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특수학급 교사의 다중지능이론 수용 준거의 구성 타당화

        백종남,김삼섭 한국특수교육학회 2009 특수교육학연구 Vol.44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construct validity of ACMIS(Adoption Criterion about Multiple Intelligence theory for Special class teacher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213 special class teachers. To accomplish purpose of this study, indicated modification model as using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CFA), and verified modification model. The results were as followings: First, Goodness-of-fit-index was verified(CFI = .915, NNFI = .903, RMSEA = .063). Second, Causality between latent variable and observed variable was confirmed (CR, p < .001). Third, Unidimensionality and reliability was verified(construct reliability > .70, average variance extracted > .50). From this result, We found out 21 items subjected those 4 categories: teacher's preparation; artistic acceptance; school cooperation atmosphere; cooperative acceptance. The implication, limitation and sugges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이 연구는 정정온, 백종남, 김삼섭(2009)이 개발한 특수학급 교사의 다중지능이론 수용 준거(ACMIS)의 구성타당화를 위해 설계되었다. 연구의 참여자는 213명의 특수학급 교사이다. 연구를 달성하기 위해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수정 모델을 제시한 후 검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적합도가 검증되었고(CFI=.915, NNFI=.903, RMSEA=.063), 둘째, 각 잠재변수와 관측변수간 유의한 인과 관계가 확인되었으며(CR: t-value, p < .001), 셋째, 단일차원성과 신뢰도가 검증되었다(개념신뢰도 > .70, 평균분산추출 > .50). 결론적으로, ACMIS의 구성타당도를 검증하였으며, 교사의 준비, 예술적 수용, 학교협력문화, 협조적 수용 등 4요인 21개 문항의 결합 구조를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의 제한점, 제언 등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미래 사회 대학 교원의 교수(teaching)역량 프레임 제안

        백종남,백유진,김세연,최숙영 한국융합학회 2020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11 No.6

        This study explored the theoretical basis of the teaching competency of university professors in the future society represented by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rough literature analysis and the researcher's council. To this end, this study first derived the implications for cultivating of teaching competency of university professors according to the social needs of future social universities. Next, according to the social needs of future social universities, the teaching competency required for university professors was presented. Finally, based on this theoretical argument, the concept of teaching competency of professors in the future society was defined and its sub-elements were presented.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teaching competency frame of professors in the future society was proposed with 8 capabilities in 3 areas including 2 ability to respond to change, 2 ability to promote innovation, and 4 ability to instruct. Through the theoretical basis proposed in this study, it is hoped that the university professors' teaching competency development plan will be established to prepare for the instability of the uncertain future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n addition, it is expected that innovation and change strategies of each university will be established, and class innovation strategies will be established to meet the needs of students.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으로 대표되는 미래 사회 대학 교원의 교수역량에 대한 이론적 근거 탐색을 문헌분석과 연구자 협의를 통해 수행하였다. 미래 사회 변화 및 교수역량과 관련하여 이미 활발한 주장 및 논의들이 진행되어, 본 연구에서는 문헌분석을 통해 선행연구의 결과들을 고찰하고 미래 사회의 변화를 탐색하여 교수역량 프레임을 제시하였다. 먼저, 미래 사회 대학에 대한 사회적 요구가 대학 교원의 교수역량에 주는 함의를 먼저 도출하였다. 다음으로, 미래 사회 대학에 대한 사회적 요구에 따라 대학 교원에게 필요한 교수역량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이론적 논거를 바탕으로 미래 사회 대학 교원의 교수역량의 개념을 정의하고, 그 하위요소를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 미래 사회 대학 교원의 교수역량으로서 변화대응역량 2개 능력, 혁신추진역량 2개 능력, 수업역량 4개 능력 등 3개 영역 8개 능력을 제안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제안한 이론적 근거를 바탕으로 대학 교원의 교수역량 함양 계획을 세워 4차 산업혁명 시대 불확실한 미래가 갖는 불안정성에 대비하고, 각 대학의 혁신과 변화 전략을 수립하며, 학생의 필요와 시대적 요구에 맞는 수업 혁신 전략을 수립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발달장애학생의 평생교육 요구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탐색 및 그 영향력 검증

