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직관의 이해에 대한 확장적 연구: 기독교 상담적 접근으로

        배시은 ( Sieun Bae ),안윤경 ( Yoon Kyung An ),김용태 ( Yong Tae Kim ) 한국복음주의상담학회 2015 복음과 상담 Vol.23 No.2

        본 연구에서는 심리학에서 사용하는 직관의 개념을 기독교 상담학적으로 확장하여 이해하기 위한 개념적 근거들을 고찰하였다. 직관은 인간의 인식과정에서 필연적이며, 인식의 큰 범위 안에서 직관은 다양한 개념적 요소들을 갖는다. 그러나 기존의 심리학과 기독교상담학에서 직관에 대한 연구를 찾기 어려웠기 때문에 직관을 이해하기 위한 확장적 개념 고찰 연구가 필요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심리학에서 직관에 대한 더 깊은 이해와, 연구가 없었으며, 직관에 관한 기독교 상담학적 연구도 찾기 어려웠다. 둘째, 직관의 인식은 철학적으로 인식의 과정이고, 심리학적으로 감각정보를 처리하는 지각에 가까운 개념으로 이해할 수 있으며, 기독교적으로 하나님의 존재를 인식하고자 하는 영성으로 이해할 수 있다. 셋째, 직관의 원천은 무의식을 통한 인간의 초월성과 지향성이 하나님의 계시를 이해하려는 기독교 영성의 개념으로 확장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기독교 상담에서 직관은 기존의 직관의 개념인 심리, 사회적 개념에 더하여 영적 측면을 확장한 넓은 의미로 이해할 수 있기에 개념적 용어 구분이필요하겠다. 본 연구는 심리학의 직관을 확장하여 기독교 상담의 계시, 영성을 개념적으로 통합하고자 하는 근거를 마련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onceptual basis of intuition in order to extend the concept of intuition in Christian counseling scope. Intuition is a phenomenon which appears in the process of cognizing objects consequentially. Intuition contains diverse conceptual factors in the enlarged scope of episteme. However, intuition serves as a way to cognize the unconsciousness. Thus, it is necessary to illuminate intuition from the perspective of Christian counseling.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understanding of intuition in psychology has been limited to spontaneous thoughts or the concept of unconsciousness. Second, intuition can be presented as the process of perception in terms of philosophy, the perception of sensory information in terms of psychology, and the spirituality to recognize and understand God in terms of theology. Third, the origin of intuition can be expanded to the concept of Christian spirituality from human’s unconsciousness. Finally, the necessity of clarifying the definition of intuition is presented since the definition of intuition includes psychological, social as well as spiritual concepts. Spiritual source is added to the range of intuition through the study of unconsciousness and revelation. Therefore, this study prepares grounds to expand the concept of intuition in Christianity and to integrate the concept of Christian revelation and psychological intuition.

      • KCI등재

        자기부인(Self-Denial)과 자기수용(Self-Acceptance)에 대한 기독교상담학적 조명

        이수미,유희주,배시은,김용태 한국기독교상담심리학회 2015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 Vol.26 No.3

        This study aims to look at integrative approach on self–denial and self–acceptance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of theological self–denial and psychological self–acceptance, and to find Christian implication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oncept of self–denial includes self–sacrifice, self–emptying, self–love, and self–acceptance. Second, the concepts of self–denial and self–acceptance accept some basic needs of the human by including the process of need–fulfillment and need–regulation. Third, self–denial and self–acceptance are required for the human–growth. Fourth, self–denial and self–acceptance lead to self–fulfillment in God. Self–denial and self–acceptance occurs in the process of sanctification and in the growth process of self–actualization. 본 연구는 자기부인에 대한 신학적 관점과 자기수용에 대한 심리학적 관점에 대한 문헌고찰과 비교분석을 통해, 자기부인과 자기수용에 대한 기독교상담학적 조명과 함의점을 찾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부인은 자기비움, 자기희생, 자기포기, 자기사랑을 모두 포함한 포괄적 의미다. 둘째, 자기부인과 자기수용은 모두 인간의 기본적 욕구충족과 욕구조절을 인정한다. 셋째, 자기부인과 자기수용은 모두 인간의 성장을 위해 필요하다. 넷째, 자기수용과 자기부인은 성장의 과정에 수반되며, 모두 자기실현의 결과에 이른다. 다섯째, 자기부인은 하나의 진리를 향한 뚜렷한 방향성이 있지만, 심리학적 자기수용은 개개인의 다양한 진리를 인정함으로써 방향성을 상실했다. 본 연구의 기독교상담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독교상담자는 상담현장에서 자기수용을 회복해야 할 내담자와 자기부인을 다뤄야 할 내담자를 분별할 수 있어야 한다. 어떤 내담자는 충분한 수용과 공감을 통한 욕구충족을, 어떤 내담자는 직면과 해석을 통한 욕구조절이 상담의 초점이 될 수 있다. 둘째, 한 개인의 상담과정 중에 자기수용과 자기부인의 과정이 순차적으로 또는 역동적으로 진행될 수 있다. 셋째, 기독교상담자의 자기수용과 자기부인에 대한 이해를 통해, 두 입장 사이에서 딜레마에 빠진 기독교내담자들의 심리내적 갈등처리에 도움을 줄 수 있다.

      • 종자의 발아와 저장지방 유동중의 유전자의 발현 연구

        차현정 ( Hyun Jung Cha ),배시은 ( See Eun Bae ),윤여준 ( Yeo Jun Youn ),조은정 ( Eun Jeong Jo ),최서정 ( Seo Jeong Choi ),허준희 ( Jun Heui Hur ),김대재 ( Dae Jae Kim ) 충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5 과학교육연구논총 Vol.30 No.2

        발아 초기 에서 유식물이 완성되는 단계까지의 역전사-중합효소연쇄반응 (RT-PCR)에 따르면, 유식물체의 발달 동안에 저장지방의 유동과 관련된 Thio-2, ICL 및 MS 유전자는 항상 유사한 공조된 유전자 발현 양상을 나타냈다. 오이의 발아 초기에 BOU 유전자와 함께 ICL 및 MS 유전자의 공조된 발현은 퍼옥시좀과 미톤콘드리아 사이에 아세틸 단위의 2차 통로의 존재 가능성에 대한 하나의 증거중 하나이다. 즉, 이들 지방 유동의 핵심 유전자 산물인 효소나 막단백질의 활성은 지방의 유동이 세포내 지방체-미소체-미토콘드리아-세포질을 관통하는 여러 소기관을 경유하며 진행되지만 공조의 필요성을 강하게 암시한다. 앞서 보고된 연구에서 보여준 BOU 활성에서처럼 BOU 유전자는 빛 의존성으로 암소에서는 세포막의 미약한 발달로 인하여 활성이 저하됨을 암시한다. 본 연구에서는 아세틸 단위의 운반에 대한 새로운 발견으로써 지방 저장 종자의 발아와 오이 떡잎의 발달과 관련된 유전자의 발현을 분자생물학 기법을 활용하여 식물에서는 처음으로 확인하였다. 향후 또 다른 관련 BOU 유전자들에 대한 세부적인 연구가 진행되면 더욱 명확한 지방의 새로운 유동 경로의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