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Moving and Gathering through Religion: Transnational Connections among the Korean Diaspora from Latin America

        배진숙 한국외국어대학교 영미연구소 2015 영미연구 Vol.35 No.-

        This article is based on the premise that not all members of the Korean diaspora in the U.S. originated from South Korea, but instead they are in some cases secondary migrants (i.e., remigrants) from various places in Latin America. Given the active religious participation among Korean remigrants from Latin America, this article specifically examines how religion has shaped their series of migration and adjustment processes and how the remigrants have, in turn, formed and used religious institutions and networks. Methodologically, this study utilizes extensive interview data from 102 people of Korean descent from Latin America currently residing in the New York area, as well as other secondary sources. The research findings show that, for some Koreans, religion precipitates not only their initial movement to Latin America, but also their later remigration to the U.S. The impact of religion with respect to Koreans’ migration purposes tends to expand gradually from religious leaders to a wider range of laypersons. Considering Korean migration patterns from Korea to Latin America, religion is a primary influence on the movements of religious leaders and their families; in secondary migrations from Latin America to the U.S., religious networks and institutions have a much greater significance for Korean immigrants in general. This is partly ascribed to Koreans’ active religious participation in immigrant societies in the Americas. Central to professional, social, and religious lives, relationships made through church often represent significant or primary relationships in Latin America. Connections established in Latin American-based churches influence not only the initial migration process, but also the later resettlement of immigrants in the U.S. Furthermore, this study attempts to identify patterns of Koreans’ interracial interactions in the religious arena. In particular, it focuses on how Korean remigrants from Latin America have participated in Korean religious communities’ outreach to Latin America. Drawing upon their immigrant and religious experiences in Latin America, Korean remigrants in the New York area have played important roles by linking the Korean American religious community with other Korean diaspora groups and natives of Latin America.

      • KCI등재

        The role of surgical clips in the evaluation of interfractional uncertainty for treatment of hepatobiliary and pancreatic cancer with postoperative radiotherapy

        배진숙,김동현,김원택,김용호,박달,기용간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17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35 No.1

        Purpose: To evaluate the utility of implanted surgical clips for detecting interfractional errors in the treatment of hepatobiliary and pancreatic cancer with postoperative radiotherapy (PORT). Methods and Materials: Twenty patients had been treated with PORT for locally advanced hepatobiliary or pancreatic cancer, from November 2014 to April 2016. Patients underwent computed tomography simulation and were treated in expiratory breathing phase. During treatment, orthogonal kilovoltage (kV) imaging was taken twice a week, and isocenter shifts were made to match bony anatomy. The difference in position of clips between kV images and digitally reconstructed radiographs was determined. Clips were consist of 3 proximal clips (clip_p, ≤2 cm) and 3 distal clips (clip_d, >2 cm), which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distance from treatment center. The interfractional displacements of clips were measured in the superior-inferior (SI), anterior-posterior (AP), and right-left (RL) directions. Results: The translocation of clip was well correlated with diaphragm movement in 90.4% (190/210) of all images. The clip position errors greater than 5 mm were observed in 26.0% in SI, 1.8% in AP, and 5.4% in RL directions, respectively. Moreover, the clip position errors greater than 10 mm were observed in 1.9% in SI, 0.2% in AP, and 0.2% in RL directions, despite respiratory control. Conclusion: Quantitative analysis of surgical clip displacement reflect respiratory motion, setup errors and postoperative change of intraabdominal organ position. Furthermore, position of clips is distinguished easily in verification images. The identification of the surgical clip position may lead to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accuracy of upper abdominal radiation therapy.

      • KCI등재

        파독광부의 미국으로의 재이주와 직업변천 추이에 관한 연구

        배진숙 중앙대학교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2019 다문화콘텐츠연구 Vol.0 No.32

