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회복지사의 직무요구가 소진에 미치는 영향 : 직장가정갈등의 매개효과 및 직장 내 사회적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배종필,박수경 한국인력개발학회 2019 HRD연구 Vol.21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on effect of work-family conflict and the moderation effect of social support in workpla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demand and burnout among social workers. For this, we recruited 315 social workers working at social welfare organization in Seoul, Gyeong-gi, and Incheon area. The results showed that work-family conflict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demand and burnout, and that social support in workplace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variables. These findings suggested that policy makers should make more efforts to reduce job demand and work-family conflict, and to enhance the social support in workplace.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사회복지관에 근무하는 사회복지사의 직무요구와 소진과의 관계에서 직장가정갈등의 매개효과 및 직장 내 사회적지지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분석대상은 서울, 경기, 인천지역의 지역 사회복지관에서 근무하는 사회복지사 315명이며, 결과분석은 SPSS 25.0과 확장 프로그램인 PROCESS Macro를 활용하여 매개 및 조절모형을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직장가정갈등은 직무요구와 소진과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직장 내 사회적 지지는 직무요구와 소진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사회복지사의 소진을 예방하기 위해 과중한 직무를 줄여주고 직장가정갈등 예방을 위한 서비스 제공과, 직장 내 사회적지지 체계 및 환경을 강화하는 방안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 국내 토양오염 및 광주광역시 토양오염의 통합적인 정량화에 따른 중금속의 변화

        배종필,안건상,신인현 조선대학교 사범대학 부설 교과교육연구소 2001 敎科敎育硏究 Vol.4 No.1

        이 연구는 국내 토양오염과 광주광역시 토양 오염도의 통합적인 정량화에 따른 중금속의 변화에 관한 연구이다. 연구결과 국내의 토양오염과 광주광역시의 토양 오염도의 정도는 1998, 1999, 및 2000년을 비교하여 본 결과 공장요지 및 철도 용지에서는 카드뮴, 구리, 납의 오염도가 다른 토지용도에 비하여 높게 나타난 것이 특징적이며, 광주광역시는 1998및 1999년도를 비교하여 본 결과 구리와 비소만이 약간 증가하였고 나머지 중금속들은 감소하였다. 광주광역시는 하남공단과 본촌공단 내에서의 유류 유출은 없는 것으로 판단되며, 밭 토양에서 약간의 유류가 검출되었는데 이는 주변의 주유소의 영향으로 생각되어진다.그러나 전국적인 평균에 비한다면 아주 청정한 토양이다. 전반적으로 토양오염 측정망이 가동된 기간이 매우 짧아서 정확한 판단을 내리기는 어려우나 납의 변화량이 가장 큰 변위를 나타내는데 측정망 원년에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내며 1998년에 약간 감소하다 1999년에 상승하고 2000년에는 다시 감소한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카드뮴은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고 수은과 시안은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다. This study is a change of heavy metals according to integrative fixed quantity on soil pollution level in domestic area and Gwangju city. As a result of the study which compared with the 1998,1999 and 2000 years data, it is characterized that Cd, Cu, Pb, pollution level of national and GwangJu metropolitan city in factiry sites and railway sites are higher than other sites. The study also showed that only Cu and As were slightly increased and other heavy metals was decreased. It is believed that there is no evidence of oil spill pollution in Hanam and Bonchon industrial complex of Gwangju city. But some oil was detected by chemical analysis in field area, it is thought as the effect of gas stations in the neighborhood. On the whole it is difficult to make an accurate conclusion because of the very short term of operating soil pollution survey net. The change amount of lead shows the biggest displacement. It shows the highest figure the first year of survey, and it has a little decline in 1998. The figure goes up in 1999, and drops again in 2000. Cd is on an increasing trend, but Hg and CN is the opposite situation.

      • 국내 토양오염 및 광주광역시 토양오염의 통합적인 정량화에 따른 중금속의 변화

        배종필(Jong Philll Bae),안건상(Kun Sang Ahn),신인현(In Hyun Shin) 조선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01 교과교육연구 Vol.22 No.1

