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 기술이전이 지역 경제발전에 미치는 영향 ― 동적 패널모형을 이용한 실증연구

        봉강호 ( Bong Kang Ho ) 한국지식재산연구원 2021 지식재산연구 Vol.16 No.1

        지역발전의 불균형·양극화 현상 해소 필요성이 대두됨에 따라 지역의 핵심적인 혁신주체로서 대학의 기업가적 역할이 강조되고 있다. 학자 및 실무자들은 대학이 혁신적 지식 및 기술의 원천으로서 지역 경제발전의 ‘엔진’이며, 대학의 기업가적 활동이 국가균형발전 실현에 기여할 것이라 기대한다. 그러나 여전히 지역발전에 대하여 대학의 기술이전으로부터 창출되는 영향을 규명한 실증적 증거는 찾아보기 어려운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동적 패널모형을 이용하여 우리나라 16개 시도 단위에서 공간의존적 특성을 지닌 대학 기술이전과 지역 경제발전 간 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대학 기술이전 수입료는 지역 경제발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반면, 기술이전 건수의 경우 유의한 결과가 관측되지 않았다. 이는 대학 기술이전의 양적 성장은 지역 경제발전에 기여하지 못하며, 기술이전의 질적 성장만이 실제 지역 경제발전을 견인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As the need to resolve the imbalance and polarization of regional development is emerging, the entrepreneurial role of universities has been emphasized. Universities have been regarded as ‘engine’ of regional development, and it is expected that the entrepreneurial activities of university contribute to the realization of balanced national development. However, there is still little evidence to evaluate the impact of university technology transfer on regional development. Existing studies have analyzed the effects of patent applications or publication on and the economic growth at regional level, but for instance, assuming a causality with regional economic growth is limited, given that patents filed from local entities may not necessarily be utilized within their region. In this study, we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university technology transfer and regional economic development which is considered as being with space-dependent characteristics, using the dynamic panel model. We found that, while the import fee for technology transfer has a positive effect on regional economic growth, no significant results were observed for the number of technology transfers. Our findings suggest that the quantitative growth of university technology transfer does not contribute to regional development, and that only the qualitative growth of technology transfer can drive actual regional economic growth.

      • KCI등재

        분위회귀모형을 이용한 연구조직의 다양성과 혁신성과 간 관계 분석

        봉강호 ( Kang Ho Bong ),김수민 ( Sumin Kim ),박재민 ( Jaemin Park ) 한국생산성학회 2021 生産性論集 Vol.35 No.3

        As technological innovation is becoming important, securing intellectual diversity through the workforce diversity of research organizations is being emphasized. However, views on organizational diversity are still not reaching consensus, and existing evidence have limitations in terms of the empirical approach. Indeed, increasing number of studies which use quantile regression model show that the significanc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inputs and performance fundamentally differs across different levels of innovation performance.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firms’ workforce diversity and innovation performance, where we focus on the impact of gender diversity, age diversity, and education diversity. Methodologically, we conduct quantile regression model analysis to identify the effect of workforce diversity at various levels of innovation performance. The analysis in this study analyses 15,377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pooled from a 5-year period (2015-2019). First,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s that age diversity in research organizations has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innovation performance. Moreover, the positive effects of age diversity are more pronounced in relatively innovative organizations. This suggests that an organizational structure focused on a particular age group could rather undermine innovation. Organizational structure consisting of researchers of different ages is more positive for innovation performance. Second, we find that the positive effects of education diversity is observed only in organizations with high levels of innovation performance. This suggests that, as the positive effects of organizational diversity vary depending on the level of innovation performance, strategic decisions need to be made based on systematic diagnosis of the organization. Third, the results show that gender diversity is not necessarily related to innovation performance. It is reasonable to understan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due to the failure of the size of female R&D personnel in sample companies to reach the critical level where the effect of gender diversity is expressed. This study contributes to provide empirical evidence and implications at firm level, which has been relatively insufficient in the Korean context, through empirical research using survey data on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In addition, our findings supplement the existing evidence by showing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diversity and innovation varies depending on the level of innovation performance through a quantile regression analysis.