        백종남 복지대학교 장애인능력개발원 2015 장애인고등교육연구 Vol.1 No.1

        이 연구는 발달장애학생의 평생교육 요구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이 무엇인지 밝혀내고, 그 변인의 영 향력이 어떠한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 연구는 조사연구로서 C지역 정신지체?정서장애?지체장애 특수학교 학부모 207명을 목적표집 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를 산출하기 위해 발달장애학생 평생교육 요구 수준을 종 속변인으로 하고, 발달장애학생의 학생변인과 부모변인을 독립변인으로 하여, 교차분석과 로지스틱 회귀분 석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발달장애학생의 평생교육 요구 수준에 학생 관련 변 인이 영향을 미치고 있는 반면 부모 관련 변인은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학생 관련 변인 중 장애관련 3개, 독립기술 수행관련 10개 등 13개 변인으로 나타났다. 둘째, 첫 번째 연구결과에 의해 나타난 영향 변인을 모두 투입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발달장애학생의 평생교육 요구 수준에 미치는 영향력은 발달장애학생의 장애유형과 식사와 음식 준비 수행 정도만이 유의한 영향력을 나타냈으며, 81.2%의 분류정 확도를 보였다. 이 연구는 발달장애인의 평생교육 요구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이 무엇인지 밝혀내어 향 후 발달장애인의 평생교육 정책을 수립하는 데 참고할 만하다.

      • KCI등재

        특수교사의 기본교육과정 실과 교과용도서 내용구성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외적체제 만족도 요인 탐색 및 경로 검증

        백종남 한국실과교육학회 2018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31 No.4

        This study investigated the factors of the satisfaction with instructional materials which affect the satisfaction with contents in using Basic Curriculum Practical Arts textbook package of special teachers.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verified the validity of the path by setting the path between variables. Data for the study was collected from 148 special teachers who had used Basic Curriculum Practical Arts textbook package for more than one year. The dependent variables of this study were the satisfaction with contents composition of Basic Curriculum Practical Arts textbook package and the independent variable was the satisfaction with instructional materials of Basic Curriculum Practical Arts textbook packag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Based on these results, the path between the satisfaction with instructional material and the satisfaction with contents composition was established and the path model was verified by structural equ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mong the satisfaction with instructional materials of Basic Curriculum Practical Arts textbook package, the satisfaction with textbooks and pictures-diagrams-and-charts affect all the satisfaction with contents composition such as subject’s nature reflection, learner centered contents selection, integrated organization, sequential organization, and evaluation utilization whereas the satisfaction with supplementary material only affects the satisfaction with evaluation utilization. Second, the satisfaction with textbook and the supplementary material of Basic Curriculum Practical Arts textbook package affects the satisfaction with content composition by partially mediating the satisfaction with the pictures-diagrams-and-charts.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discussed the development and dissemination of Basic Curriculum Practical Arts textbook package. Finally,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following studies were also suggested. 이 연구는 특수교사를 대상으로 기본교육과정 실과 교과용도서의 내용구성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외적체제 만족도 요인이 무엇인지 알아보았으며, 이 결과에 따라 교과용도서의 내용구성 만족도와 외적체제 만족도의 변인 간 경로를 설정하여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이 연구는 기본교육과정 실과 교과용도서를 1년 이상 활용한 경험이 있는 148명 특수교사를 대상으로 자료 수집하였다. 이 연구의 종속변인은 기본교육과정 실과 교과용도서의 내용구성 만족도로, 독립변인은 기본교육과정 실과 교과용도서의 외적체제 만족도로 각각 설정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후 외적체제 만족도와 내적구성 만족도 간 경로를 설정하여 구조방정식으로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본교육과정 실과의 교과서, 사진․그림․도표 만족도는 교과 성격 반영, 학습자중심 교육내용 선정, 통합적 조직, 계열적 조직, 평가활용 등의 모든 내용구성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고, 보조자료 만족도는 평가활용 만족도에만 영향을 미친다. 둘째, 기본교육과정 실과 교과용도서의 외적체제 만족도는 내용구성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데, 교과서와 보조자료 만족도는 사진․그림․도표 만족도를 부분 매개하여 내용구성 만족도에 영향을 미친다. 이 연구의 결과에 따라 논의하였으며, 이는 기본교육과정 실과 교과용도서 개발 및 보급과 관련하여 참고할 만하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연구를 제언하였다.

