질적 강화이다. 사후 관리에 적합하도록 조사 항목을 개선하고 환경영향평가 대상에 해당하지 않는 채석 면적 10만m2 미만의 사업장에 대해서도 필요한 경우 사후환경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협의할 필요가 있다. 셋째, 사후환경관리와 복구준공승인을 연계할 필요가 있다. 넷째, 산지복구비 산정 시 생태복원을 고려하여 복구 등급을 구분하여 복구비를 산정할 필요가 있다. 채석부지 재활용을 위한 제도적 개선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산리관리법에 채석부지의 재활용 개념을 도입한다. 재활용을 통하여 복구를 달성할 수 있도록 복구의 개념을 확장할 필요가 있다. 둘째, 공공성에 기반한 채석부지의 복원 또는 활용 계획을 수립하도록 한다. 채석부지의 복원 및 활용 계획은 산지관리법에서 근거를 마련하도록 하고, 지자체가 계획을 수립하고 산림청에서 승인하도록 한다. 셋째, 채석부지 재활용 계획에 대해 주민 참여를 제도적으로 보장할 필요가 있다. 석산개발과정에서 실질적 피해자인 지역주민에 대한 환경보상 측면에서 채석부지 활용에 관한 기본 계획 단계에서 의사 결정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넷째, 채석 허가 기간 규제를 통한 재활용 계획을 관리하는 것이다. 다섯째, 지역 커뮤니티 활성화를 통하여 협력 체계를 구축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 Stone quarry exploitation produces a large amount of cut-slope while cutting out hills and evening out topographies. Such activities necessarily cause adverse effects on overall ecosystem owing to the damaged vegetation and the broken ecological network. In addition, continuous soil runoff, dust scattering, and noise oscillation lower the quality of life environment in nearby residence. Typically, stone quarrying takes at least 10 years of long-term development. When it comes to inadequately recovered development, risky disasters and debased landscapes are likely to occur which may further bring about civil complaint. Once exploited quarry area is hard to be reused and will worsen the quality of domestic territory. Therefore, there are high demands for improving institutional and policy-related difficulties in order to diagnose pending issues on recovery and application measures for the exploited quarry area. By introducing the better system and policy, the long-term efficiency of domestic territory is expected to increase and the coexistence measures with neighborhood can be found. Quarry development is currently ongoing over 540 sites, although only 250 works have investigated under the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Over fifty percent of the quarry development is classified as small-scaled (area under 100 million cubic meter) and in most cases, the developments are expanded making over 20 to 30 years for the completion. Since the stone sources are highly related to the distribution of specific geological formations, subject sites are limited to few places to be used for architectural crafts. Therefore, it is natural that each local government has different policy for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exploited quarries. Regarding the restoration and application of the exploited site, quarry development has few challenges. First of all, restoration standards are uniformly applied to quarry sites that the construction is fulfilled perfunctorily. On top of that, the post-project environmental management is not properly conducted. That is to say, majority of recovery constructions fall into different period of the post-project environmental impact investigation. Thirdly, the recoveries are mostly focused on disaster and scenic aspects instead of ecological considerations. As for the application of exploited quarry, there are few challenges as follow. First of all, there are no specific application concepts for exploited quarry area in terms of the Management of Mountainous Districts Act. According to the act, once used lands are completed with the development, they are obligated to reinstate to the original form, such as forest land. In addition, there are no policies or plans for the restoration and application of damaged and abandoned quarry development areas. Lastly, lack of mandatory controls to encourage local residents to make use as the diversion of exploited quarry area could be another difficulty. As a result of analyzing domestic and foreign cases of the recovery and application, projects with vegetation base after piling up mounding