      • KCI등재

        기술창업기업의 투자유치에 대한 정부지원의 신호효과: 허들모형을 이용한 실증연구

        봉강호 ( Kang Ho Bong ),권지훈 ( Jihun Kwon ),김규태 ( Kyu-tae Kim ) 한국중소기업학회 2020 中小企業硏究 Vol.42 No.4

        초기 단계의 창업기업들의 경우 축적된 실적이 없는 관계로, 기업과 투자자 간에는 항상 정보의 비대칭 문제가 존재한다. 이에 자원 확보의 가능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전략으로서 자신들의 기술 및 시장 잠재력을 알릴 수 있는 '신호'를 활용하는 전략이 강조되어 왔다. 정부지원은 공정하고 치열한 경쟁과정을 거친다는 점에서 초기 창업기업에 대해 보다 객관적인 정보를 제공하고 기업의 역량 및 잠재력을 보증하는 신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허들 모형을 활용하여 정부지원 및 투자유치 간 양적 관계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정부지원규모와 투자유치규모 간 비례적 관계를 가지지만, 기술창업기업이 첫 투자를 유치하는 단계를 넘어서는 데는 일정 규모 이상의 정부지원이 요구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투자유치여부와 투자유치규모가 결정되는 메커니즘이 상이한 만큼, 신호이론 관점의 연구들이 투자유치과정의 허들 구조를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초기 단계의 기술창업기업이 첫 투자를 유치하는 단계를 넘어서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는, 즉 ‘문지방 효과’ 창출에 특화된 지원방법이 모색될 필요가 있다고 하겠다. There often is information asymmetry between start-ups and the investors, which is because start-up companies in the early stages do not have track records. Meanwhile, since the government grants programs go through a fair and the intense competition process, the government grants can provide a more objective information for start-ups in the early stages and perform a signal function that guarantees a company's capabilities and potential. This study confirms the quantitative relationship between government grants and investment attraction by using the hurdler model. We found that, although there is the proportionate relationship between the scale of government grants and that of external funds, more than a certain amount of government grants is required for technology-based start-ups to exceed the stage of attracting their first external funds. Our findings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hurdles structure in the study of signaling theory perspective, as the mechanisms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to attract external funds are different from determining the level of external funds. In addition, differentiated policy support is needed to help early-stage technology start-ups go beyond the threshold of investment attraction―the creation of a ‘threshold effect'.

      • KCI등재

        슘페터 가설 관점에서 중소기업 생산성 혁신을 위한 지식재산정책 실효성에 관한 소고

        봉강호 ( Kang Ho Bong ),지예은 ( Ye-eun Chi ),박재민 ( Jaemin Park ) 한국생산성학회 2019 生産性論集 Vol.33 No.4

        From the view of Schumpeterian hypothesis, the intellectual property policy can be viewed as being driven with the aim of promoting innovation activities through the granting of exclusive rights to innovation. This research identify the effectiveness of intellectual property policies by empirically analyzing the causality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mpany's intellectual property and the decision making of innovative activities. First of all, we find that the experience of information leakage inhibit innovation activities. Given the results of this study's empirical analysis and the claims that cooperation with the outside world is not preferred due to concerns about technology leaks, it is believed that a legal system to protect intellectual property is effective in preventing at least innovative activities from being hampered. Secondly, the possibility of reducing innovation activities does not change depending on the size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holdings, but it has been shown to have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the decision to expand the innovation activities. In the light of the fact that the size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held by an entity represents the scope of the previously secured exclusive rights that trigger innovative activities, these result suggest that the 'IP strategy' that continues to emerge in the field of intellectual property is important. In reality, it is necessary to have the ability to defend against external risks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an IP portfolio because it is difficult to protect all innovative achievements with a single intellectual property right. However such a strategy is perceived as inefficient in terms of productivity and in that it costs the earth, it is difficult for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to plan and implement in the early days of their start-ups due to the limitations of them. In order to raise the quality level of innovation performance and achieve productivity innovation, the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system must be designed systematically so that the innovation activities of companies are not impeded. In particular, policy efforts should be made to help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grow by innovation.