        This study is a change of heavy metals according to integrative fixed quantity on soil pollution level in domestic area and Gwangju city. As a result of the study which compared with the 1998, 1999 and 2000 years data, it is characterized that Cd, Cu, Pb, pollution level of national and GwangJu metropolitan city in factory sites and railway sites are higher than other sites. The study also showed that only Cu and As were slightly increased and other heavy metals was decreased. It is believed that there is no evidence of oil spill pollution in Hanam and Bonchon industrial complex of Gwangju city. But some oil was detected by chemical analysis in field area, it is thought as the effect of gas stations in the neighborhood. On the whole it is difficult to make an accurate conclusion because of the very short term of operating soil pollution survey net. The change amount of lead shows the biggest displacement. It shows the highest figure the first year of survey, and it has a little decline in 1998. The figure goes up in 1999, and drops again in 2000. Cd is on an increasing trend, but Hg and CN is the opposite situation. 이 연구는 국내 토양오염과 광주광역시 토양 오염도의 통합적인 정량화에 따른 중금속의 변화에 관한 연구이다. 연구결과 국내의 토양오염과 광주광역시의 토양 오염도의 정도는 1998, 1999, 및 2000년을 비교하여 본 결과 공장요지 및 철도 용지에서는 카드뮴, 구리, 납의 오염도가 다른 토지용도에 비하여 높게 나타난 것이 특징적이며, 광주광역시는 1998및 1999년도를 비교하여 본 결과 구리와 비소만이 약간 증가하였고 나머지 중금속들은 감소하였다. 광주광역시는 하남공단과 본촌공단 내에서의 유류 유출은 없는 것으로 판단되며, 밭 토양에서 약간의 유류가 검출되었는데 이는 주변의 주유소의 영향으로 생각되어진다. 그러나 전국적인 평균에 비한다면 아주 청정한 토양이다. 전반적으로 토양오염 측정망이 가동된 기간이 매우 짧아서 정확한 판단을 내리기는 어려우나 납의 변화량이 가장 큰 변위를 나타내는데 측정망 원년에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내며 1998년에 약간 감소하다 1999년에 상승하고 2000년에는 다시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카드뮴은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고 수은과 시안은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다.

      • KCI등재

        중년기 발달장애인 자녀와 어머니의 함께 나이 듦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박수경,배종필,이정하,서경주,이선우 한국장애인복지학회 2019 한국장애인복지학 Vol.45 No.4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motions and experiences of mothers of middle-aged children who are 30 years old or more and have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to provide suggestions to expand support services for these individuals and their family based on the findings. A qualitative case study was performed with depth interviews of eight mothers. Analysis was conducted by within-case analysis and cross-case analysis. The findings derived five categories; “the hard life ahead for my rapidly aging middle-aged child”, “my life in tangled and my guilt”, “helplessness and pity, and another family members are standing behind the life of a child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 lost dream of living like a normal family” and “I cannot kill myself because my life is responsible for my child's death.”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provides suggestions for support and intervention that match the characteristics and needs of these individuals, systematic intervention for the entire family including the other children and the father, psychological intervention and mental health management for the aging mother, and a social safety net for the individuals themselves. 본 연구는 만30세 이상의 중년기 발달장애 자녀를 둔 어머니를 대상으로 자녀와 함께 나이 듦의 과정 가운데서 느끼는 감정과 경험을 구체적으로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중년기 이후 발달장애인 당사자 및 가족의 지원방안을 제안하였다. 연구방법은 질적 사례연구방법을 통해 총 8명의 어머니와의 심층면접을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사례 내 연구와 사례 간 연구를 시행하였다. 연구결과, “중년기 자녀의 척박한 삶과 급진전되는 조기 노화”, “엉켜버린 삶, 자책 속에 실종해버린 나’, “무기력함과 연민, 그 뒤안길에 서 있는 또 다른 식구들”, “나와 자녀의 꿈, 보통의 삶은 어디에”, “눈감고 싶지만 눈감을 수 없는 이유, 내 아이의 죽음까지도 책임지는 삶” 등 총 다섯 가지 범주가 도출되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중년기 발달장애인의 특성과 욕구에 맞는 지원과 개입방안 마련, 비장애 자녀와 아버지를 비롯한 전체 가족구성원에 대한 체계적 개입의 필요, 노년기에 접어든 어머니의 심리적 개입과 정신건강 관리의 필요성, 중년기 발달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돌봄 체계 마련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발달장애인 자녀 어머니의 양육부담감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박수경(Soo-Kyung Park),배종필(Jong-Phil Bae),한세은(Se-eun Han),김소민(So-min Kim) 한국콘텐츠학회 2018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8 No.12