on the cut-slope turned out to be the most successful rehabilitation of vegetations. They were more likely to restore the exploited area well than the projects observing the recovery design approval standards. There are many applications of the exploited quarry area; tourist spots, athletic training facilities, city park, and research complexes such as new and renewable energy production units. Stone quarry development area is classified into mountainous, adjoining farmland, adjoining coast, and adjoining town depending on the project site. In order to make suggestions for better application on each project site, accessibility, potential demand, developability, and development restriction factors are analyzed. Quarry development area is mostly located in mountainous (71%) and adjoining farmland (20%) areas. In all cases, the project sites are connected with at least prefectural-scale road allowing the site with better accessibility. Adjoining farmland, especially, has the best accessibility than others. However, no specific features are noticeable in terms of scale of the development, cultural resources, and development restriction factors. Therefore, it is significant to consider characteristics of the hinterland in the vicinity of the project site. Additionally, setting up the reuse plan considering natural and cultural resources of the local is necessary for better quarry restoration. To reuse the exploited quarry properly, it is desirable to understand basic objectives and establish plans to follow the goals and cooperation system for the development. Organizing specific standards for ecological recovery and land reuse is the first priority. Second, secured publicity is required. Lastly, the development counting on both community character and native culture should be conducted. Improvement plans to establish institutional foundation for the reuse of exploited quarry are suggested as follows. First, set up an ecological restoration standard by taking land characteristics into account. Second, strengthen quality of the post-project environmental impact investigation. To say nothing of improving investigation items, small-scaled quarry development projects with the area under 100 million cubic meter should be discussed to be subject to the post-project environmental management. Third, make a connection between the post-project environmental management and recovery construction approval. Fourth, estimate the recovery cost by considering recovery ratings. Institutional improvement plans to reuse exploited quarry are suggested as follows. First, introduce the reuse of exploited quarry to the Management of Mountainous Districts Act. Second, establish application plan of the rehabilitation of quarry based on public use. Rehabilitation and application of the exploited quarry should be grounded on the Management of Mountainous District Act and let municipal government approve the project. Third, encourage residents to participate in planning and rehabilitation of the quarry supported by institutional base. It is necessary for direct sufferers from the quarry development to take part in decision making on the basic programming phases for application of the land. Fourth, manage the reuse plan through regulating approval periods on quarry development. Last, activate regional economy of the project site to construct cooperation systems.

      • 개발기본계획의 전략환경영향평가 운영의 성과분석 및 발전방향 연구

        사공희 ( Hee Sagong Et Al. ),주용준,이후승,이상윤,조공장,강유진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18 기본연구보고서 Vol.2018 No.-

