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양식 붉바리(Epinephelus akaara) 종자의 개발과 사양관리

        부문수,이치훈,문영건,김병훈,김민석,김대근,백혜자,김형배,이영돈 한국수산과학회 2020 한국수산과학회지 Vol.53 No.4

        We investigated seed management and feeding regime of larval red spotted grouper Epinephelus akaara using live food organisms. Fertilized eggs were produced in March 2020 by manipulating photoperiod and water temperature. Broodstock (F0) produced approximately 0.30×106 eggs, of which 0.25×106 were fertilized; first-generation broodstock (F1) produced 2.00×106 eggs, of which 1.90×106 were fertilized. Larvae were reared at temperatures of 21.0- 24.5°C. The feeding regime consisted of rotifers Artemia, and commercial pellet feed. From 5-8 days after hatching (dah), rotifers collected from high-density incubation tanks were fed to grouper larvae at a density of 10-20 individuals/ mL. From 9-30 dah, rotifers collected from low-density incubation tanks were fed to larvae at a density of 10-20 individuals/mL. Newly hatched Artemia were provided from 20-24 dah and enriched Artemia from 25-50 dah. Commercial pellet feed was given starting at 13 dah. The average mouth size in hatchlings was 263.4±3.7 μm at 5 dah, 406.7±21.0 μm at 11 dah, and 856.9±136.6 μm at 21 dah. At 1 dah, larvae had a mean total length of 1.95±0.06 mm. At 66 dah, the mean TL was 4.0 cm. The final number of surviving red spotted grouper larvae was 218,380 fishes.

      • KCI등재

        제주도 양식 붉바리 자치어 소화관에서 분리된 미생물의 특성

        문영건,부문수,이치훈,박진국,허문수 한국미생물학회 2023 미생물학회지 Vol.59 No.4

        In this study, we aimed to explore the potential development of red seabream probiotics by isolating bacteria with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fish pathogens from the indigenous gut microbiota of farmed red seabream. Among the isolated strains from the indigenous gut microbiota of red seabream, 12 strains were selected as candidate probiotic bacteria based on their ability to withstand varying water temperatures, salinities, exhibit antimicrobial properties, and antibiotic resistance. These 12 strains were identified using the 16S rRNA gene sequence as follows: G1 (Bacillus licheniformis strain DSM 13), G3 (Bacillus velezensis strain CBMB205), G15 (Brevibacterium frigoritolerans strain DSM 8801), G21 (Bacillus pumilus strain ATCC 7061), J2 (Paracoccus marcusii strain MH1), J7 (Micrococcus yunnanensis strain YIM65004), R8 (Micrococcus aloeverae strain AE-6), R13 (Bacillus tequilensis strain 10b), B1 (Lactobacillus paracasei strain R094), B2 (Lactococcus lactis strain NBRC1 00933), B3 (Lactobacillus plantarum strain JCM1149), and B5 (Lactococcus lactis subsp. hordniae strain NBRC 100931). The selected 12 strains of gut microbiota exhibited significant efficacy in in vitro experiments against fish pathogenic microorganisms and demonstrated notable antibiotic susceptibility. The strains also maintained stability across experiments conducted under varying temperatures and salinities, suggesting their potential positive application in aquaculture settings.

      • 수온에 따른 붉바리의 성장과 소화활성

        전은정,오승보,김은수,최송이,현주엽,이지은,이치훈,부문수,이영돈 한국발생생물학회 2015 한국발생생물학회 학술발표대회 Vol.2015 No.9

        어류의 소화활성은 다양한 소화호르몬에 영향을 받으며, 특히 cholecystokinin과 점액분비세포는 소화기관에 중요한 생리적 역할을 담당한다. 소화호르몬인 cholecystokinin(CCK)은 어류의 뇌와 소화관에서 합성, 분비되며, 장 운동을 활성화시키고, 담낭 수축, 위산과 췌장에서의 분비를 촉진시키며, 또한 식욕을 억제하는 역할을 하기도 한다. 이 연구에서는 바리과 어류인 붉바리 치어를 대상으로 수온에 따른 붉바리의 성장과 이에 따른 소화관 내의 소화호르몬인 CCK의 발현 양상과 점액분비세포인 배상세포의 활성에 대해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붉바리 치어를 자연수온, 20℃, 24℃, 28℃로 4개의 그룹으로 나눠 2014년 12월부터 2015년 6월까지 7개월간 사육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4주 간격으로 전장과 체중을 측정하였다. 수온에 따른 붉바리 치어의 소화활성을 분석하기 위해 각 그룹별로 5마리씩 각각 뇌와 위, 유문수, 전장, 중장, 후장을 채취하여, 배상세포 활성을 분석하였다. CCK gene은 붉바리의 뇌 조직을 이용하여 클로닝하였고, CCK gene의 조직발현은 뇌, 뇌하수체, 눈, 아가미, 신장, 간, 심장, 소화관, 생식소, 근육을 샘플링하여 분석하였다. 실험 시작 시 자연수온, 20℃, 24℃, 28℃ 실험구의 전장은 각각 7.5±0.7 cm, 7.1±0.6 cm, 7.2±0.6 cm, 7.2±0.5 cm이었고, 체중은 각각 6.80±1.6 g, 6.05±1.5 g, 6.42±1.6 g, 6.16±1.4 g이었다. 실험 종료 시 자연수온, 20℃, 24℃, 28℃ 실험구의 전장은 각각 10.6±1.3 cm, 13.3±1.3 cm, 16.1±1.6 cm, 18.3±1.5 cm이었고, 체중은 각각 21.1±22.3 g, 40.5±11.8, 81.7±22.3 g, 126.0±36.3 g이었다. 성장률을 확인한 결과, 28℃, 24℃, 20℃, 자연수온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CCK의 조직발현 확인 결과, 뇌와 소화관에서 비교적 높은 발현을 보였고, 조직분석을 통한 배상세포의 활성 차이는 실험구 간의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 연구를 통해 붉바리 치어의 적정 사육 수온은 24~28℃일 것으로 추정되며, 소화호르몬인 CCK와 점액분비 세포인 배상세포가 소화활성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생각되나, 수온에 따른 CCK와 배상세포의 소화활성에 대한 연구가 더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