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화재실험을 통한 주택용 연기감지기 응답특성에 관한 연구

        사공성호,김시국,이춘하,정종진 한국화재소방학회 2009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Vol.23 No.4

        In this paper, in order to analyze the response characteristics of the smoke detectors which is suitable with the residential fire detector, the paper fire and flammable liquid fire experiment came to be accomplished according to UL Standard for safety for smoke detector for fire alarm signaling systems, UL 268. Also Photoelectric smoke detector, the Analog smoke detector and the single station alarm device came to be used with the specimen and the response characteristics of the smoke detectors which follows in these two types(paper, flammable liquid) test fire came to be analyzed. As a result, according to test fire there was some difference to response characteristics of the smoke detectors. 본 논문은 연기감지기의 응답특성을 분석하여 주택용 화재감지기로 적합한지를 분석하고자 광전식연기 감지기, 아날로그연기감지기, 단독경보형연기감지기를 시험체로 선정하여 UL 268에서 정하는 화재시험방 법을 응용하여 화재성상(종이화재와 인화성액체화재)에 따른 연기감지기의 응답특성을 분석하고자 화재실 험을 실시하였다. 실험결과 화재성상에 따라 연기감지기의 응답특성 차이가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 었다.

      • KCI등재

        주택 실물화재실험에 의한 화재감지기 응답특성에 관한 연구

        사공성호,김시국,이춘하,정종진 한국화재소방학회 2009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Vol.23 No.3

        This paper is for response feature of fire detectors not only to analysis response feature of fire detector, but also to observe flame spread of inside-building and fire enlargement by using the row house which is supposed to be broken up. Many kinds of popular detectors such as heat type detector( differential type, fixed temperature type, Analogue type)and smoke type(light scattered type, Analogue type, single alarm type) were installed in the house in order to check for the change of temperature by installing of thermocouples. As a result, smoke detectors are better than heat detectors when it comes to making effective fire-detect system in the row house. 본 논문은 주택 실물화재실험에 의한 화재감지기 응답특성에 관한 연구로서 철거가 예정된 연립주택을 화재실험대상으로 선정하여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감지기 종류인 열감지기(차동식, 정온식, 아날 로그식)와 연기감지기(광전식, 아날로그식, 단독경보형)를 주택내부에 설치여 화재감지기의 응답특성을 분 석하고, 추가적으로 건물내부로의 화염전파 및 화재확대를 관찰하기 위해 열전대를 설치하여 온도변화를 측정하였다. 실험결과 주택에서 효과적인 화재감지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연기감지기가 열감지기보 다 주택용 감지기로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벽체 종류에 따른 무선화재감지기의 응답특성에 관한 연구

        사공성호,김시국,이춘하,김형권 한국화재소방학회 2011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Vol.25 No.4

        In this paper, an experiment was performed to confirm the effectiveness and the reliability of the wireless fire detector with a 2.4 GHz wireless module which is widely used for commercial purpose. It was the experiment of transmitted waves of wireless signals using samples of typical obstacles such as walls which may affect the wireless communication environment in the building. The experiment results show that the transmitted signal had differences in the response characteristics by wall types. 본 논문에서는 무선화재감지기의 효용성 및 신뢰성을 확인하고자, 현재 가장 많이 상용화되어 있는 2.4GHz의 주파수를 사용하는 무선모듈을 이용하여, 건물 내에서 무선통신 환경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대표적인 장애물의 종류인 벽체를 시료로 하여 무선신호의 투과파 측정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결과 벽체 종류에 따라 무선신호의 응답특성에 차이가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유무선통합화재감지시스템 성능에 관한 연구

        정종진,사공성호 한국화재소방학회 2010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Vol.24 No.2

