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언어활동의 사회문화적 고찰- 간판 언어와 광고 언어를 중심으로

        변정민 한국국어교육학회 2006 새국어교육 Vol.0 No.72

        이 연구는 간판 언어와 광고 언어에 나타나는 언어 유형을 분석함으로써 문화적 특성과 인간의 가치관이 어떻게 언어에 투영되어 있는가를 살펴보는 데 중점을 두었다. 언어란 문화 자체의 한 요소이고 일체의 문화적 활동의 기본이 된다. 언어와 문화는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 관계로 언어를 통해 그 사회의 문화를 알 수 있으며 또한 그 사회의 문화는 언어에 반영이 되기도 한다. 특히 간판 언어와 광고 언어는 한국 사회의 특징을 보여주면서 사람들과 사회를 이어주는 친근한 언어 자료로서 일반 대중의 언어생활을 파악하는 데 있어서 정확한 언어 연구의 대상이 된다. 이 연구에서는 간판 언어와 광고 언어에 나타나는 언어 유형을 분석하면서 그 언어활동 속에 사회의 문화적 특성과 구성원들의 관습적 생활양식이 투영되어 있음을 확인하는 것이다. 간판에 나타난 언어 자료들은 언중들로 하여금 참여적이고 상황 의존적으로 만드는 특성을 지니므로 쌍방향적으로 충분한 의사소통의 역할을 한다. 간판은 우리 사회의 삶의 방식을 현저하게 드러내 주는 것으로서, 민감하게 사회의 변화를 반영하고 있으며 언중들의 사고방식을 투영하고 있다. 광고 언어 역시 실질적인 사회문화적 표현의 한 형태로서 언중들이 사용하고 있는 언어 현실을 반영한다. 광고의 다양한 언어 표현을 살펴보면 그 의미 구성과 해석의 과정 속에 사회문화적 상황이 연결되어 있으며 그 속에서 송신자와 수신자는 협동적 체계를 이룬다. 이처럼 실제 언어활동에서 드러나는 언어 모습에는 그 사회의 문화가 반영되어 있다. 효과적인 언어활동과 원활한 사회생활을 위해서는 사회 구성원들이 공유하고 있는 의미를 적절히 표현할 수 있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bserve the phenomena of the language expression in light of reflecting a nation’s culture, focusing on the Outdoor Advertisement and Advertising Languages. Language is not only the central element of culture itself but also the foundation of entire cultural activity. There is an important mutual relationship between language and culture and they influence each other. Especially, Outdoor Advertisement Language and Advertising Languages represent unique characteristics of Korean society and friendly language indexes which bridge between the society and people. We have learned that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and the people’s life style in the society were smeared into the language activity by observing the typical lingual types found in the Outdoor Advertisement Language and Advertising Languages. The Outdoor Advertisement Languages play the important bidirectional role in making sufficient communication, which people can participate into as well as depend on the social environment. The language also dramatically reveals the style of social life. Thus, it reflects the changes in the society and also illustrates people’s viewpoint. The Advertising Language is also utilized in the society as a significant type of cultural and social expression currently. The process of understanding the meaning in variety of expression of Advertising Language can be keenly connected to the social and cultural circumstances, and is the cooperative system between the senders and receivers. Therefore, these kinds of language shape mirrors the social culture and make people use the language smoothly through the mutual meaning.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청중을 고려한 발표자의 언어적·비언어적 표현 연구

        변정민 한국국어교육학회 2009 새국어교육 Vol.0 No.8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rvey the effective speech according to the audience reaction for university student. For this purpose, we analysed that freshmen express for 3 minute. They define their speech subject and apply the question for the audience. It is most important that the speaker consider the audience. The aim of university speech is here. Especially, this study survey three presentation attitude which is needed to university student.: self-confidence, earnestness, stabilization. The self-confidence is based on the presenter but the earnest is needed to the presenter for the audience into the interaction communication. Also, it is not effective presentation that the presenter have too self-confidence. The earnest is that the presenter prepare his presentation completely.: pronunciation, accent, tempo, eye contact, gesture etc. The stabilization have a meaning when the presenter prepare to agree with content and expression of the presentation. Therefore the earnestness is most important attitude for the effective presentation. 이 논문은 대학생들의 3분 스피치에서 얻은 자료를 바탕으로 효과적인 발표를 위한 청중 고려의 요인으로서 언어적 표현과 비언어적 표현으로 나누어 살피었다. 언어적 측면에서는 주제 선정과 질문법을, 비언어적 측면에서는 자신감, 성실성, 안정감을 중심으로 다루었다. 대학생들은 주제 선정에 있어서 동료 학생들에게 유익한 정보 전달을 지향하였고 내용 전달에 있어서도 주제에 대한 청중의 참여를 유도하는 질문법을 선택하여 효과적인 발표를 전개하였다. 비언어적 측면에서 자신감은 화자 지향적인 특성을 지니게 되어 지나칠 때는 청중을 억압하는 듯하여 거부감을 갖게 한다. 성실성은 대학생 발표에서 가장 비중 있는 태도로서 준비성에 바탕을 둔다고 하겠다. 안정감은 준비를 갖춘 내용을 상황에 맞게 차분하게 전달하려는 자세이다. 이 논문에서는 비언어적 표현에서 두드러지는 이 세 가지 요소들 중 성실성을 기본 바탕에 두며 가장 비중 있게 놓았다. 그리고 안정감과 자신감에 비중을 두어 청중 고려의 태도로서 분석하였다.