      • KCI등재후보

        심각한 문제행동이 있는 발달장애자녀를 둔 어머니의 불안감을 야기하는 원인에 대한 원인연쇄분석(CCA)

        백종남 한국행동분석학회 2019 행동분석․지원연구 Vol.6 No.3

        이 연구는 심각한 문제행동이 있는 발달장애자녀를 둔 어머니의 불안감을 야기하는 원인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원인연쇄분석(Causal Chain Analysis)을 이용하여 발달장애자녀의 문제행동과 관련하여 어머니의 불안감을 야기하는 원인을 다차원적으로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참여자는 C 지역 특수학교에 재학 중인 발달장애자녀를 둔 3명의 어머니로서, 자료 수집을 위해 비형식적인 대화를 통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으며, 면담을 통해 전사한 자료에서 의미자료를 추출하였다. 추출된 자료들을 비교하면서 범주화하였고 원인연쇄분석을 이용하여 해석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에 따라 어머니의 불안감을 최종 결과로 두고, 이를 야기하는 원인을 다음과 같이 설명할 수 있다. 첫째, 어머니의 불안감을 야기하는 직접원인으로는, 문제행동으로 인한 자녀의 학습기회 상실, 문제행동대처 기술 부족, 의료서비스에 의존, 심신의 고단함 등으로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의 불안감을 야기하는 중간원인으로는, 문제행동의 원인에 대한 혼란과 사회적 고립감이 대표적으로 나타났다. 셋째, 어머니의 불안감을 야기하는 근본원인으로는 문제행동 해결을 위한 학교 시스템의 부재를 들 수 있다. 마지막으로 이 결과에 따라 논의하였으며, 연구의 시사점, 제한점 및 후속 연구를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auses about mothers’ anxiety who have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ith serious problem behaviors. For this study, the cause of mothers’ anxiety related to problem behavior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ere analyzed using Causal Chain Analysis(CCA).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three mother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ho attended a special school in C region. The semantic data was extracted from the data transfered through interview and interpreted by Causal Chai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immediate causes of mothers’ anxiety were ‘the children’s learning opportunities loss due to problem behaviors’, ‘lack of skill in responding to problem behaviors’, ‘dependence on medical services’, and ‘physical and mental difficulties’; Second, the intermediate causes of mothers’ anxiety were ‘social isolation’ and ‘confusion over the cause of problem behavior’ and; Third, the root causes of mothers’ anxiety were ‘the absence of a school system to solve problem behaviors’. Finall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and the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follow-up studies were suggested.

      • KCI등재

        발달장애학생용 다중지능 측정도구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국내 다중지능 측정도구 개발 연구 동향 분석

        백종남,김삼섭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2010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Vol.53 No.4

        This is the fundamental study on development of multiple intelligence assessment scale for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look into development trends of multiple intelligences assessment scales in Korea, and provide implications for development of Multiple Intelligences assessment scale for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Using internet searching, collected 29 research, and discusse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analysis. The highlights of implications are as followings: First, It is necessary to develope observation scale for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Second, It is necessary to be participated by special educator in the process of developing items; Third, It is necessary to use appropriate statistical methods for applying the principles of Multiple Intelligences Theory, confirm an analysis of previous research and items, and verify a validation of scale by using adaptive behavior scale and achievement factors. This Study is meaningful that layed the foundation of development of multiple intelligences assessment scale for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이 연구는 발달장애학생용 다중지능 측정도구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로서, 문헌분석을 통해 국내 다중지능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동향을 살펴보았다. 인터넷 검색을 통해29건의 분석 대상 연구를 수집한 후, 일반 사항, 신뢰도 검증 관련, 타당도 검증 관련 등에대해 분석한 후 논의하고, 발달장애학생용 다중지능 측정도구 개발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그 핵심사항은 다음과 같다: 첫째, 발달장애학생용 다중지능 측정도구는 자가 평정보다는 관찰 평정도구가 필요하다; 둘째, 발달장애학생용 다중지능 측정도구의 신뢰도를 제고하기 위해 문항 개발 과정에 특수교육현장 교육가를 참여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발달장애학생용 다중지능 측정도구의 타당도를 제고하기 위해, 다중지능이론의 핵심 주장을 검증할 적절한 통계방법을 사용하고, 심도깊은 선행연구 분석과 문항의 핵심어 및 서술형태분석을 통해 지능 간 다중상관성 극복을 위한 노력을 하며, 적응행동검사와 성취요소를 이용한 타당도 검증 방법을 적용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는 국내 다중지능 측정도구와 관련한 연구물을 조망하여 발달장애학생용 다중지능 측정도구 개발을 위한 기초적인 문제의식을제기하였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 KCI등재