        It has been 40 years since the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EIA) was implemented to minimize environmental impacts from proposed projects. In the early era of EIA, the Prior Environmental Review System(PERS), currently known as the Strategic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SEIA), was implemented to avoid unpredicted shortcomings from applying the EIA. This study conducted a performance analysis of SEIA over 10 years. In addition, we surveyed stakeholders with respect to their perspectives on the SEIA system and recommended plans for improvement.We conducted analyses of the current situation with respect to implementation of the SEIA system in four different areas such as adjustment of assessment period, setting and evaluation of alternatives, EIA committee, and public participation.In terms of adjustment of assessment period, we conducted analyses of the current situation with respect to changes in the assessment period, review opinions, and types of assessment related tasks in order of effectiveness for the SEIA which was designed to assess environmental impacts earlier (planning phase) rather than later (project phase). Based on project information registered in the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Support System from 1993 to 2017, we carried out quantitative performance analyses of the assessment period and environmental conservation for projects which can be traced back to the SEIA. In terms of the performance analysis of setting and evaluation of alternatives, EIA committee, and public participation, we relied on content analysis and the Delphi method for urban development projects.We found that the assessment period of the SEIA era tended to be lengthened compared to the assessment period of the PERS ear. However, there are two positive results. Not only did the assessment period become stable, but also the fluctuation of the assessment period for the EIA has shrunk. This finding implies that the EIA system has become stable and that assessment periods for both the SEIA and EIA have become more predictable. Since the SEIA deals with appropriateness of plan sites and the EIA deals with the minimization of environmental impacts from projects, the functions for the two systems have been clearly differentiated. This is the main reason why the assessment period for the EIA has been shortened.In terms of setting and evaluation of alternatives, we found that the diversity of alternatives, distinction among alternatives, feasibility of alternatives, and appropriateness of alternative assessment have been improved quantitatively. However, in-depth analysis of the contents revealed that it is difficult to claim that distinction among alternatives, feasibility of alternatives, and appropriateness of alternative assessment have been successful.Although the proportion of governmental officials and experts in the EIA committee tended to be greatest, this committee became diverse through more members appointed from the civic society and affected community in recent years. When we analyzed review opinions of EIA committee members, aside from members of official consulting and review agencies, other members were provided with inappropriate opinions which neither complied with objects for the EIA committee or assessment items. This finding indicates that it is import to appoint members who have technical knowledge pertaining to the EIA and understand the system well.An environmental index based on implementation of the SEIA is a direct indicator that shows if SEIA is accomplishing precautionary conservation of national land. We developed a list of variables that represent the environmental index and compared variables for an initial plan with variables for a final plan.In order to express implementation of the SEIA quantitatively, we computed the relative performance index, taking into account the assessment period. We also expressed contributions of the performance index based on environmental conservation, setting and evaluation of alternatives, EIA committee, and public participation. Results indicated that the performance index for setting and evaluation of alternatives and environmental conservation contributed the most and