      • 행동적 기업이론에 기반한 중소기업의 열망과 혁신활동의 관계 연구

        봉강호(Kang Ho Bong),박재민(Jaemin Park) 한국창업학회 2019 한국창업학회 Conferences Vol.2019 No.3

        그간 기업의 혁신활동을 결정하는 대표적 요인으로서 기업규모, 경쟁강도, 기업의 열망수준 등에 대해 상당한 이론적 논의가 있었으나, 아직까지 일치된 합의나 종합적 관점에서 실증적으로 분석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존 논의들에 기반하여 변수를 설계하고, 계량경제모형을 활용해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기업규모 및 경쟁강도, 열망수준 등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나, 선행연구들의 주장을 대체로 지지하는 결과를 보였다. 기업규모 및 경쟁강도는 혁신활동 간 비선형적 관계가 관측되지 않았던 반면, 열망수준은 2차항 및 3차항 변수가 유의하게 관측되었다. 열망수준이 낮은 구간에서는 한계효과가 극단의 수준에서만 증가하고 그 외의 수준에서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반대로 열망수준이 높은 구간에서는 초기에 미미한 수준으로 증가하다가 점차 그 증가폭이 확대되었다. 이는 최상위 수준의 성과를 창출한 기업군에서는 혁신노력을 지속하기보다 위험을 회피하는 경향이 있으며, 기업성과가 산업평균에 비해 미흡할수록 혁신노력이 강화되는 것을 의미한다. 물론 후자의 경우 본 연구에서 혁신활동을 연구개발 집약도로 측정하고 있는 만큼 분모에 해당하는 매출액 규모가 매우 작은 데 기인한 결과일 수 있으나, 한편으로는 혁신이 기업의 생존 및 성장을 가능하게 하는 핵심요인이라는 인식이 과거에 비해 상대적으로 확산되었다는 점에서, 국내 중소기업들이 생존을 모색하는 전략으로서 연구개발을 중시하고 있는 것은 아닐지 추측해볼 수도 있다고 하겠다. Although there have been considerable theoretical discussions on the firm size, the intensity of competition, and the level of aspiration of the enterprise as the representative factors in determining the innovative activities of the enterprise, research that has been empirically analyzed from a consensus or a comprehensive perspective is still lacking. In this study, variables were designed based on early studies and empirically analyzed.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size of firm, the intensity of competition, the level of aspiration, etc. were significant, and that they generally agreed the arguments of the preceding studies. While a non-linear relationship between innovation activities was not observed for the firm size and the intensity of the competition, the level of aspiration was significantly observed for both square and cube of the variable. The marginal effect increase only at the extreme level and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at the other level in the case of the lower level of aspiration, whereas at the other end, the increase was gradually expanded after the initial slight increase at the higher level of aspiration level. This means that the group of companies that generated the highest level of performance tends to hedge risk rather than continue innovation efforts, and that the less successful the enterprise performance is compared to the industrial mean, the more the innovation effort is strengthened. Of course, the latter may be the result of a very small amount of revenue equivalent to denominator, as the innovation activity is measured in terms of R&D intensity, but on the other hand, the perception that innovation is a key factor enabling the survival and growth of the enterprise has been relatively widespread over the past may suggest that SMEs in Korea may value R&D as a strategy to seek survival.

      • 다항로짓모형을 활용한 중소기업의 혁신투자 패턴 연구

        봉강호(Kang Ho Bong),김수민(Sumin Kim),박재민(Jaemin Park) 한국기술혁신학회 2019 한국기술혁신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Vol.2019 No.11

        오늘날 기술혁신이 기업뿐만 아니라 산업·국가적 차원에서도 생존을 좌우하고 지속성장을 가능케하는 결정요인이라는 점에는 큰 이견이 없다. 이에 따라 기술혁신 창출을 위한 연구개발 투자의 중요성이 대두되는 것이다. 그러나 민간부문, 즉 전체 기업의 99%를 차지하는 중소기업의 혁신투자가 미흡하다는 문제가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는 반면, 그 중요성에 비해 중소기업의 혁신투자 패턴에 관한 실증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다항로짓모형을 활용하여 중소기업의 혁신투자 의사결정에 관한 영향요인을 분석하고, 혁신 프로세스 관점에서 기존의 이론적 논의를 확장함과 더불어 실무적·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혁신투자 확대 및 축소 의사결정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확인하였으며, 특히 각 요인들이 혁신투자 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이 반드시반비례하는 것은 아니라는 점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이론적으로 기업들이 보이고 있는 혁신활동 행태를 살펴봄에 있어, 프로세스 관점에서 기업의 혁신활동을 보다 복잡한 과정으로 이해하고 접근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아울러 실무적·정책적으로는 중소기업의 혁신투자 의사결정이 비교적 복잡한 과정임을 전제로 이들의 행동을 평가·예측하고, 나아가 실질적으로 혁신활동을 유도할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ere is little doubt that technological innovation today is a determinant that determines survival and enables sustainable growth not only at the industrial and national levels, but also at the industrial and national levels. Consequently, the importance of R&D investment to create technological innovation emerge. However, while the problem of insufficient innovation investment by the private sector in Korea, which accounts for 99 percent of the total, is constantly being raised, empirical research on innovation investment patterns by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is lacking compared to its importance. In this study, we analyze the impact factors on SME"s innovation investment decision making using the multinomial logit model from the perspective of the innovation process. The analysis identified factors that significantly affect the decision to expand and reduce innovative investments, particularly the effects of each factor on innovative investment decisions not necessarily inversely proportional. This in theory suggests that in looking at the behaviour of innovative activities that companies are seeing,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and approach the entity"s innovation activities as a more complex process from a process perspective.