        본 연구는 발달장애인 자녀 어머니의 양육부담감과 우울과의 관계를 살펴보고, 이 관계에서 탄력성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조사대상자는 경기 지역 15개소의 지역사회복지관 및 치료센터에서 발달장애인 관련 프로그램을 이용하는 어머니 200명이다. 연구결과, 첫째, 발달장애인 자녀 어머니의 우울수준을 분석한 결과, 전체 대상자 중 우울 위험군에 속하는 비율이 15%로 나타나 우울 문제가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발달장애인 자녀 어머니의 양육부담감은 우울에 영향을 미쳤고, 탄력성은 양육부담감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완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발달장애인 자녀를 양육하는 어머니의 우울문제를 예방하기 위한 효과적인 전략으로서 양육부담감을 완화시키는 지원 외에도 어머니의 탄력성을 강화하는 개입이 병행될 필요가 있음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associations between care strain and depression among mothers of child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and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 of resili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two variables. The participants was 200 mother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using programs related to developmental disability of 15 community welfare centers in Gyeonggi provinc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15% of mothers of child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ere depression risk group. Second, mother’s strain were associated with depression and the resilience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 strain and depression. Based on these findings, it is suggested that policy makers and practitioners should expand intervention program not only for alleviating care strain but also improving mother’s resilience to prevent depression of mothers with children developmental disabilities.

      • KCI등재

        광주광역시 풍암매립지 주변 하상퇴적물과 물의 지구화학적 특성

        안건상,박천영,신인현,배종필 한국지구과학회 2003 한국지구과학회지 Vol.24 No.4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geochemical properties for stream sediments, surrounding soils, sludge collected in the drainage pipe of leachate and waters (stream water, groundwater, leachate) around the Pungam Landfill in Gwangju city. The stream sediments don't show any systematic trend of contents from upstream to downstream. The most enriched major element in the stream sediments is Fe (up to 7.08wt.% in GJ-23). Though stream sediment GJ-23 and GJ-34 were enriched by some heavy metals (eg. As, Cu, Zn), they do not constitute serious problems for environment consideration. The concentration of Fe (35.lwt.%) and As (38ppm) are significantly high in the GJ-8, which is soil specimen adjacent to leachate reservoir. The sludge (GJ-7) shows very high concentrations of As, Mn, Cr, Pb. In particular, the Cr content is 45.6 ppm, which exceeds the permitted level. The leachate is characterized by high TDS (2210-2470mg/L) and high electric conductivity (468, 530ms/cm), and enriched in both cation (Na, K) and anion (HCO₃). The leachate(PK-3) had a relatively high concentration of Cl, and is plotted in Na-Cl type on the Piper's diagram. The NO₃-N of the groundwater and stream water exceeded the permitted levels for drinking water. 광주광역시의 풍암매립지 주변에 분포하는 하상퇴적물, 주변토양, 침출수의 배수관 내에서 채취한 슬러지 그리고 물(하천수, 침출수, 지하수)의 지구화학적 특성을 연구하였다. 하상퇴적물에서 상류에서 하류 쪽으로 규칙적인 함량변화는 나타나지 않는다. 하상퇴적물에서 가장 풍부하게 산출되는 주원소는 Fe(7.08wt.%)이다. 하상퇴적물 GJ-23, 34는 중금속을 다량으로 포함하고 있지만, 심각한 환경 피해를 일으킬 수 있는 농도는 아니다. 주변 토양 중에서 침출수 저장고와 인접한 토양(GJ-8)에서의 철 함량은 35.1wt.%, 비소 함량은 38.8ppm으로 가장 높다. 침출수구에서 채취한 슬러지 시료 GJ-7의 Cr함량은 .45.6ppm으로 토양오염 우려기준을 훨씬 초과한다. 침출수는 총용존물질(2210, 2470mg/L)과 전기전도도(468, 530ms/cm)가 높고, 양이온에서 Na, K가, 음이온에서 HCO₃가 우세하다. 침출수인 PK-3은 Cl함량이 비교적 높아 파이퍼도에서 Na-Cl 영역에 점시된다. 지하수와 하천수는 질산성질소의 함량이 음용수 기준을 훨씬 넘어서 식수로 사용하기에는 부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취업한 지적장애인의 고용안정 프로그램 개발 : 리빙랩(Living Lab) 방식의 적용