least, respectively, to the total performance index. The main reason why contribution of environmental conservation was the least was because the EIA system in Korea has remained stable over time. In other words, since the introduction of the SEIA system, many guidelines related to sites and plans have been developed, and differences between intial and final plans in terms of environmental conservation degree tend to be smaller in recent years.Although the public tends to express opinions related to compensation more than those related to environmental impacts in the SEIA process, this pattern was reversed during the EIA process. In addition, the number of public opinions related to environmental impacts has increased in recent years, which implies that public awareness and interest in the environment has strengthened.Experts reported that the SEIA has contributed to environmental conservation. Experts also said that procedural requirements of the SEIA system are the main reason for environmental conservation. We found discrepancies between results from analysis of the performance index in four different areas and the perception of experts with respect to the performance index. While this can be explained, experts tend to think that the overall effects from introduction of the SEIA system and analysis of the performance index is based on environmental conservation of individual projects. Although experts agreed that the setting and evaluation of alternatives in the SEIA era are more advanced than in the PERS era, such advancement failed to lead to the enhancement of environmental conservation. Experts reported that the EIA committee can be strengthened by improving the provision of feasible alternatives and distinct assessment items. Finally, experts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collecting public opinions on behalf of project proponents and approval agencies, and noted this positively with respect to the dissemination of information during the public participation process.Based on results from surveys on the perceptions of stakeholders and expert forums, we found several problems. In terms of problems associated with management of the SEIA system, we found a prolonged assessment period, lack of distinction between the SEIA and EIA guidelines, demand for information which does not take into consideration the stage of plan, and ambiguous official consultations between the SEIA and EIA as problems. In terms of setting and evaluation of alternatives, we found lack of systematic reviews of alternatives, the time that alternatives are set, and the lack of site alternatives as problems. In terms of the EIA committee, we found written evaluations, lack of variations in EIA preparation documents, lack of information around affected areas, and a lack of distinctive functions between the SEIA and EIA committees as problems. In terms of public participation, we found a low effect from public participation, a lack of diverse public participation methods applied, and a lack of roles for approval agencies during the process as problems.We suggested several policy recommendations to enhance the SEIA system. First, we suggested that SEIA and EIA should be functionally differentiated through taking advantage of the simplified EIA system. Secondly, we recommended that the effectiveness and diversity of alternative assessments should be ensured via adjustment of the time when alternatives are set and provision of the third alternative. Thirdly, we suggested that the SEIA and EIA committees should be combined, scoping functions should be strengthened, and an agency which specializes in scoping should be established. Finally, we recommended that public participation should be considered as a feedback route rather than a unidirectional route, and social research methods should be developed to be applied in the public participation process. 