        This research considers that a migratory movement can be completed once and only between two countries; however, it can often become re-migration or circular migration. This study analyzed the migration motives, migration routes, and occupational changes of Koreans dispatched as coal miners to Germany in the 1960s and 1970s, who later relocated to the U.S. This study took a life history approach to delve into the phenomenon of the global migration of Korean ex-miners as it occurred over extended periods of time. This article sheds light on the independent yet interrelated factors impacting these Koreans’ migration to Germany and the U.S. Methodologically, this study utilized interview data collected from 32 Korean-Americans, who had worked as miners in Germany. According to the research findings, the interviewees were influenced by migration laws and policies and economic opportunities in South Korea, Germany, and the U.S. all together and in a complex way. Moreover, transnational migration networks forged among Korean ex-miners and ex-nurses shaped their migration and resettlement experiences in the U.S. Since Korean ex-miners arrived in the U.S. from the mid-1960s, before the establishment of sizable Koreatowns or ethnic businesses, they were incorporated into U.S. labor markets as blue-collar workers at first, as was the case in Germany. After accumulating seed money, they began operating their small businesses. Korean ex-miners were among the first Korean migrants to found Korean restaurants and grocery stores, which attracted other Korean businesses to the neighboring areas. They also began engaging in wig and garment businesses from their early years in the U.S.; both were backbones of the Korean community’s economy in Chicago and Los Angeles, respectively. Based on this study’s findings, other groups of Korean migrants can be examined under the theme of the ‘Korean diaspora and the phenomenon of re-migration.’ 본 논문에서는 이주가 양 국가 간에 일회성으로 발생하기도 하지만 때로는 1차 이주가 재이주나 순환이주의 형태로 발전하기도 한다는 점을 고려한다. 연구대상은 1960~1970년대 광부 신분으로 독일로 노동이주를 했다가 차후에 미국으로 재이주(re-migration)를 한 재외 한인들이며 이들의 이주동기, 이주경로와 직업변화의 추이를 분석하였다. 파독광부의 글로벌 이주가 전 지구적 맥락에서 비교적 장기간에 걸쳐 발생하였다는 점에서 생애사적 접근을 취한다. 또한 독일과 미국으로의 한인이주와 유럽과 북미에서의 한인이주사회의 형성이 독립적인 요인뿐 아니라 각각 연계되어 맞닿고 교차하며 발전되는 측면에 관해 조명한다. 주요 연구방법으로는 시카고와 로스앤젤레스 지역을 중심으로 파독광부 출신 재미한인 32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재이주를 결심하고 실행하는 과정에는 한국, 독일, 미국에서의 이민법과 이주정책, 그리고 경제적 기회가 복합적으로 영향을 주었다. 또한 광부상호간 혹은 광부와 간호사간의 결합으로 인한 이주네트워크의 형성과 활성화가 재이주 과정에 많은 영향을 끼쳤다. 본격적인 코리아타운 형성 전인 1960년대 중반부터 미국에 도착한 광부들의 가장 보편적인 직업변화의 패턴으로는 독일에서와 같이 주류경제의 노동층으로 경제적 적응을 시작하여 창업자본을 축적하여서 자영업을 시작하는 것이었다. 민족정체성과 생활방식의 계승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민족식품점과 음식점을 개점하여 코리아타운 건설의 초석이 되기도 하였고 다른 한인사업체의 유입을 가속화시켰다. 또한 시카고와 LA 두 지역의 한인경제의 근간이 되는 가발업과 봉제업 등의 주요 사업을 가장 먼저 시작한 한인이민자 부류였다. 본 연구결과를 활용하여 다른 재외한인 집단으로 연구범위를 확장하여 ‘코리안 디아스포라와 재이주’에 관한 후속 연구로 파생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전직 파독광부의 재미한인사회 형성과 발전 기여에 관한 연구: 시카고와 로스앤젤레스 사례를 중심으로

