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학습 환경에 따른 외국어 불안과 즐거움 비교 분석 -중국인 KFL와 KSL 학습자를 중심으로-

        범금구,조윤경,류승의 부산외국어대학교 다문화연구소 2023 다문화사회와 교육연구 Vol.13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oreign language anxiety(FLA) and enjoyment(FLE) experienced by Chinese Korean learners in the learning process, and to analyze the difference in FLA and FLE of KFL learners and KSL learners according to the learning environment. The analysis results confirmed that the FLA of the two groups was at a moderate level and the FLE was at a high level, and both groups showe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FLA and FLE. According to the comparative analysis, KSL learners had lower FLA and higher FLE than KFL learners. Overall, this study was meaningful in exploring the use of affective factors in the field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the future. 본 연구는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가 학습 과정에서 경험하는 불안과 즐거움을 고찰하여 두 정서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고 학습 환경에 따른 KFL 학습자와 KSL 학습자의 불안과 즐거움의 차이를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중국 대학의 한국어 전공 학습자 105명과 한국 대학 재학 중인 중국인 유학생 53명을 분석한 결과, KFL, KSL 두 집단의 외국어 불안은 중간 수준이고 외국어 즐거움은 높은 것으로 나타나 두 집단의 외국어 불안과 즐거움은 모두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두 집단의 외국어 불안과 외국어 즐거움 모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하위 요인별로 비교한 결과, 두 집단의 부정적 평가에 대한 불안, 개인적 한국어 즐거움과 분위기에 대한 한국어 즐거움은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구체적으로 대조 분석을 하면 KFL 학습자에 비해 KSL 학습자의 외국어 불안은 낮은 것으로 나타난 반면 외국어 즐거움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한국어교육 현장에서 정의적 요인의 활용에 대해 탐색하는 데 의의가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가 온라인 한국어 수업에서 느끼는 불안감 연구

        범금구,조윤경,류승의 한국문화융합학회 2022 문화와 융합 Vol.44 No.12

        This study is intended to analyze the types and extent of anxiety felt by Chinese students in online Korean classes. In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on 48 Chinese students who was currently taking online courses at Busan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According to the results, Chinese students have a relatively high level of anxiety about the COVID-19 situation, and most of them have a low level of anxiety about their ability, learning efficiency, concentration, learning methods, questions, interaction with teachers, and missing class information in online Korean classes. On the other hand, most students showed low levels of anxiety about online teaching methods and online tests. Most of the students prefer the method of taking face-to-face and non-face-to-face classes together. Therefore, not only should we consider improving effective teaching methods for online Korean language classes, but also how students and teachers adapt when returning from online classes to face-to-face classes.

      • KCI등재

        한국어 학습자의 불안 및 즐거움이 의사소통의지에 미치는 영향

        범금구,조윤경 한국문화융합학회 2024 문화와 융합 Vol.46 No.-

        본 연구의 목적은 외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불안, 즐거움, 의사소통의지를 고찰한 후 불안 및 즐거움이의사소통의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부산에 있는 P 대학에 재학 중인 외국인 한국어 학습자 91명을 연구대상으로 삼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외국인 학습자의 즐거움은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불안과 의사소통의지는 중간 수준으로 나타났다. 성별, 학년, 학습 기간, 체류기간 등요인에 따른 의사소통의지는 차이가 없지만 지역에 따른 의사소통의지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 동아시아 지역의 학습자들의 의사소통의지가 제일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다중회귀분석 결과, 외국인 학습자의 불안이 의사소통의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지만 즐거움이 의사소통의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으로 보였다. 본 연구는 외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불안, 즐거움, 의사소통의지를 고찰하였고 불안과 즐거움이 의사소통의지와의 관계를 분석한 것이 정의적 요인이 한국어교육 현장에서의활용에 대해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anxiety and enjoyment on willingness to communicate(WTC) of foreign Korean learners. A survey was conducted with 91 foreign Korean learners enrolled in P University in Busan as the subjects of the study. As the result of the study, the enjoyment of foreign Korean learners was high, and the anxiety and WTC were moderate. There was no difference in WTC according to factors such as gender, grade, learning period, and length of stay, bu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WTC according to the region, and the WTC of learners in East Asia was the lowest. As a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anxiety of foreign learners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WTC, but it was found that enjoyment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WTC. This study examined the anxiety, enjoyment, and WTC of foreign Korean learners, and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anxiety and enjoyment with the willingness to communicate, and it is meaningful that affective factors are used in the field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