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백형배(白亨倍),유동상(劉東相),강인호(姜仁皓) 한국지방정부학회 2011 지방정부연구 Vol.15 No.3
지방공무원 공개경쟁시험은 공정성 및 형평성을 확보하는 데에는 유용한 제도이나 실질적인 공무원의 직무수행과의 연계성, 즉 실용성 면에서는 많은 문제를 안고 있다. 본 논문은 서울특별시와 인천광역시의 7, 9급 지방공무원들을 대상으로 지방공무원들이 실제로 공무원시험에서 출제된 문제들이나 과목들이 업무를 수행하는데 있어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지에 대한 설문조사를 통해 지방공무원들이 인식하는 공개경쟁시험의 실용성을 측정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설문조사결과 지방공무원들은 현재 공개경쟁시험의 과목이나 내용이 직무수행과 연계되어 있지 않고, 영어나 국사 과목의 경우 그 실용성이 떨어지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설문조사결과는 향후 지방공무원 시험의 실용성을 높이기 위해 시험과목의 개편과 시험문제의 종합성, 그리고 면접 및 인턴 등 시험제도의 다양화가 시험의 실용성을 높일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민항기와 군용기가 혼합된 공항 주변지역의 항공기 소음에 대한 거주자 반응
백형배(Baek, Hyung-Bae),박현구(Park, Hyeon-Ku),김선우(Kim, Sun-Woo)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 2009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 논문집 Vol.9 No.1
This study aims to survey the acoustical environment in the region around airport where there are various transportation noises such as aircraft noise, railway noise and traffic noise, and to analyze the subjective response on the noise to the people who live in house or work in office nearby airport. Measurement and subjective response evaluation were carried out at the same time and outdoor noise level was measured all day long to calculate one day results such as average Leq or one day WECPNL etc. The results showed that the military aircraft produces very high level comparing with commercial aircraft, for instance the sound level of commercial outdoor was lower than that of military aircraft indoor. Double and triple window were more effective for controlling the noise than single window, which showed the possibility of sound insulation treatment by installing windows having higher sound insulation performance. Finally the subjective response was resulted that the most annoying noise is from aircraft and counterplan they hope is ‘airport moving out’. Leq 65 ㏈ (A), the criteria value of sound insulation treatment, was corresponding to the subjective response of median annoyance ‘4’ out of 7th scale.
주민참여제고 방안에 관한 실증적 연구: 통합창원시를 중심으로
백형배 ( Hyung Bae Baek ),김필두 ( Pil Doo Kim )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011 지방행정연구 Vol.25 No.1
The expansion of jurisdiction and increasing the resident population due to the advent of consolidated cities, it is concerned that participation of local residents might be difficult. In other words, the activation of citizen participation may be needed as a check system of the enhanced consolidated market to get maximized benefit from integration of local governments. In this research purposes based on the need of various civil-participation institutions that eliminate the alienation of local residents and narrow the gap to psychological distance between administration and residents because of integration between local governments. Fundamentally, emphasizing the citizen participation involved that government indifferent to the needs and preferences of residents. To enable the participation of citizen is important to institutionalized of participation. In this study, to analysis improving the citizen participation in integration city ``Changwon``, using the convenience sampling method in Changwon, Masan and Jinhae. In 2010 may 19 to may 22, citizens of each in Changwon, Masan and Jinhae selected sample of 50(effective sample size, 150) people.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the results of the survey are as follows. According to survey results, it tend to be think that the people of the community more important their personal interests than community spirit and ownership though high response rates for active citizen participation on the preferred system, public administrative information, residents claim, using the civil service utilities. The result of survey for functioned civil-participation systems, participating institutions of local residents appeared in order of civil service, neighborhood meeting, the inhabitants` vote, survey research. Also these are poor that the claim of ordinance revision and dismiss the court, citizen charter system, residents participation budget system, the claim of residents auditing. It is show that higher tendency of negative participation to express passive opinions depending on the conditions rather than active participation. The basic direction for enable civil participation in consolidated ``Changwon`` should be designed to based on four principles-the principle of democratic, the principle of autonomy, the principle of public, the principle of economic.