        배진숙 성결대학교 다문화평화연구소 2019 다문화와 평화 Vol.13 No.3

        Focusing on Korean immigrants who were initially dispatched to Germany as coal mining workers in the 1960s and 1970s and later relocated to the U.S., this article explores their socioeconomic adaptation processes as well as their contributions to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Korean communities in the U.S. The study also examines the motives behind the establishment and activities of the ex-miners’ association, Dongwoo Association, in Chicago and Los Angeles. Methodologically, this research utilized empirical data from in-depth interviews with 32 Korean ex-miners currently residing in the Chicago and Los Angeles areas. The former miners made a significant contributions to Korean ethnic economy and community politics based on their entrepreneurial successes and through Dongwoo Associations. A few of the first Korean grocery stores and restaurants in these two American cities were founded by ex-miners and paved the way for the building Koreatowns, attracting other Korean businesses to neighboring areas. Moreover, beyond the geographical boundaries of Koreatowns, Korean ex-miners were involved in various kinds of businesses catering to multiethnic customers. Unique characteristics of urban spaces in these two cities have somewhat differently influenced ex-miners’ economic adaptation processes and the frequencies and continuations of their social gatherings. Ex-miners have been actively involved in Korean community activities and organizations as founders or leaders and have served important roles triggering chain migrations from South Korea. By shedding light on understudied experiences of ex-miners’ global migration,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better understanding of migration and adaptation processes of these members of the Korean diaspora. 본 논문에서는 한국에서 독일로 1차 이주를 떠났다가 차후 미국으로 재이주한 전직 파독광부들의 초국적 이동에 주목하여 이들의 사회경제적 정착과정과 재미한인공동체 형성과 발전에 있어서의 역할과 기여에 관해서 고찰하였다. 이전 경유지인 독일에서의 노동경험과 연결망을 바탕으로 조직된 파독광부 모임인 ‘동우회’의 결성과 활동에 관해서도 살펴보았다. 연구방법으로는 시카고와 로스앤젤레스를 중심으로 32명의 파독광부출신 재미한인들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미국으로 재이주한 후에 파독광부들은 1970년대 접어들어서는 개인사업을 통해 축적한 경제력과 동우회의 조직력을 바탕으로 한인커뮤니티를 주도적으로 이끌어 나갔다. 이민 초기 여러 한인단체를 새로이 조직하거나 핵심구성원으로서 한인커뮤니티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였다. 파독광부들에 의해 세워진 한인식품점과 같은 초기 사업체는 코리아타운 상권 형성의 초석이 되었으며 지리적뿐 아니라 사회적인 거점 역할을 하였고 인접지역으로 다른 한인업체의 유입을 가속화시켰다. 이들의 경제적 활동범위는 한인타운에만 국한되지 않고 소수민족, 다민족을 대상으로 다양한 업종의 사업에도 종사하였다. 또한 두 도시에서의 공간적 특징이 파독광부의 경제적 적응과 사업 규모 그리고 동우회 모임의 지속에 영향을 미쳤다. 파독광부들이 직접적으로 재미한인사회에 기여한 바도 크지만 후속이민의 기반을 마련함으로써 한인공동체의 형성과 확장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였다. 본 논문은 파독광부의 글로벌 이주사의 재조명을 통해 재외한인 이주와 정착에 대한 다각적이고 심층적인 이해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후보

        초등 사회과 의사결정 학습 연구의 변천과 의사결정모형의 비교

        배진숙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008 사회과교육연구 Vol.15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rasp the essence of decision-making in social studies through the decision-making significance, a change in decision-making research of elementary social studies, and the comparison by type in decision-making models. Given seeing that the objective of social studies is to promote citizenship, the decision-making ability as the quality of citizenship has been thought to be most importantly. Decision-making implies an option among alternative plans, which have diverse properties. And, the emphasis on fostering decision-making ability as the goal of social studies has a significance in a sense that can connect the social awareness and the citizenship most effectively. The decision-making in elementary social studies has been changed little by little even a focus of research as the period is changed. Regarding the decision-making of elementary social studies in the 1970s, as a role of social studies is changed, the decision-making in the objective of social studies came to possess the important portion. And, entering the 1980s, as the decision-making is one part of solution or a thought, the research materials on the detailed process, function and model in decision-making came to appear much. Entering the 1990s, the decision-making came to stress the decision-making as part of educating citizenship. And, in the 2000s, it is being emphasized the process of deliberation, which passed through enough discussion and debate in the decision-making, and students' direct participation in decision-making. Next, the researcher allowed the decision-making model in social studies to be types in problem-centered decision-making model, balanced decision-making model, and reflective decision-making model, and then tried to compare these things. It tried to examine Harvard model by Oliver & Shaver(1966) who stands for the problem-centered decision-making model, the decision-making model by Banks(1973) who stands for the balanced decision-making model, and the decision-making model by Engle & Ochoa(1988) who stands for the reflective decision-making model. When the whole examination is performed on the decision-making process and the decision-making model in social studies based on these findings, the understanding may be helped about the essence of decision-making in social studies and about application of the decision-making learning to the field. 본 연구의 목적은 의사결정의 의미와 초등 사회과 의사결정 연구의 변천 및 사회과 의사결정모형의 유형별 비교를 통하여 사회과 의사결정의 본질을 파악하는 데 있다.사회과교육의 목적을 시민성 함양이라고 볼 때 시민성의 자질로서 의사결정능력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해 오고 있다. 의사결정이란 다양한 속성을 지닌 대안들 사이에서 선택을 의미하며 사회과의 목표로서 의사결정능력 육성의 중시는 사회인식과 시민적 자질을 가장 유효하게 연결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초등 사회과에서 의사결정은 시대가 변함에 따라 연구의 초점도 약간씩 변하여 왔다. 1970년대에 초등 사회과에서 의사결정은 사회과 역할이 변화함에 따라 사회과의 목표에서 의사결정이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게 되었으며 1980년대 들어오면서 의사결정은 문제해결이나 사고의 일부분으로 의사결정의 세부적인 과정, 기능, 모형에 관한 연구물들이 많이 등장하게 되었다. 1990년대 이르러 의사결정은 시민성 교육의 일환으로 의사결정을 강조하게 되었고 2000년대에는 의사결정에서 충분한 토의와 토론을 거친 숙고의 과정과 학생들의 의사결정에 직접적인 참여를 강조하고 있다.다음으로 사회과 의사결정모형을 연구자는 문제 중심적 의사결정모형, 균형적 의사결정모형, 반성적 의사결정모형으로 유형화하고 이들을 비교하여 보았다. 문제 중심적 의사결정모형을 대표하는 Oliver & Shaver(1966)의 하버드 모형, 균형적 의사결정모형을 대표하는 Banks(1973)의 의사결정 모형, 반성적 의사결정모형을 대표하는 Engle & Ochoa(1988)의 의사결정 모형을 검토하여 보았다.이러한 연구의 결과를 밑바탕으로 하여 사회과 의사결정과정, 의사결정모형에 대한 전반적인 검토가 이루어진다면 사회과 의사결정의 본질과 의사결정학습의 현장 적용에 대한 이해를 도울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모빌리티 극대화 전략으로서의 재이주: 파독광산근로자의 캐나다 진출과 한인사회에의 기여

