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단일기관에서 시행된 30년간의 신생검 결과와 임상상 분석

        배홍진 ( Hong Jin Bae ),문강륜 ( Kang Ryun Moon ),김예진 ( Ye Jin Kim ),최대은 ( Dae Eun Choi ),나기량 ( Ki Ryang Na ),이강욱 ( Kang Wook Lee ),신영태 ( Young Tai Shin ) 대한내과학회 2013 대한내과학회지 Vol.84 No.3

        목적: 경피적 신생검은 사구체질환의 진단과 치료에 있어서 필수적인 검사 방법이다. 그러나 인구와 시기별에 따른 사구체 질환의 변화에 대한 대규모 연구는 많지 않다. 경피적 신생검을 시행받은 환자들에서 임상적 적응증과 조직병리 진단의 시대별 변화를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방법: 1981년부터 2010년까지 충남대학교병원에서 경피적 신생검을 시행받은 15세 이상의 총 3,052명 중 의무기록 검토와 조직진단이 가능했던 2,412명을 대상으로 연령, 성별, 적응증, 신생검 결과 등에 대해서 I기(1981-1990년), II기(1991-2000년), III기(2001-2010년)로 나누어 시기별 변화를 비교 분석하였다. Background/Aims: This study evaluated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of patients who underwent kidney biopsies, and the relative changes in pathological diagnosis, according to time periods over the last 30 years (1981-2010). Methods: This study included 3,051 patients who were older than 15 years and underwent kidney biopsies at Chungnam University Hospital between January 1981 and December 2010. For analysis, the patients were grouped into three time periods: I (1981-1990), II (1991-2000), and III (2001-2010). We reviewed the available medical records of 2,450 patients and analyzed the changes in their clinical characteristics over time. Results: The mean patient age was 35.9 (range 15-91) years and the male-to-female ratio was 1.3:1. The most common indication for a kidney biopsy was an asymptomatic urinary abnormality (64.2%) and the proportion with this indication increased significantly over time (p < 0.001). Primary glomerular diseases comprised 65.4% of all pathological diagnoses, followed by secondary (13.6%) and hereditary (12.5%) glomerular diseases. The proportion of primary glomerular diseases decreased significantly with time (p < 0.001), while the proportions of secondary and hereditary glomerular diseases increased correspondingly (p < 0.001). IgA nephropathy was the most common pathological diagnosis (36.7%) overall. The proportion of IgA nephropathy increased significantly with time (p < 0.001), while minimal change disease and acute post-streptococcal glomerulonephritis decreased significantly (p < 0.001 and p = 0.013, respectively). Conclusions: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the clinical indications and pathological diagnoses in patients who underwent kidney biopsies changed significantly over the last 30 years. (Korean J Med 2013;84:379-388)

      • KCI등재

        투과전자현미경에 의한 고 규소강에서의 규칙상 소멸조건에 대한 연구

        金弘鎭,裵晙洙,盧恩仙,李珍衡,李宅東,李爀模 대한금속재료학회 2002 대한금속·재료학회지 Vol.40 No.10

        The effects of cooling rate, forming method and alloying on the suppression of ordering reaction have been studied in high Si steels. Four kinds of cooling were used : air cooling, oil quenching, water quenching and ice brine quenching. An order-disorder transition diagram was obtained in terms of Si content and cooling rate. It was confirmed that the cooling rate was a more important factor to suppress the ordered phase than annealing conditions. When 0.15 wt% Mn was added to 6.5 wt% Si steel and fabricated by spray casting, the ordering did not take place.

      • KCI등재

        Co / Cu / Co / FeMn 스핀밸브의 자기저항 특성 향상 연구

        홍진(Hong Jin Kim),준수(Jun Soo Bae),노은선(Eun Sun Noh),이택동(Taek Dong Lee),이혁모(Hyuck Mo Lee) 한국자기학회 2002 韓國磁氣學會誌 Vol.12 No.1

        It was observed that exchange bias field was increased with smooth surface and better γ-FeMn formation. Sputtering conditions were varied for the control of the surface roughness and γ-FeMn formation. From the results of Cu deposition as underlayer, it was found that γ-FeMn formation was closely related with the thickness of underlayer. After heat treatment, exchange bias field was increased over three times. This improvement was likely that the crystallites of γ-FeMn were well formed. In Co/Cu/Co/FeMn spin valve structure, magnetoresistance was increased over 1.4 times through the heat treatment. This was due to the disappearance of Co/ Cu intermixed dead layer and removal of defect, and this was examined by AES analysis.