        박수경 ( Park Soo Kyung ),배종필 ( Bae Jong Phil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2021 지적장애연구 Vol.23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이용자중심(User-centered)의 리빙랩 방식을 적용하여 취업한 지적장애인의 고용안정을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리빙랩 운영방식에 따라 취업한 지적장애인과 부모, 취업지도 및 업체 담당자, 현장 전문가, 정책결정자 등 이해관계자들로 리빙랩을 구성하였고, 이용자 중심의 욕구를 도출하였다. 리빙랩 운영 결과, 취업한 지적장애인을 위한 직무스트레스 해소와 자아존중감 및 사회성 향상지원 프로그램 욕구, 그리고 취업한 지적장애인 중심의 지지체계 등에 대한 욕구를 확인하였다. 프로그램 실행 결과 취업한 지적장애인의 직무스트레스 해소. 자아존중감, 사회성 향상에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고, 이해관계자의 지지체계 욕구도 높게 나타났다. 이처럼 리빙랩 방식은 이용자인 취업한 지적장애인과 부모, 이해관계자의 참여를 통해 실생활에 필요한 프로그램을 공동으로 개발하는 과정에서 혁신성과 주도성, 사회적 가치를 반영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취업한 지적장애인의 고용안정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과정에서 리빙랩 방식의 유용성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aims to develop of employment stability program for employed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based on the Living Lab approach. For this, employed people with a developmental disability and their parents, employment director, practitioner, policymaker, other stakeholders participated in the living lab. Through the living lab, we found their needs. our results from the living lab found that the needs for the supporting program of reducing job stress, supporting self-esteem and socialization. After operating these programs, not only for the positive effects shown to the job stress, self-esteem and socialization also identified a need for a supporting system of stakeholders. Thus, the living lab approach was able to realize that innovative social value through the cooperation of the stakeholders in the whole progress. Based on this result, we identified that the usefulness of the living lab approach in the development of employment stability programs for employed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 KCI등재
      • KCI등재

        The Relationships Between Job Burnout, Supervision and Turnover Intention of Early-Career Social Workers in South Korea

        박수경(Sookyung Park),이성민(Sungmin Lee),배종필(Jongphil Bae)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2020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Vol.65 No.-

        본 연구의 목적은 5년 미만의 초기경력 사회복지사의 이직의도에 직무소진과 슈퍼비전이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데 있다. 본 연구의 분석대상은 서울·경기·인천에 위치한 사회복지 기관에근무하고 있는 사회복지사들 중 경력이 5년 미만인 사회복지사 213명이다. 분석 결과, 일반적특성을 통제한 상태에서 직무소진의 하위차원들 중 정서적 탈진이, 슈퍼비전의 하위차원들 중에는지지적 슈퍼비전이 이직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초기경력사회복지사들은 정서적 탈진이 클수록, 지지적 슈퍼비전 수준이 낮을수록 이직의도가 더 높게나타난다는 점을 보여준다. 따라서 초기경력 사회복지사들의 이직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정서적탈진을 줄이고 지지적 슈퍼비전을 강화할 수 있는 차별화된 개입프로그램이 제공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associations of job burnout and supervision on the turnover intention of early-career social workers with less than 5 years of work experience. The sample consisted of 213 social workers that were employed in social welfare institutions in Seoul, Gyeonggi, and Inche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ed that when general characteristics were controlled for, emotional exhaustion (a sub-factor of job burnout) and supportive supervision (a sub-factor of supervision) have a significant association on turnover intention. This result shows that early-career social workers exhibit a higher turnover intention when there are greater emotional exhaustion and a lower level of supportive supervision. Therefore, to prevent the turnover of early-career social workers, it is necessary to provide a differentiated intervention program that can reduce emotional exhaustion and increase supportive supervision.

      • KCI등재

        저임금 여성근로자의 직장-가정갈등이 직무스트레스를 매개로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박수경(Soo-Kyung Park),이선우(Seon-Woo Lee),배종필(Jong-Phil Bae) 한국콘텐츠학회 2018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8 No.5

        본 연구의 목적은 저임금 여성근로자의 직장-가정갈등과 이직의도와의 관계에서 직무스트레스의 매개효과와 가족응집력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데 있다. 분석 대상은 월 임금 200만원 이하의 여성근로자 190명이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저임금 여성근로자들의 직장-가정갈등은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저임금 여성근로자들의 직무스트레스는 직장-가정갈등과 이직의도의 관계를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가족응집력은 직장-가정갈등. 직무스트레스와 이직의도와의 관계에서 조절된 매개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본 연구결과들을 토대로 저임금 여성근로자의 이직을 줄이기 위해서는 직장-갈등과 직무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는 일-가정양립 정책 및 프로그램의 강화, 가족 응집력향상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family cohesion in the relationships among work-family conflict, job stress, and turnover intension of female low-wage workers. Participants included 190 low-wage workers whose monthly salary was less than 2 million Korean won (approximately $1,900).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work-family conflict was associated with turnover intension. Second, job stress mediated the relationships between work-family conflict and turnover intension, and family cohesion have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among these variables.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there is a need to enhance policies and programs for work-family compatibility to decrease work-family conflicts and job stress and to strengthen family cohesion to reduce the turnover of female jow-wage work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