개발사업으로 인한 환경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환경영향평가 제도를 도입한 지 40년이 경과하고 있으며, 초기 환경영향평가 제도 운영으로 인한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사전환경성검토 제도(현 전략환경영향평가 제도)가 도입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전략환경영향평가제도(구 사전환경성검토 포함)를 10여 년간 운영한 결과에 대한 운영 현황 및 성과분석을 수행하였으며, 이해관계자 인식조사를 통하여 문제점을 도출하고 개선방향을 제안하였다.전략환경영향평가 제도 운영에 대하여 1) 평가시기의 조정, 2) 대안설정 및 평가, 3) 환경영향평가협의회, 4) 주민참여의 4개 부문으로 구분하여 현황 분석을 수행하였다. 평가시기조정과 관련하여, 전략환경영향평가(구 사전환경성검토 포함)를 추가로 도입하면서 환경영향평가보다 앞선 계획 단계에서 환경평가를 수행함에 따라 제도 도입의 효과성을 알기 위해 평가기간의 변화, 검토의견의 변화, 평가 관련 업무의 변화에 대한 현황 분석을 수행하였다. 정량적 성과분석을 위하여 전략환경영향평가-환경영향평가로 이어지는 연계사업에 대해 평가기간 및 사업별 환경보전 성과를 분석하였다. 평가기간에 대한 분석은 환경영향평가정보지원시스템(EIASS)에 등록된 1993년부터 2017년까지의 사업 정보를 이용하였다. 대안설정 및 평가, 환경영향평가협의회, 주민참여에 대한 분석은 도시개발사업을 중심으로 평가서 내용 분석 및 전문가 평가를 통해 실시하였다.전략환경영향평가 도입으로 인하여 사전환경성검토 시기보다 평가기간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나 평가기간이 비교적 일정하며, 환경영향평가 평가기간의 변화폭도 작아지고 있다. 이는 전략환경영향평가 및 환경영향평가 협의기간을 예측할 수 있고 제도가 안정화되었음을 의미한다. 연계사업의 경우 환경영향평가 평가기간이 단축되는 효과가 있었다. 이는 전략환경영향평가가 환경영향평가에 앞서 입지 및 계획의 적정성을 검토함으로써 환경영향평가 단계에서는 저감방안 위주로 평가가 진행됨에 따라 두 제도가 점차 효율적으로 운영되고 있음을 의미한다.대안설정 및 평가에 있어 사전환경성검토 시기에 비하여 전략환경영향평가 시기에서 대안의 다양성, 대안간 차별성, 실행가능성, 대안평가의 타당성이 모두 증가하였다. 하지만 내용적 측면의 달성도는 대안간 차별성(50% 미만), 실행가능성(60% 미만), 대안평가의 타당성(30% 미만)이 모두 매우 저조한 수준이다.환경영향평가협의회의 위원구성은 관련 행정기관 공무원과 전문가의 비율이 가장 높으며 최근에는 시민단체와 주민대표의 참여가 늘어나면서 구성원이 다양해지고 있다. 하지만 심의의견에 대한 분석결과 환경청 및 KEI를 제외한 참여그룹에서 항목 및 협의회 목적에 부합하지 않는 심의의견을 제시하는 비율이 높으며, 평가결과는 50점 내외로 낮은 편이다. 이로부터 제도에 대한 이해도가 높고 전문성이 있는 심의위원의 확보가 필요함을 알 수 있다.전략환경영향평가의 환경성 성과는 국토의 사전예방적 보전이라는 제도의 도입 목적에 관한 직접적인 지표이다. 사업유형에 따라 환경성을 나타내는 환경 지표를 선정하고 당초 및 최종 계획 사이의 변화량을 이용한 환경성과지수를 개발하여 상대 비교를 수행하였다.전략환경영향평가의 운영 성과를 정량적으로 나타내기 위하여 평가기간과 연동한 상대적인 값으로 성과지수를 계산하였으며, 이를 환경보전, 대안설정 및 평가, 환경영향평가협의회, 주민참여의 4개 부문으로 구분하여 성과기여도로 나타내었다. 부문별 성과기여도에서 대안설정 및 평가 부문의 성과기여도가 상대적으로 가장 높았으며 환경보전의 성과기여도가 상대적으로 가장 낮았다. 환경보전 성과의 기여도가 낮은 것은 제도 도입 초기부터 지속적으로 입지 및 계획 관련 가이드라인이 개발·보급되어 환경평가 과정에서 반영되어 왔기때문에 제도가 성숙된 현 단계에서는 제도 도입 초기에 비하여 개별사업 단위에서는 사업계획의 변화가 크지 않은 것에 기인한다.주민참여는 전략환경영향평가 단계에서는 보상과 관련된 의견의 제시가 많으나 환경영향평가 단계에서는 환경과 관련된 의견제시가 더 많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최근으로 올수록 환경 관련 의견 제시가 많아지고 있어 환경에 대한 주민의 관심과 의식수준이 높아진 것으로 판단된다.이해관계자 인식조사 결과에서는 전략환경영향평가 제도 도입에 따른 효과로서 자연환경의 보전에 대한 기여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해관계자들은 전략환경영향평가가 환경성 강화에 기여하였으며, 제도화로 인한 절차의 강제성이 가장 큰 요인이라고 응답하였다. 이와 같은 이해관계자 인식조사 결과가 부분별 성과기여도와 상이한 것은 이해관계자 인식조사는 제도 도입에 따른 전반적인 효과를 반영하고 있는 반면, 성과기여도는 개별 사업에서의 환경보전 성과를 나타내고 있기 때문이다. 대안의 설정 및 평가는 사전환경성검토시기에 비하여 발전했다는 점에는 동의하고 있으나 이로 인한 환경성 강화효과는 높지 않은 것으로 평가하고 있다. 환경영향평가협의회의 운영과 관련하여 대안 제시 기능 및 차별적 평가항목 제시 기능이 미흡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주민참여와 관련하여 사업자 및 승인기관에서 주민의견 수렴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으며 의사결정과정에서의 정보공개를 높게 평가하고 있다.이해당사자 인식조사 및 포럼 결과를 종합하여 운영주체별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전략환경영향평가 운영의 문제점은 평가기간이 장기간 소요된다는 점, 환경평가서의 작성 및 검토내용의 차별성이 부족한 점, 계획단계를 고려하지 않은 정보를 요구한다는 점, 전략환경영향평가와 환경영향평가 단계의 협의 기능이 모호하다는 점 등이다. 대안설정의 문제점은 체계적 대안검토가 미흡하고, 대안설정의 시기가 늦으며, 제3의 대안이 부족하다는 점 등이다. 환경영향평가협의회의 문제점은 서면평가, 천편일률적 평가준비서 등으로 부실하게 운영되고 있으며, 환경정보 제공 및 대안설정 기능이 미흡하고, 전략환경영향평가 단계 및 환경영향평가 단계에서의 협의회가 차별성이 부족하다는 점 등이다. 주민참여에서의 문제점은 주민의견의 실효성이 부족하고, 주민참여 방법론이 부재하며, 승인기관의 역할이 부족하다는 점이 있다.본 연구에서는 도출된 문제점에 대한 개선방향을 다음과 같이 제안하였다. 전략환경영향평가 운영의 개선방향은 약식 환경영향평가의 활용 등으로 환경영향평가 절차를 간소화하며 전략환경영향평가와 환경영향평가의 기능을 분리하여 차별성을 확보하여야 한다. 대안설정 및 평가 측면에서는 대안평가의 시기 조정과 제3의 대안 마련을 통하여 대안의 다양성과 대안평가의 실효성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환경영향평가협의회 부문의 개선방향으로 전략과 환경영향평가 단계의 협의회를 통합하고 스코핑 기능을 강화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하여 협의회 운영을 전담기관이 담당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주민참여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주민참여가 절차적 조건이 아니라 환경평가 각 단계별로 참여하고 결과를 제공받는 순환형으로 변경되어야 하며, 주민의견 수렴을 위한 방법론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