      • 국가R&D사업에서의 연구 성과 사업화 방안에 대한 연구 : 지능형국토정보기술혁신사업의 사례 분석

        상근,홍진,정연재,박승욱,김병국,Bae, Sang-Keun,Hong, Jin-Won,Jung, Yeun-Jae,Park, Seung-Wook,Kim, Byung-Guk 한국공간정보학회 2012 한국공간정보학회지 Vol.20 No.2

        최근의 R&D는 연구 분야에 대한 핵심 알고리즘 및 기술 개발 뿐 아니라 실질적인 성과도출 및 성과를 통한 가치창출을 매우 중요시한다. 이에 따라 현재 다양한 R&D사업에서 연구 성과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해 기술사업화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그 일환으로 비즈니스 모델(Business Model, BM)의 개발 및 적용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국가 주도로 이루어지는 국가R&D사업은 일반 기업에서 주도하는 민간R&D사업과는 다른 특징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기업을 대상으로 개발된 일반적인 비즈니스 모델 방법론을 적용하기에는 어려움이 따른다. 또한 비즈니스 모델의 실제 적용을 위해 개념적으로 작성된 비즈니스 모델을 기술적인 관점으로 체계화하기 위한 기술 아키텍처 분석과정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연구 성과의 활용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술사업화 지원 방안으로서, 국가R&D사업의 특성에 적합한 비즈니스 모델 개발 절차와 기술 아키텍처 분석 방법론을 제시하고, 실제 적용 가능성을 검증하기 위해 국토해양부 주관 대형 국가R&D사업단인 지능형국토정보기술혁신사업단의 비즈니스 모델 개발 과정에 적용해 보았다. Recently, it is very important to create economic value as well as develop core algorithms and technologies in the field of R&D. Various R&D projects make an effort to do the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of their results and, as part of efforts, many studies on business model(BM) are conducted to create economic benefits in using the developed technology. However, it is difficult to use the general business model methodologies, which are usually utilized for companies, to the government's research due to different processes and characteristics between them. And for the practical application of business models, it needs to systematize conceptual business models in technical perspective through technical architecture analysis. In this study, a business model development process and a technical architecture analysis for national R&D project is developed for the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In addition, the process is applied to Korean Land Spatialization Program (KLSP) organized by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to verify the feasibility of its practical application.

      • KCI등재

        국가R&D사업에서의 연구 성과 사업화 방안에 대한 연구 : 지능형국토정보기술혁신사업의 사례 분석

        상근,홍진,정연재,박승욱,김병국 대한공간정보학회 2012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Vol.20 No.2

        Recently, it is very important to create economic value as well as develop core algorithms and technologies in the field of R&D. Various R&D projects make an effort to do the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of their results and, as part of efforts, many studies on business model(BM) are conducted to create economic benefits in using the developed technology. However, it is difficult to use the general business model methodologies, which are usually utilized for companies, to the government's research due to different processes and characteristics between them. And for the practical application of business models, it needs to systematize conceptual business models in technical perspective through technical architecture analysis. In this study, a business model development process and a technical architecture analysis for national R&D project is developed for the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In addition, the process is applied to Korean Land Spatialization Program (KLSP) organized by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to verify the feasibility of its practical application. 최근의 R&D는 연구 분야에 대한 핵심 알고리즘 및 기술 개발 뿐 아니라 실질적인 성과도출 및 성과를 통한 가치창출을 매우 중요시한다. 이에 따라 현재 다양한 R&D사업에서 연구 성과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해 기술사업화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그 일환으로 비즈니스 모델(Business Model, BM)의 개발 및 적용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국가 주도로 이루어지는 국가R&D사업은 일반 기업에서 주도하는 민간R&D사업과는 다른 특징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기업을 대상으로 개발된 일반적인 비즈니스 모델 방법론을 적용하기에는 어려움이 따른다. 또한 비즈니스 모델의 실제 적용을 위해 개념적으로 작성된 비즈니스 모델을 기술적인 관점으로 체계화하기 위한 기술 아키텍처 분석과정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연구 성과의 활용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술사업화 지원 방안으로서, 국가R&D사업의 특성에 적합한 비즈니스 모델 개발 절차와 기술 아키텍처 분석 방법론을 제시하고, 실제 적용 가능성을 검증하기 위해 국토해양부 주관 대형 국가R&D사업단인 지능형국토정보기술혁신사업단의 비즈니스 모델 개발 과정에 적용해 보았다.