캐나다 퀘벡주의 협동조합 지원체계 분석 및 정책적 시사점
김복태(金福泰),이계만(李啓滿),백형배(白亨培) 한국정책과학학회 2015 한국정책과학학회보 Vol.19 No.4
본 연구는 캐나다 퀘벡주 사례를 중심으로 협동조합의 지속가능성 제고를 위한 지원체계를 분석하고, 그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며, 이를 통해 우리나라 협동조합을 지원하는 데 필요한 지원체계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이론적 배경에서 협동조합의 정의 및 원칙을 살펴보고, 협동조합의 파급효과를 살펴보았다. 분석 틀과 관련해서는 선행연구를 통하여 다섯 가지 지원체계를 분석 요인으로 선택하였다. 캐나다 퀘벡주는 협동조합 발전정책은 효과적이고 혁신적인 법체제 도입, 협동조합발전을 위한 정부와 협동조합 조직간 협력강화, 협동조합 환경에 알맞은 자본화 및 금융수단의 개발과 개선, 협동조합에게 이용 가능한 다양한 컨설팅서비스 제공, 공공서비스 시장 확대 같은 5가지 영역에서 정부 지원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졌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협동조합의 지속가능성 향상을 위한 지원체계로 법·제도 개선, 협동조합 네트워크 구축, 자금 및 컨설팅 지원체계 마련, 공공서비스 시장 확대 등을 정책적 시사점으로 제시하였다. This study analyzes the support system of cooperatives for the purpose of enhancing the cooperatives’ sustainability. This study specifically focuses on the support system of cooperatives in Quebec.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draw different policy implications that are valuable when providing suggestions for support systems of cooperatives in Korea. The literature review examines the definition and principles of a cooperative as well as a cooperative’s ripple effect. In terms of the analysis model, the researchers chose five different support systems, based on previous researches, as analysis factors. The research findings suggest that the development policy for Quebec’s cooperatives consists of systematic governmental support in five different domains including the introduction of effective and innovative legal system, strengthening of cooperation between the government and cooperatives for the improvement of cooperatives, capitalization and development of financial instruments proper for the cooperatives’ environment, various consulting services available for cooperatives, and finally the public service market expansion. Thus, this study proposes the improvement of laws and systems, establishment of a cooperative network, arrangement for funds and consulting services, and public service market expansion as policy implications for an enhanced support system that can improve the sustainability of cooperatives in Korea.
강인호,백형배,이계만 한국거버넌스학회 2011 한국거버넌스학회보 Vol.18 No.2
Coming to terms with ethics in professional education has been difficult for public administration. Part of the difficulty is with the tenuous relationship the public administration has with the concept of profession. Since the 1990s, the public administration programs in America saw a general increase in the number of ethics courses. However only 44% of the public administration programs in Korea taught these courses. The goal of this article is to discuss the necessity and importance of ethics education in the departments of public administration in Korea. It seems clear that public administration ethics is a relatively new and important issue. Thus, the public administration departments in Korea should accentuate ethics education for social needs in the Korean society. 한국이나 미국의 행정학교육에서 행정윤리과목은 오랫동안 등한시 되었던 분야이었으나 최근 행정학이 타학문과 구별되는 유일한 특징이 공공성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동안 공공성의 중요성을 간과했다는 반성이 일면서, 행정학교육수요의 위기를 해결시키기 위한 대안으로 행정윤리교육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우선 행정윤리교육 내용을 소개하고, 전국 4년제 대학 행정학과에서 행정윤리과목을 어느 정도 개설하고 있는지 현황을 분석하고, 행정윤리교육의 필요성을 논의하고자 한다. 한국에서 행정윤리관련 교과목을 개설하고 있는 학과는 44%로 행정윤리 교육의 저변확대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존의 연구들은 행정학교육수요의 위기를 논하고 있다. 그러면서 행정학의 사회적 수요는 행정학이 얼마나 시대적 적실성에 잘 대응하는가로 판단될 수 있으며, 현재 공공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지식을 제공할 수 있도록 연구와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러한 주장들이 지지를 받고 행정학이 시대변화에 적절히 대응하는 실천적·응용적 학문으로 시대적 소명에 부응하고, 행정학에 대한 사회적 수요를 구체화하기 위해서라도 대학에서의 행정윤리교육은 필수조건이라고 할 수 있다.
포천 원도심 활성화를 위한 방안 연구 - 거버넌스와 지속가능한 발전전략 -
유동상,백형배 한국거버넌스학회 2011 한국거버넌스학회보 Vol.18 No.1
Accompanied with urban development, inner cities have faced various problems such as lost of economic strength and bases, and decrease of urban attractiveness and social․cultural cohesiveness. To address those problems, many scholars have provided theoretical resolutions like low density development, innovative cities, urban revitalization and inner city revitalization. However, these approaches were not the one that reinterpret and re-contextualize inner city problems, rather tended to remove old images from cities hastily. This study tries to provide some strategies for sustainable development rather than temporary and short-term ones. To do that, using the inner city of Pocheon as a case, we analyze the causes of degradation of the inner city in terms of physical, social, economic, and institutional environments of the city. Based upon the analysis, SWOT test has been implemented to identify strengths and weaknesses of the inner city and to provide appropriate strategies for revitalization. The results indicate various strategies may be available to the inner city of Pocheon such as pro-environmental, historical․cultural, public space, public organization centered, differentiated economic base, and finally problem solving governance as an organizational system. In conclusion, when cities use differentiated strategies depending on cities' physical, social, economic, and institutional characteristics, cities can be revitalized sustainably. 도시의 발전과 더불어 원래 도시의 삶의 중심지였던 원도심은 지역경제의 쇠퇴 및 기반의 상실, 원도심의 노후화로 인한 도심의 매력저하, 그리고 이와 더불어 원도심으로서의 사회·문화적 응집력의 상실 등 수많은 문제점을 낳고 있다. 이러한 원도심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저밀도의 즉흥적 개발, 창조도시, 도시재생, 도심재생 등의 다양한 활성화 전략 등 수많은 연구들이 있어 왔으나 이러한 연구들은 원도심을 해석하고 재맥락화하기 보다는 낡은 흔적들을 없애는데 급급한 경향이 있어왔다. 본 연구에서는 원도심의 단기적, 즉흥적 활성화가 아닌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전략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포천의 원도심을 사례로 하여 원도심 쇠퇴의 원인을 물리적, 사회적, 경제적, 그리고 제도적 환경에 따라 분석하고, 이러한 분석을 토대로 SWOT 분석을 통한 포천시의 문제점과 내․외재적인 강점을 식별하고 이를 충분히 반영할 수 있는 전략을 제시하고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포천 원도심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친 환경적 전략, 역사․문화적 전략, 공공공간의 이용 전략, 공공기관 중심 전략 및 차별화된 경제구조의 구축 등을 제시하고, 이의 추진체계로서 문제 조정기재로서의 거버넌스를 제시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원도심의 활성화는 물리적, 사회적, 경제적, 그리고 제도적인 도시의 특성에 따른 전략을 제시할 때, 지속가능한 원도심의 발전을 기약할 수 있을 것이다.