      • KCI등재

        관형격 구성의 특성과 유형에 관한 연구

        변정민 한국국어교육학회 2008 새국어교육 Vol.0 No.79

        This paper investigated the types and properties of genitive constructions according to the existence of '-ui'. In genitive constructions, 'noun' is the representative constituent as a former one. Usually noun phrase or even clause can be the constituent as a former one. In the case of later constituent, it could be the expanded noun phrase as well as noun. The types of genitive constructions a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existence of '-ui'. When the appearance of 'ui' is arbitrary, two nouns has the meaning of 'possessor-possession', 'whole-part', 'kinship', 'object-predicate'. When the appearance of 'ui' is obligatory, we can divide into two: morphological-syntactic and semantic. In the morphological-syntactic analysis, the former noun could be realized having the nominalized form '-um', the combination of cases, sentence and subject argument. Also expanded construction of later noun, and quantification expression. In the semantic analysis, genitive constructions has the meaning of representation, idiom or figurativeness. 이 연구는 ‘의’의 분포를 통해 관형격 구성의 특징과 유형을 살피는 데 목적이 있다. ‘의’의 선행성분으로는 명사가 오는 경우가 전형적인 구조이나 명사구나 문장까지도 올 수 있으며, 후행성분도 확장된 명사구가 올 수 있다. 관형격 구성의 유형은 ‘의’의 실현 유무에 따라 두 가지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첫째, ‘의’의 실현이 수의적인 경우인데, 소유주-피소유물, 전체-부분, 친족 관계, 목적격과 부사격 논항 구조에서였다. 둘째, 의‘가 필수적으로 실현되는 경우는 두 가지 측면에서 다시 살펴보았다. 먼저 형태·통사적 측면에서, ‘-음’ 명사화된 N1, 명사가 후행하는 수량 구문, N2의 확장 구문, 주격 논항 구문, N1이 조사와 결합될 때, 선행성분이 문장일 때, 의미적 측면에서는 대표성, 관용성, 비유성이라는 관점에서 ‘의’가 실현되는 관형격 구성을 설명할 수 있었다.

      • KCI등재

        인과관계 연결어미의 의미 기능 - ‘-어서’와 ‘-니까’를 중심으로 -

        변정민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2014 한국언어문화학 Vol.11 No.1

        이 연구는 연결어미 ‘-어서’와 ‘-니까’의 의미 기능을 살피는 데 목적이 있다. 두 연결어미는 선행절이 후행절의 이유가 되는 인과관계를 나타낸다. 이 때 두 어미가 서로 교체되어 나타나기도 하지만 각각 구분되어 분포에 차이를 보이기도 한다. 이 때 ‘-어서’는 선행절과 후행절을 단지 인과성으로 연결하지 만, ‘-니까’는 두 절의 필연적인 상관성을 강조한다. 곧 화자가 결과를 야기한 이유에 대한 논리적 필연 성을 강조하고자 할 때 ‘-니까’를 사용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의미 기능의 차이로 ‘-어서’는 명령문, 청유문, 약속문, 청자의 의향을 묻는 의문문에서 제약이 따른다. 이 문장들은 모두 화자가 청자의 행동에 동기를 부여하거나 행동화하게 하는 성격이 있다. 하 지만 ‘-어서’는 인과성을 객관화하여 나타낼 뿐 화자가 그 논리적 관계의 필연성을 강조하지는 않는다. 이에 따라 청자의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표현에는 제약이 따를 수밖에 없다. 그러나 ‘-니까’는 청자의 행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이유에 대한 필연성을 강조하기 때문에 명령문, 청유문, 약속문, 청자의 의향을 묻는 의문문에서 자연스럽게 쓰인다. 반면 ‘-니까’의 의미가 화자의 이유에 대한 필연성을 강조하기에 사과, 감사, 인사 표현에서는 그 쓰임 이 어색하다. 왜냐하면 ‘-니까’가 쓰인 구문은 이유가 두드러지게 되어 사과나 감사에 대한 따짐이나 원망 등으로 해석될 수 있기 때문이다. ‘-니까’가 문형의 제한 없이 두루 쓰이지만, 실제 사용에서 ‘-어 서’가 높은 빈도를 차지는 것은 선행절과 후행절의 인과성만을 나타내는 의미 기능 때문이다. This study aims to explain the semantic function difference of connective ending ‘-eoseo’ and ‘- nikka’. The connective ending ‘-eoseo’ and ‘-nikka ’ represent causal relation of the first clause and the second clause in the sentence. These endings are changed in reason structure and are used to similar meaning in the sentence. However ‘-eoseo’ and ‘-nikka’ have different meaning. The ‘-eoseo’ represents the speaker‘ thinking that is consisted of universal causal relation. On the other hand ‘-nikka’ emphasizes speaker’ psychological aspects for causal correlativity and has meaning of the logical necessity between the first clause and the second clause. For this reason, ‘ -eoseo’ is used in a declarative sentence, but ‘-nikka’ is used in an imperative sentence, a suggestive sentence, an appointment sentence, a sentence asking a intension. The point of these sentences is that speaker gets motivation to listener’ behavior or goes into action to listener so ‘-nikka’ is possible. Also ‘-nikka’ is not used to the apology expression, gratitude expression because the meaning is construed as argumentation, blame etc. But ‘-eoseo’ is widely used in these sentenc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