        배진숙 성결대학교 다문화평화연구소 2021 다문화와 평화 Vol.15 No.1

        This article focuses on South Korean migrants who were initially dispatched to Germany as temporary coal mine workers in the 1960s and 1970s but who relocated to Canada after their contracts had expired. The research analyzes their (re)migration motivations, routes, and socioeconomic adaptation processes and examines their contributions to the creation and development of the Korean Canadian community. In early and mid-February, 2020, interview data were collected from 21 Korean ex-miners residing in Toronto. The findings show that Korean ex-miners re-migrated from Germany to Canada due to the economic uncertainty they would have encountered if they had returned to Korea, the difficulty of extending their residency in Germany, and a receptive Canadian immigration policy at the time. The transnational migration networks forged among mobile Korean miners shaped their migration and resettlement experiences in Canada. After their arrival in Canada, most Korean ex-miners were incorporated into the Canadian labor market as blue-collar workers; however, eventually, most became owners of small businesses, with a disproportionate number becoming owners or managers of convenience stores. Korean ex-miners invited their families from Korea to join them, and they founded or participated in various Korean organizations. Thus, they made critical contributions to the formation and growth of the Korean Canadian community. 본 논문에서는 1960-1970년대 한국에서 독일로 1차 이주를 떠났다가 캐나다로 2차 이주를 한 파독광산근로자들의 초국적 이동에 주목하여 이들의 이주 동기, 이주 경로, 사회경제적 정착과정과 재캐나다한인공동체 형성과 발전에 있어서의 역할과 기여에 관해서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방법으로는 2020년 2월 초중순 경에 캐나다 토론토 현지조사를 통해서 21명의 파독광산근로자 출신 한인들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면담자들은 귀국 후의 경제적 불투명, 독일에서의 장기체류의 어려움, 그리고 당시 수용적이었던 캐나다 이민 정책 등의 사유로 캐나다로 건너갔고 재이주와 정착에 있어서 파독인력 간에 형성된 초국적 이주네트워크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캐나다 이주 초기에는 주로 직장생활을 통해 창업자본을 축적했고 이를 통해 자영업(특히 편의점)을 시작하였다. 한국에서의 가족 초청과 다양한 한인단체 활동을 통해서 한인사회에 적극적으로 관여하였고 많은 기여를 하였다.