      • KCI등재

        DEA 결과와 과제관리자 평가의 비교에 근거한 국가 R&D 프로젝트의 효율성 평가의 문제점 및 방안 탐색

        홍진,박승욱,상근 경성대학교 산업개발연구소 2011 산업혁신연구 Vol.27 No.4

        국가 R&D 사업들이 갈수록 대형화되고 투자액도 증가함에 따라 국가 R&D 관리에서 정확한 R&D 효율성의 평가가 중요해지고 있다. 그러나 기존에 활용되고 있는 전문가에 의한 R&D 효율성 평가 방식은 평가 결과의 객관성과 정확성 측면에서 한계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Data Envelopment Analysis(DEA)에 의한 효율성 분석 결과와 과제관리자에 의한 효율성평가 결과를 비교하여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그 결과 DEA와 과제관리자에 의해 평가된 과제 효율성 순위는 상당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평가 방식 간의 차이를 설명하기 위해 평가에 참여한 과제관리자들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실행하였다. 인터뷰 자료의 분석을 통해 과제관리자와 피 평가자 간의 인간관계, 과제관리자가 평가 대상 과제에 대해 높은 수준의 배경지식을 지닌 경우 발생하는 과시현상, 거꾸로 과제관리자가 평가 대상 과제에 대해 낮은 수준의 배경지식을 지닌 경우 발생하는 중앙화 현상이 과제관리자의 객관적 평가를 어렵게 하는 원인으로 파악되었다. 그리고 R&D 과제 평가 시 이런 경향을 배제하기 위한 해결책으로 평가자들에 대한 효율성 평가 지표의 명확한 제시, 정성적 평가와 정량적 평가 결과의 복합적 활용, 개별 평가자의 평가 경향을 분석할 수 있도록 지원해주는 데이터베이스의 구축 등을 제시하였다. As the scale and investment amount of the national R&D projects have been increased, it becomes important to accurately assess efficiencies of R&D projects. However, the current assessment conducted by experts has imposed problems in terms of objectivity and accuracy. Thus, this study compared evaluation using Data Envelopment Analysis(DEA) to that performed by project managers for the multiple R&D projects, and explored if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m. The comparision revealed that there is a are significant difference s in the rankings of project efficiency between of DEA results and project managers' evaluation. To identify reasons of the difference, we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to the project managers who participated in R&D project evaluation. Analysis of the interview data implied the following reasons can distort project managers' evaluation results: (1) the extent of closeness between project managers and people who perform the projects, project managers' showing-off attitute when they have a great knowledge on the project to evaluate, and project managers' centering tendency in scoring when they do not have sufficient knowledge about the project to evaluate. Fianlly, we proposed to provide clear evaluation criteria to assessors in advance, to utilize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evaluation approaches at the same time, and to develop a database of past assessors so that it can help to identify the best assessor for a specific project.

      • KCI등재
      • KCI등재

        A Case of Ethylene Glycol intoxication with Acute Renal Injury: Successful Recovery by Fomepizole and Renal Replacement Therapy

        송창훈,배홍진,함영록,나기량,이강욱,최대은 전해질고혈압연구회 2017 Electrolytes & Blood Pressure Vol.15 No.2

        Ethylene glycol is a widely used and readily available substance. Ethylene glycol ingestion does not cause direct toxicity; however, its metabolites are highly toxic and can be fatal even in trace amounts. Poisoning is best diagnosed through inquiry, but as an impaired state of consciousness is observed in most cases, poisoning must be suspected when a significantly elevated osmolar gap or high anion gap metabolic acidosis is found in blood tests. Hemodialysis and alcohol dehydrogenase inhibitors such as ethanol and fomepizole are a part of the basic treatment, and timely diagnosis and treatment are crucial because any delays can lead to death. However, there are few reported cases in Korea, and no report on the use of fomepizole. Herein, we report a case of acute renal failure caused by ethylene glycol poisoning that was treated with fomepizole and hemodialysis and present a literature review.

      • 국가연구개발 환경에서의 비즈니스 모델 개발 체계

        박승욱,홍진,상근,김영수 한국벤처창업학회 2009 한국벤처창업학회 학술대회 Vol.2009 No.10

        최근의 연구개발 사업의 관리는 시장 및 고객지향적인 기술의 개발과 사업화를 통한성과 중심적인 연구개발의 촉진에 초점이 맞춰져 있으며, 국가 연구개발 사업에서도 이러한 경향은 강하게 나타나고 있다. 연구개발 성과물의 사업화를 위해서는 시장 수요 중심적인 기술개발 노력, 연구개발 계획 및 추진 과정에서의 기술사업화 방안 수립 노력, 외부 기술 수요자와의 의사소통 노력이 필요하며, 이러한 활동들은 비즈니스 모델의 개발을 통해 보다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기존 연구들은 국가 연구개발 환경에서의 비즈니스 모델 개발을 위한 체계적인 절차를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가 연구개발 환경의 특성과 연구 개발자 및 기술사업화 전문가의 관점을 고루 반영하여 비즈니스 모델을 개발할 수 있는 체계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국가연구개발 사업 성과물에 대한 비즈니스 모델을 개발에 유용한 가이드라인으로 활용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Nowaday, management of research and development(R&D) projects is focused on promotion of performance-centric R&D by market and customer-oriented R&D and commercialization, and this tendency is also appeared in national R&D projects. For the commercialization of R&D outcomes, market demand-centric R&D, establishment of commercialization plan in R&D planning and carrying out phase, and communication with external stakeholders are needed, and these activities can be performed more effectively by developing business model. However, systematical procedure for developing business model in national R&D environment haven't suggested by prior researches. Therefore, we propose a business model development system that is reflect characteristics of national R&D environment and perspectives of technology researchers and commercialization experts. Research result is expected to be usefully applied as a guideline for developing business model in national R&D projec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