        In this study, a smoke or a heat which occurs by a fire is perceived by wireless detector, this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receiving device by the wireless installation which is not the wire device and wire/wireless integration system which sends this signal to main server via wire system is proposed. In addition wireless heat/smoke detector, wireless module, firmware and wire/wireless integration controller were developed and for verifying regarding the efficiency and applicability of wire/wireless installation actual place application experiment was really accomplished with a transmission tower, a multipurpose building, and a station etc of the subway. The experimental result, it could operate the system which is proposed normally with all experimental object ones and, future actual place application possibility could verify. 본 연구에서는 화재로 인하여 발생되는 연기 또는 열을 무선화재감지기에서 감지하여, 유선이 아닌 무선장치를 이용하여 수신장치까지 전송하고, 이 감지신호를 유선을 통하여 메인서버로 전송하는 유무선통합감지시스템을 제안한다. 또한 무선 열/연감지기, 무선모듈, 펌웨어, 유무선통합수신반 등을 개발하였으며,유무선장치의 성능과 실용성에 관한 검증을 위하여 송신탑, 주상복합건물, 지하철역사 등에서 실제 현장적용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결과, 제안한 시스템은 모든 실험대상물에서 정상적으로 동작하였으며 향후 현장적용이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상수도 직결형 스프링클러설비의 소화 성능에 관한 연구

        정종진,사공성호 한국방재학회 2011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11 No.5

        In this paper, in order to evaluate performance of fire extinguishing of waterworks direct couple sprinkler system fire test was executed. The experimental result, when emission pressure of sprinkler head is 0.1 MPa and size of lumber clip is 450×450×320㎜, the fire became completely the extinguishment, then a heat release rate is 250 kW. When emission pressure of sprinkler head is 0.2 MPa and size of lumber clip is 450×450×480㎜, the fire did not become the extinguishment and when emission pressure of sprinkler head is 0.3 MPa. the fire was soon extinguished. Then a heat release rate of fire source is 400 kW. As the result, when waterworks pressure of the general residence is 0.3 MPa, it could verify that the fire of a heat release rate 400 kW class goes out. 본 연구에서는 상수도 직결형 스프링클러 시스템의 정량적인 소화성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화재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결과 스프링클러 헤드의 방사 압력이 0.1 MPa, 목재클립의 크기가 450×450×320㎜ 일 때는 화재는 완전히 소화되었으며 이때 화원의 열방출률은 250 kW이다. 또한 목재클립의 크기가 450×450×480㎜이고 헤드의 방사압력이 0.2 MPa이면 완전소화가 되지 않았으며, 헤드 방사압력이 0.3 MPa일 때 소화가 가능하였다. 이때 화원의 열방출률은 400 kW이다. 이 결과로서 일반 주택의 상수도 압력이 0.3 MPa압력이면 열방출률이 400 kW급의 화재는 소화가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후보

        유도등의 안정성 해석에 관한 연구

        정종진,사공성호 한국방재학회 2008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08 No.04

        In this study, Standards of Lighting Appliance and Standard of Model Approval and Inspection Technology for EXIT LIGHT are compared so as to analyze stability of a exit light which is fire product. Test items, which are not included in Standard of Model approval and Inspection Technology for EXIT LIGHT, are deduced from aforementioned comparison and analysis. Also the derived test items are experimented with a exit light. For a power factor correction, a power factor correction circuit is designed and power factor, crest factor, asymmetry ratio, luminance variation are analyzed. In order to show the validity of designed circuit, current waveform and voltage waveform are measured. 본 연구에서는 소방제품인 유도등의 안정성 분석을 위하여 일반조명기기의 기준과 유도등의 형식승인 및 검정기술기준을 비교하였다. 유도등의 형식승인 및 검정기술기준에는 없는 시험항목을 도출하였다. 또한 도출된 시험항목으로 유도등을 대상으로 실험을 수행하였다. 역률을 보상하기 위하여 역률보상회로를 설계하였고 역률, 파고율, 비대칭율, 휘도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설계된 회로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전압과 전류의 파형을 측정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