        발달장애학생의 다중지능 발달 특성

        백종남,김삼섭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2010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Vol.53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multiple intelligences developmental trait of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is study, researchers chose 450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s a participant according to purposal sampling method in 7 districts. The instrument of this study was 'Multiple Intelligence preference inventory for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hich was made through extraction, selection, and modification of items,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ings: First,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had a strength in intra-inter personal, musical, and bodily-kinesthetic intelligence. Students with autism spectrum had a strength in musical and bodily-kinesthetic intelligence. Students with cerebral palsy had a strength in intra-inter personal and musical intelligence; Second,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and autism spectrum had higher logical-mathematical intelligence as compared to students with cerebral palsy.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had higher intra-inter personal, nationalist, musical, and linguistic intelligence as compared to students with autism spectrum and cerebral palsy.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had higher spatial and bodily-kinesthetic intelligence as compared to students with cerebral palsy; Third, male had more higher logical-mathematical intelligence as compared to female, whereas female had more higher musical intelligence as compared to male. Logical-mathematical, spatial, and linguistic intelligence of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ere increased according as one's school grade. Students with severe developmental disabilities had lower intelligences as compared to students with mild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 implication, limitation and sugges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이 연구는 발달장애학생의 다중지능 발달 특성이 어떠한지 알아보기 위하여 설계되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서울 등 7개 지역에서 장애유형에 따라 유층목적표집을 통해 450명을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이 연구의 도구는 문항 추출, 선별, 조정, 요인 탐색의 과정을 통해 제작된 ‘발달장애학생을 위한 다중지능 선호도 검사지’를 이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신지체학생은 자기성찰․대인관계지능, 음악지능과 신체·운동지능에서, 자폐성장애학생은 음악지능과 신체·운동지능에서, 뇌성마비학생은 자기성찰·대인관계지능과 음악지능에서 강점을 보였다. 전체적으로 볼 때, 발달장애학생의 강점지능은 음악지능이이고, 약점지능은 논리·수학지능이다; 둘째, 정신지체학생과 자폐성장애학생은 뇌성마비학생보다 논리·수학지능이 높고, 정신지체학생은 자폐성장애학생과 뇌성마비학생보다 자기성찰·대인관계지능, 자연친화지능, 음악지능, 언어지능이 높으며, 정신지체학생은 뇌성마비학생보다 공간지능, 신체·운동지능이 높다; 셋째, 남학생은 논리․수학지능과 신체·운동지능에서, 여학생은 음악지능에서 각각 강점을 나타내고 있고, 학교과정이 올라감에 따라 논리·수학지능, 공간지능, 언어지능이 발달하였으며, 중증 발달장애학생은 경도 발달장애학생보다 모든 지능이 낮다. 이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논의하였으며, 시사점, 제한점, 제언 등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예비교사에게 요구되는 미래 교사역량 진단도구 개발 및 타당화

        백종남,김수란 한국융합학회 2020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11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validate future teacher competencies diagnosis tools required for pre-service teachers. In this study, the hypothesis model was established by hierarchizing basic competency and job competency in three dimensions such as knowledge, practice, and personality as teachers' competencies required in future society. Based on this hypothesis model, 54 preliminary questions were developed, and competencies diagnosis test was conducted for 237 pre-service teachers in J area, Kore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this study, a total of 53 questions were extracted, including 18 questions with 6 factors in the knowledge dimension, 17 questions with 6 factors in the practice dimension, and 18 questions with 6 factors in the personality dimension. Second, the goodness-of-fit of future teacher competencies diagnosis model required was verified, and convergence and discriminant validity were verifi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were presented. 본 연구는 예비교사에게 요구되는 미래 교사역량 진단도구를 개발하고 타당화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 미래 교사역량으로 지식, 실천, 인성 등 3차원에서 각각 기초역량과 직무역량으로 위계화하여 가설모형을 설정하였다. 본 가설모형을 바탕으로 54개의 예비문항을 개발하였으며, J지역 237명의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역량 진단검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의 결과 미래 교사역량은 지식 차원 6개 요인 18개 문항, 실천 차원 6개 요인 17개 문항, 인성 차원 6개 요인 18개 문항 등 총 53개 문항이 도출되었다. 둘째, 미래 교사역량 진단 모형의 적합성은 비교적 만족할 만한 수준이었고, 집중타당성과 판별타당성이 검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에 따라 논의하였으며,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 및 후속연구 제언을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