미국의 전문직업주의가 자치단체 공무원퇴출에 주는 정책시사점
강인호,백형배 한국거버넌스학회 2007 한국거버넌스학회보 Vol.14 No.2
One of the most influential themes in contemporary public administration is the focus on professionalism. Public administration should act as if it were a profession even if there is hardly any chance of becoming one. The term professionalism has many different definitions. The difficulty in defining professionalism is also suggested by many scholars. Because professionalism is essentially a value orientation, rather than a concrete set of traits and behaviors, it is not easily defined or measured. Many literature on this subject use professionalism together with profession and expertise. Local administration requires an understanding of all the social and economical activities taking place within the local area. But the expertise of local public officials does not meet the level of authority that local government have and can not cope with environmental changes. This means that the level of professionalism in Korean local public officials is low.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systematic alternatives that may improve professionalism of Korean local public officials. And this paper suggests alternatives to improve professionalism in Korean local governments in terms of educational training programs. 본 논문은 미국지방정부가 1950년대 이후 본격적으로 추진해왔던 전문직업주의(professionalism)가 한국지방자치단체의 공무원 퇴출제와 관련하여, 한국지방자치단체에 적용시킬 수 있는 정책시사점을 모색하는데 있다. 지식정보화 시대의 지방행정환경의 변화는 지방공무원의 역할변화뿐만 아니라 지방정부의 전문직업주의를 강하게 요청하는 조건이 되고 있다. 그러나 공무원의 전문성을 측정한 실증적 연구에 따르면, 지방공무원의 전문성은 절대적인 측면에서 매우 취약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또한 지방자치 실시이후 지방자치단체의 전문성 제고를 위한 여러 가지 조치들이 있었지만 기대효과가 미흡한 실정이다. 대다수의 학자들은 전문직업주의 조성을 위한 최적의 환경으로 평생교육프로그램(continuing education program)등 교육훈련시스템구축을 권한다. 즉 리더십프로그램운영 등 교육훈련을 통해 공무원을 전문직업인으로 양성해야 한다는 것이다. 미국 주정부의 사례에서 알 수 있듯이 특정이해관계인 중심(cliented-centered)이 아닌 일반국민을 위한(public-centered) 전문직업주의의 교육을 받은 공무원들은 공익과 민주적 가치의 수호자가 될 것이다. 그리고 이들을 통해 ‘작지만 강한 지방자치단체’를 만들 수 있다.
김재영,백형배 한국국정관리학회 2015 현대사회와 행정 Vol.25 No.4
인천광역시가 재정압박을 받기 시작한지 5년 이상 경과하였고, 최근 몇 차례 재정위기의 고비를 넘겼다. 이 글에서는 인천광역시 재정압박의 경과와 현황 및 향후 위기해소 대책을 살펴본 후, 현재 직면하고 있는 재정위기의 원인을 분석한다. 기존 문헌들은 인천시 재정위기의 원인 즉, 경제적 요인, 정치적 요인, 제도적 요인, 그리고 관리적 요인을 병렬적으로 바라보는 경향이 있다. 이 글에서는 앞의 세 가지 요인과 재정관리적 요인을 분리하여, 재정관리 환경과 역량에 따라, 지방정부가 맞게 되는 위기 요인들이 재정위기로 비화할 수도 있고 관리 가능한 수준으로 유지될 수도 있다는 새로운 모델을 제시한다. 인천시 의회 회의록과 재무제표 등 각종 자료를 토대로 통제 기능, 예산의 계획성, 정보의 비대칭성, 공무원의 전문성 등 재정위기의 원인을 분석하고 정책적ㆍ학문적 시사점을 제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