      • KCI등재

        디아스포라, 프랑스 한인 커뮤니티, 한식 문화의 모빌리티 : 파리 최초 한식당 ‘오아시스’의 창업과 경영활동을 중심으로

        배진숙 한국정치사회연구소 2024 한국과 국제사회 Vol.8 No.1

        본 논문에서는 1973년 프랑스 파리에 최초로 한식당을 창업하여 30여 년간 운영한 한인 이민사업가를 대상으로 유럽에서의 요식업 종사 경험을 구술생애사적 관점에서 고찰한다. 프랑스 한인사회의 역사적 변천 과정의 맥락에서 구술자의 한식당 창업 동기와 사업에 도움이 되었던 요인, 한식당 경영의 의미에 대해서 조사한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구술자는 유럽에서의 연속적 이주 과정을 통해서 축적한 다양한 사회적 네트워크를 주요한 민족자원의 하나로 활용하였다. 또한 창업 당시 프랑스 한인은 200명 남짓의 소규모였고 현지인들 사이에 한국, 한국 음식에 대한 인지도가 매우 낮았기 때문에, 입지 선정에 있어서 주프랑스 한국대사관과의 근접성이 중요하게 고려되었다. 한식당 경영을 통해서 프랑스 한인과 한국으로부터의 방문객들이 모국의 음식을 향유하고 한국적 정서를 접할 수 있게 하였고, 또한 프랑스 현지인들에게는 한국 음식문화와 한인 예술을 알리는데 기여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프랑스 한인 이주사, 한인 디아스포라의 자영업 창업, 해외 한식문화의 전파와 의의에 대한 이해 제고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utilizes an oral life history perspective to explore the experiences in the restaurant business in Europe of Mr. Kwang-geun Park, a Korean immigrant entrepreneur who opened the first Korean restaurant in Paris, France, in 1973 and ran it for over 30 years. This study investigates a Korean immigrant’s motivation for starting a Korean restaurant, helpful factors in operating the restaurant, and the meaning of Korean restaurant management. Mr. Park utilized various social networks accumulated through continuous migration in Europe as a major ethnic resource. Proximity to the Korean Embassy was an important consideration when selecting a business location. By operating a Korean restaurant, he both enabled Korean immigrants in France and visitors from South Korea to enjoy the food of their home country while encountering Korean sensibilities and helped promote Korean food culture and art to French locals.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improving the under- standing of the history of Korean immigration to France, self-employment among the Korean diaspora, and spread and significance of Korean food culture overseas.

      • KCI등재

        한인디아스포라와 고령화: 파독광산근로자의 이주, 정착, 노후생활

        배진숙 성결대학교 다문화평화연구소 2022 다문화와 평화 Vol.16 No.1

        Through a life-history approach, this article examines the motives for migration, the socioeconomic settlement process, and the post-retirement life of Korean immigrants to Germany who were initially dispatched as miners in the 1960s and 1970s. Methodologically,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between January and February 2020 with 35 Korean ex-miners residing in Germany.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tudy, a majority of Korean miners who chose to remain in Germany left mining areas to relocate due to marriage with Korean nurses, or to pursue other job opportunities A small number of them continued to work in the mines, but most switched to other jobs, and some became self-employed. In Germany, Korean ex-miners have contributed to Korean-German cultural exchange at the private level. They have also endeavored to obtain a good education for their children. As a result, the level of educational and professional achievement of second-generation Korean-Germans is quite high. Finally, this article makes policy suggestions concerning the Korean diaspora, based on the survey results related to the situation of the aging first-generation Korean-Germans. This research will contribute to an improved understanding of the migration experience and the situation of aging Korean ex-miners, and it can be used as the basis for follow-up studies on elderly Korean immigrants in other regions. 본 논문에서는 생애사적 접근(life history approach)을 통해서 1960-1970년대 독일로 노동이주 했던 파독광산근로자 출신 재독한인을 대상으로 이주동기, 독일에서의 사회경제적 정착과정과 현재 노후생활에 관해서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방법으로는 2020년 1월부터 2월 사이에 독일 현지조사를 통해서 35명의 전직 파독광산근로자들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독일에 잔류한 파독광산근로자들은 한인간호사와의 결혼, 혹은 직장 등의 이유로 근무하던 광산이 있던 지역을 떠나서 독일 내에서 재이주를 하기도 하였다. 소수는 계속적으로 광산에서 일하였지만 대부분은 광산을 나와서 타직종으로 전환하였고 자영업을 경영하기도 하였다. 파독인력은 독일 현지에서 민간차원에서 한독 교류에 기여하였고 그 자녀들의 교육에 힘써서 재독한인 2세들의 교육적, 직업적 성취도가 상당히 높은 편이다. 또한 본 논문에서는 고령화한 재독한인 1세의 노후실태에 관한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지원에 관한 제언을 하였다. 본 연구는 파독광산근로자, 독일 한인이주사, 재외한인 1세대의 고령화에 대한 이해 증진에 기여하였으며,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다른 지역의 한인 노인이민자들에 관한 후속 연구로 파생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