      • 연구조직의 다양성과 혁신의 관계: 분위회귀분석에 의한 실증연구

        봉강호(Kang Ho Bong),김수민(Sumin Kim),박재민(Jaemin Park) 한국기술혁신학회 2020 한국기술혁신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Vol.2020 No.11

        혁신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오늘날 연구조직 구성원의 다양성을 통해 지적 다양성을 확보하는 전략이 강조되고 있다. 그러나 조직 다양성에 관한 이론적 견해는 여전히 합의를 이루지 못하고 있고, 특히 기존의 실증연구들은 조직 다양성의 영향을 평균적으로 추정하여 상이한 혁신수준에서 나타나는 효과 차이를 체계적으로 확인하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분위회귀분석 기법을 활용하여 조직 다양성과 혁신 간 관계를 다양한 혁신수준에 걸쳐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연구조직의 연령 다양성은 모든 분위에서 혁신과 긍정적 관계를 가지며, 특히 연령 다양성의 긍정적 효과가 상대적으로 혁신적인 조직에서 더 크게 발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학력 다양성의 긍정적 효과는 혁신수준이 높은 조직에서만 발현되는 것으로 관측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특정 연령대에 집중되는 연구조직의 구조가 오히려 혁신을 저해할 수 있으며, 다양한 연령대의 연구자로 구성하는 조직구조가 더욱 혁신에 긍정적임을 시사한다. 또한 조직 다양성의 긍정적 효과가 혁신수준에 따라 상이한 만큼, 조직에 대한 체계적인 진단에 기반하여 전략적 의사결정을 할 필요가 있다고 하겠다. As innovation is becoming important, securing intellectual diversity through the workforce diversity of research organizations is being emphasized. However, views on organizational diversity are still not reaching consensus, and existing evidence have limitations in terms of the empirical approach. This study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force diversity and innovation at various levels of innovation using quantile regression. We find that age diversity in research organizations has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innovation, especially the positive effects of age diversity are more pronounced in relatively innovative organizations. This suggests that an organizational structure focused on a particular age group could rather undermine innovation. Organizational structure consisting of researchers of different ages is more positive for innovation. In addition, we find that the positive effects of education diversity is observed only in organizations with high levels of innovation. This suggests that, as the positive effects of organizational diversity vary depending on the level of innovation, strategic decisions need to be made based on systematic diagnosis of the organization.

      • KCI등재

        기계산업의 제품혁신 성과 및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봉강호(Kang Ho Bong),박준영(June Young Park),박재민(Jaemin Park) 한국산학기술학회 2018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9 No.9

        Pavitt(1984)과 Malerbar(2002)의 지적과 같이 혁신은 산업의 특성에 따라 다른 면모를 갖는다. 이 같은 관점에서 기계산업의 혁신을 다룬 기존 연구들은 주로 전체 제조업과 비교한 산업간 차이를 규명하는 데 초점을 두었다. 기계산업과 같은 기술·숙련집약적 산업에서의 혁신은 특히 다른 산업의 혁신과 상이한 특성과 메커니즘을 가질 것으로 예상되는 반면, 논의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계산업의 제품혁신이 어떠한 요인들에 의해 결정되는 지를 다룸에 있어 제품혁신의 성과를 양적 측면과 질적 측면으로 구분해 접근하였고, 특히 Heckman 2단계 모형과 허들음이항 모형을 적용해 기업의 혁신활동에 수반되는 단계적 선택과정을 명시적으로 분석에 반영하였다. 분석 결과, 기계산업의 제품혁신에 있어 제품의 품질 및 성능향상 및 특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서로 상이하였으며, 문지방효과와 혁신의 강도 역시 구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결과적으로 기계산업은 연구개발 역량을 일정 수준 이상 축적하고 외부의 혁신을 효과적으로 조직 내 체화하고, 조직 구성원들에 대한 동기부여가 성과 향상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고 하겠다. As noted by Pavitt (1984) and Malerbar (2002), previous studies have focused on identifying differences in industry characteristics between the machinery industry and other manufacturing industries. This study considered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spects of performance of product innovation in analyzing what factors determine those outcomes. In particular, this study examined stepwise selection processes embedded in innovation activities by applying a hurdle negative binomial model as well as the Heckman two-step selection model. Results show that factors affecting performance improvement and patents differ, and the threshold effect and the intensity effect of innovation were also distinguished. These results imply that the R&D capability should be enhanced and external innovation is required to be effectively embodied in the organization. Furthermore, motivating employees plays a pivotal role in this technology and skill-intensive sector.

      • KCI등재

        기술창업기업의 성장 허들 및 외부 투자자금의 영향 : 실험실창업기업을 중심으로

        권지훈(Jihun Kwon),봉강호(Kang Ho Bong),박재민(Jaemin Park) 한국기술혁신학회 2020 기술혁신학회지 Vol.23 No.3

        최근 정부에서는 대학•출연(연)이 연구논문 또는 특허형태로 보유하고 있는 신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창업을 ‘실험실창업’으로 명명하고 확산을 도모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최초로 실험실창업기업에 대한 조사자료를 활용하여 이들 기업의 성과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먼저 창업자가 산업체 경력을 보유한 기업의 성과가 상대적으로 양호하였으며, 이는 창업자가 실험실창업기업의 사업모델이 지향하는 산업과 필요한 기술에 대한 이해도가 사전에 준비되어 있어야 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둘째, 과거의 성과는 당해년도 시점의 성과 발생 및 성과의 수준에 공히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반면, 당해년의 연구개발비 및 투자유치규모의 경우에는 성과의 수준에 대해서만 유의하였다. 특히, 투자유치규모는 역 U자의 관계로 영향을 주는 것으로 관측되었다. 즉, 실험실창업기업의 성장을 위해 초기단계에는 일정규모의 자금지원이 필요함을 보여줌과 동시에 일정한 성장단계 이후에는 추가적인 자금지원만으로 지속성장을 담보할 수 없음도 나타내고 있다. 이는 기업의 지속성장을 위해서는 성장단계에 맞추어 단계별로 취약분야에 대한 맞춤형 지원방안이 고려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explores the critical factors that drive the financial performance of Lab-based start-up companies. First, we found that the founder’s expertise in the industrial field was highly related with the financial performance. It suggests that the deep insight and discerning knowledge as well are the prerequisite for the start-up’s success. Second, while past achievements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level of performance and performance at the time of the year, only the level of performance in the case of R&D expenditures and the scale of investment attraction in the year was significant. In particular, investment attraction was observed to affect the relationship of reverse U-shape, which implies that a certain amount of funding was necessary in the early stages for the growth of Lab-based start-ups, and that additional funding after a certain stage of growth could not guarantee sustainable growth only. Our findings suggest that the Korean government need to consider the bespoke policy mix such as ‘stage-by-stage’ approach for the achievement of the sustainable growth in the start-up market.

      • KCI등재

        국가기술자격제도의 혁신이 기업의 고용결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연구

        장석근(Seok-Keun Jang),봉강호(Kang Ho Bong),박재민(Jaemin Park) 한국산학기술학회 2018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9 No.11

        기존 검정형 자격제도가 산업의 숙련수요를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여 노동시장에서 효용성이 낮게 나타나고 있다는 우려가 제기됨에 따라 최근 검정형 자격을 보완·차별화한 혁신형 국가기술자격제도로써 과정평가형 자격제도가 시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과정평가형 자격취득자를 채용한 기업들을 대상으로 한 조사자료를 분석하여 국가기술자격제도의 혁신이 기업의 고용결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기업의 숙련수요 반영정도는 전체 고용결정에 있어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과거 기술부족으로 인한 손실발생 경험이 있는 경우 지속고용 및 고용확대를 결정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즉, 기업이 우수한 인력을 고용하고자 하는 것은 모든 기업의 공통적인 희망사항임에도 그간 중소기업들은 우수한 인력을 선별하는 수단이 부족했을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결과적으로 자격제도의 기업숙련수요 반영정도가 높아질수록 자격 취득자의 지속고용 및 고용확대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고, 국가기술자격제도를 산업체의 구체적인 기술숙련 수요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설계해야 할 필요성을 제시한다고 하겠다. The existing test-based qualification system does not sufficiently reflect the demand for skills in industries and there exist concerns regarding its efficacy. In response, an innovative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 system, which uses a course-based qualification system, has been introduced to supplement the test-type qualification system. This study investigates the impact of the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 system on companies" decisions concerning employment by analyzing survey data from companies that employed persons who obtained course-based qualifications. Analysis results found the degree of company demand for skills had a positive impact on overall employment decisions. Especially, it was highly likely for those companies that experienced loss due to the lack of technology in the past to decide continued employment and expansion of employment. This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design the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 system in response to the demand for technological skills of each industry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